인그레스

최근 편집: 2017년 3월 13일 (월) 22:03
초설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3월 13일 (월) 22:03 판 (→‎아이템)

인그레스(Ingress)는 Niantic, Inc.(이하 나이언틱)에서 개발한 위치 기반 모바일 증강현실 게임이다.

요소

에이전트

게임의 주체로 각 플레이어를 이른다. 1레벨부터 시작하여 일정한 AP를 누적하여 최대 16레벨까지 올라갈 수 있으며 9레벨부터는 AP뿐만 아니라 메달을 요구한다. 레벨이 오를 수록 XM탱크의 최대치와 버스터의 공격력이 올라가며 높은 레벨의 아이템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필요한 누적 AP 필요한 메달
2레벨 2,500 없음
3레벨 20,000 없음
4레벨 70,000 없음
5레벨 150,000 없음
6레벨 300,000 없음
7레벨 600,000 없음
8레벨 1,200,000 없음
9레벨 2,400,000 실버 4개, 골드 1개
10레벨 4,000,000 실버 5개, 골드 2개
11레벨 6,000,000 실버 6개, 골드 4개
12레벨 8,400,000 실버 7개, 골드 6개
13레벨 12,000,000 골드 7개, 플래티넘 1개
14레벨 17,000,000 골드 7개, 플래티넘 2개
15레벨 24,000,000 골드 7개, 플래티넘 3개
16레벨 40,000,000 골드 7개, 플래티넘 4개, 오닉스 2개

진영

녹색으로 표시되는 계몽군(인라이튼드)과 푸른색으로 표시되는 저항군(레지스탕스)의 두 진영이 존재하며 계정 생성 시에 고르게 되어 있다. 문의를 통해 1회에 한하여 진영을 변경할 수 있으며 이 경우 1레벨로 돌아간다.

AP

일종의 경험치로 특정 행동을 할 때마다 지급된다.

  • 링크 1회 연결 313AP
  • 필드 1개 생성 1200AP
  • 포탈 1회 충전 10AP
  • 모드 1개 설치 125AP

메달

에이전트가 일정 목표를 달성하면 지급되는 업적 개념의 표식이며 프로필에 표시된다.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오닉스 등급이 있다.

이름 조건 브론즈 실버 골드 플래티넘 오닉스
Builder 설치한 레저네이터의 갯수에 따라 지급 2,000개 10,000개 30,000개 100,000개 200,000개
Connector 링크를 연결한 횟수에 따라 지급 50회 1,000회 5,000회 25,000회 100,000회
Engineer 설치한 모드의 갯수에 따라 지급 2,000개 10,000개 30,000개 100,000개 200,000개
Explorer 유니크 포탈을 방문한 횟수에 따라 지급 100회 1,000회 2,000회 10,000회 30,000회
Guardian 하나의 포탈을 연속으로 점령한 일수에 따라 지급 3일 10일 20일 90일 150일
Hacker 포탈을 해킹한 횟수에 따라 지급 2,000회 10,000회 30,000회 100,000회 200,000회
Illuminator 생성한 필드의 누적 MU에 따라 지급 5,000MU 50,000MU 250,000MU 1,000,000MU 4,000,000MU
Liberator 포탈을 점령한 횟수에 따라 지급 100회 1,000회 5,000회 15,000회 40,000회
Mission Day 미션데이에 성공적으로 참가한 일수에 따라 지급 1일 3일 6일 10일 20일
Pioneer 유니크 포탈을 점령한 횟수에 따라 지급 20회 200회 1,000회 5,000회 20,000회
Purifier 파괴한 적 레저네이터 갯수에 따라 지급 2,000개 10,000개 30,000개 100,000개 300,000개
Mind Controller 생성한 필드의 갯수에 따라 지급 100개 500개 2,000개 10,000개 40,000개
Recharger 포탈에 충전한 XM의 양에 따라 지급 100,000XM 1,000,000XM 3,000,000XM 10,000,000XM 25,000,000XM
Recruiter 인그레스에 리크루트하고 돌본 새 에이전트 수에 따라 지급 2명 10명 25명 50명 100명
Sojourner 포탈을 연속으로 해킹한 24시간 주기마다 지급 15주기 30주기 60주기 180주기 360주기
SpecOps 완료한 유니크 미션의 갯수에 따라 지급 5개 25개 100개 200개 500개
Translater 글리프 해킹을 한 횟수에 따라 지급 200회 2,000회 6,000회 20,000회 50,000회
Trekker 걸은 거리에 따라 메달 지급 10km 100km 300km 1,000km 2,500km

아이템

인그레스의 아이템 중 레벨이 있는 아이템의 경우 에이전트의 레벨을 초과하는 아이템은 사용할 수 없다.

레저네이터

포탈에 에너지를 제공하고 특정 팀에서 제어할 수 있도록 포탈을 흡수하는 데 사용되는 XM 개체입니다.

L1부터 L8까지 존재하며 등급은 모두 Very Common이다. 설치된 레저네이터의 레벨이 높을수록 포탈이 생성할 수 있는 링크 범위가 넓어지며 방어력과 에너지 보유량이 상승한다.

무기

  • XMP 버스터

적군 레저네이터와 모드를 파괴하고 적 포탈을 중립화할 수 있는 XM 에너지 펄스 무기입니다.

XM을 소모하여 에이전트를 중심으로 하는 범위 공격을 가하는 무기이다. L1부터 L8까지 존재하며 등급은 모두 Very Common이다.

  • 울트라 스트라이크

좁은 범위 내에서 더 강력한 폭발을 일으키는 변형 XM 펄스 무기입니다.

XM을 소모하여 에이전트 위치에 공격을 가하는 무기이다. XPM 버스터보다 사용하기가 까다로운 대신 화력이 한 점으로 집중되어있다. L1부터 L8까지 존재한다.

  • ADA 리팩터

ADA 리팩터를 사용하여 인라이튼드 소유의 포탈을 레지스탕스 소유로 바꿀 수 있습니다.

인라이튼드 소유의 포탈을 레저네이터와 모드까지 그대로 레지스탕스의 소유로 만드는 무기이다. 적군의 중요한 포탈을 빼앗아 방해하기 위해 쓰이기도 하지만 아군 포탈을 리셋하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주 1]

  • 자비스 바이러스

자비스 바이러스를 사용하여 레지스탕스의 포탈을 인라이튼드 것으로 바꿀 수 있습니다.

레지스탕스 소유의 포탈을 레저네이터와 모드까지 그대로 인라이튼드의 소유로 만드는 무기이다. 적군의 중요한 포탈을 빼앗아 방해하기 위해 쓰이기도 하지만 아군 포탈을 리셋하기 위해 쓰이기도 한다.[주 2]

모드

  • 포탈 쉴드

공격으로부터 포탈을 보호하는 모드입니다.

Common, Rare, Very Rare 등급이 있다.

  • 히트 싱크

포탈 해킹 사이에 필요한 냉각 시간을 줄여주는 모드입니다.

Common, Rare, Very Rare 등급이 있다.

  • 링크 앰프

포탈 링크 범위를 증가시키는 모드입니다.

  • 포스 앰프

적군 에이전트에 대한 포탈의 공격력을 높여주는 모드입니다.

  • 터렛

적군 에이전트에 대한 포탈의 공격 빈도를 높여주는 모드입니다.

  • 멀티핵

포탈의 해킹 가능 횟수를 높여주는 모드입니다.

미디어

캡슐

다른 아이템을 담을 수 있는 컨테이너입니다.

파워 큐브

스캐너를 충전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XM 저장소입니다.

파워업

포탈 키

링크를 만들고 이 포탈을 원격 충전하는 데 사용됩니다.

포탈을 해킹해 일정 확률로 얻을 수 있는 아이템으로 해당 포탈에 링크를 이을 때 소모하며 원격 충전을 할 때 필요하다.

포탈

  • 포탈

XM이 생성되는 거점이다.

과거에는 에이전트가 직접 사진과 위치, 정보를 기입해 신청하면 나이언틱에서 승인하는 방식으로 얼마든지 신규 포탈 생성이 가능했지만 신청 건수가 너무 증가해 신규 등록과 동시에 Seer 메달 지급도 중단되었다.

현재 Operation Portal Recon이라는 이름으로 새로운 포탈 등록 시스템이 테스트 중이다. 샌프란시스코도쿄에 거주하는 16레벨 플레이어가 심사를 거쳐 클로즈 베타에 참여하게 될 계획이었으나 도쿄가 아닌 토호쿠큐슈 지역으로 변경되었다.

Ingress 도움말에서 Portal 후보 기준을 확인할 수 있다.

  • 해킹

포탈의 HACK 메뉴를 이용해 포탈레벨에 따른 아이템을 랜덤하게 얻을 수 있다.

적군 포탈을 해킹할 경우 포탈로부터 공격을 당한다.

아군 포탈>적군 포탈>중립 포탈 순으로 더 많은, 좋은 아이템을 받을 수 있다.

  • 글리프 해킹

HACK 메뉴를 길게 눌러 글리프 해킹이 가능하다.

게임의 내용과 관련있는 상징인 글리프를 수신하고 기억해서 순서대로 입력하는 일종의 한붓그리기 게임이다.

일반 해킹보다 더 많은 아이템과 AP를 얻을 수 있으므로 파밍의 필수 요소라고 할 수 있다.

포탈 레벨이 높을 수록 더 많은 도형이 나오게 된다.

XM

eXotic Matter. 외계 물질. 주로 포탈 주변에서 생성된다. 게임 상에 흰색 파티클로 표시되며 해킹, XMP 발사, 모드 설치 등 폭넓게 사용되는 자원이다.

링크

포탈 키와 XM을 소모하여 포탈에서 다른 포탈로 잇는 선이다. 링크를 생성할 수 있는 조건은 다음과 같다.

  • 링크를 보낼 포탈과 받을 포탈에 빈 레저네이터 슬롯이 없을 것.
  • 링크를 받을 포탈의 포탈키가 있을 것.
  • 링크를 보낼 포탈과 받을 포탈 사이를 가로지르는 링크가 없을 것.
  • 링크를 보낼 포탈이 필드 안에 있지 않을 것.
  • 링크를 보낼 포탈이 링크 한도에 다다르지 않았을 것.

컨트롤 필드

3개 지점의 포탈 링크가 이어져 삼각형이 만들어질 때 삼각형의 내부에 컨트롤 필드가 생성된다. 보통 줄여서 필드라고 부른다.

겹필드

이벤트

어노말리(XM Anomaly)

DATE CITY SERIES
2016년 9월 24일 캐나다 토론토 Via Lux Primary
2016년 9월 24일 미국 세인트루이스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칠레 산티아고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독일 쾰른 Via Lux Primary
2016년 9월 24일 스페인 그라나다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헝가리 부다페스트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일본 세토우치 Via Lux Primary
2016년 9월 24일 인도 뭄바이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싱가포르 싱가포르 Via Lux Satellite
2016년 9월 24일 중국 마카오 Via Lux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미국 뉴올리언스 Via Noir Primary
2016년 11월 12일 미국 시카고 Via Noir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미국 마이애미 Via Noir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이탈리아 로마 Via Noir Primary
2016년 11월 12일 리투아니아 빌뉴스 Via Noir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불가리아 소피아 Via Noir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대한민국 서울 Via Noir Primary
2016년 11월 12일 인도네시아 수라바야 Via Noir Satellite
2016년 11월 12일 오스트레일리아 멜버른 Via Noir Satellite

Mission Day

GORUCK

Ingress FS

#NL1331

글로벌 샤드

외부 링크

  1. 에너지 고갈이나 적의 공격으로 포탈이 중립화되기 전까지는 링크나 모드 등을 수정할 수 없다. 레저네이터는 업그레이드만 가능.
  2. 에너지 고갈이나 적의 공격으로 포탈이 중립화되기 전까지는 링크나 모드 등을 수정할 수 없다. 레저네이터는 업그레이드만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