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 내 성폭력

최근 편집: 2023년 4월 8일 (토) 19:50
Gkdlvj2023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4월 8일 (토) 19:50 판 (→‎사례)


역사


특징[5]

  • 권력관계에 기반: 학생, 교원, 직원등으로 구성원이 다양할 뿐만 아니라 노동권과 교육권의 침해가 동시에 수반된다.
  • 2차 가해 발생: 대학 내 구성원들은 대인관계가 매우 한정되고 긴밀하게 연결되어 있어 학업, 진로에 오랜기간 영향을 끼칠 수 있기 때문에, 문제제기가 무척 어렵다.

사례

서울대 신교수 성희롱 사건

서울대학교 성추행 사건

같이 보기

출처

  1. 김현영(들꽃모임) (2006년 8월 22일). “<기획 - 해방으로 가는 비상구, 자매애> 여성주의 연대가 꽃피다”. 《한국여성민우회》. 2017년 12월 1일에 확인함. 
  2. 김선래 (1998년 5월 11일). “학내 성폭력 근절 “발벗고 나섰다”. 《한국대학신문》. 
  3. “[여대생 성폭행] 교수 성희롱 대안 찾기 부심”. 《여성신문》. 1997년 5월 16일. 2017년 12월 2일에 확인함. 
  4. 이하나 기자 (2020년 3월 18일). “31개 대학생 단체 “대학 내 교수 성폭력 가중처벌 입법해야””. 《여성신문》. 
  5. 교육부(2020) 대학 성희롱·성폭력 사건처리 매뉴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