꽃뱀

최근 편집: 2017년 5월 8일 (월) 13:04

성적 매력을 이용해 다른 사람들에게 사기를 치거나, 성범죄 무고죄를 저지르는 여성을 말한다. 사기범죄자는 여성도 있고 남성도 있지만, 여성들에게는 범죄를 저지르지 않아도 꽃뱀이라 칭하는 분위기[1]가 있어 여성혐오적인 속성을 갖고 있는 단어다.

용어의 문제점

단어의 유래와 일반화

花蛇, 말그대로 꽃에 꼬이는 뱀이라는 단어에서 유래가 되었으며, 꽃의 꿀을 찾아다니는 뱀의 습성에서 유래가 되었다. 즉, 이것은 여성을 유혹하는 대상, 남성에 꼬이는 대상으로 생각하는 역사 아래 퍼지기 시작한 것이다. 여성만이 사기를 치고, 무고를 한다는 오해를 불러일으키기도 하고, 여성을 마치 짐승(뱀), 남을 홀리는 대상으로 인식하게 만들어, 여성의 대상화를 더 심화한다. 참고로 성범죄 무고를 저지르는 남성에 대한 지칭어는 존재하지 않는다. 실제로 2017년 현재보다 여성혐오가 더 심했고, 금욕주의를 강조했던 중세 유럽에서는 남성을 성에 관심없는 대상, 여성을 타락한 여성으로 묘사했는데, 이것과 같은 맥락이라 생각을 하면 된다.

쓰이는 맥락에서

꽃뱀은 전반적으로 성범죄 피해자 여성을 일반화하여 비난하는 단어로 쓰인다. 이러한 맥락에서 사용되는 꽃뱀은 여성혐오적 속성을 지니고 있다.

여성혐오 속성

성범죄 피해 여성은 성범죄를 당하기 이전 과정부터 이후까지, 합의금 등을 노리고 고의로 남성에게 접근한 것이 아니냐는 끊임없는 의심과 비난을 받는다. 하지만 성범죄의 무고율은 여타 범죄보다 더 낮은 0.5%에 머물러 있다는 사실을 볼 때, 성범죄 피해자가 빈번하게 "꽃뱀"과 같은 속어로 지칭되는 현상은 사회에 만연한 여성혐오를 드러낸다. 꽃뱀은 여성혐오 단어이므로 사용하지 않도록 하자.

예를 들어, 절도죄를 당한 사람은 '왜 그러게 비싸 보이는 걸 내놓고 다녔어?'라는 말을 듣지 않는다. 가끔 성범죄와 절도를 비교하면 지갑이 땅에 떨어져 있으면 주워가는 것이 당연하다는 말을 하는 사람이 있는데, 여성은 말도 못하고 감정도 없는 지갑이 아니다.

또한, 절도죄를 당한 사람이 중간에 가해자와 합의했다고 해서, 사기꾼이라는 소리를 듣지도 않는다. 합의 등 사후에 손해배상을 받았다고 해서 여성을 꽃뱀으로 몰아가는 것은, 여성에 대한 성범죄를 여성에게 귀인하는 고루한 프레임 중 하나이다. 성범죄 피해자의 행실이나, 옷차림을 탓하는 것도 이러한 프레임 중 하나이며, 여성을 성적 주체가 아닌 객체로 취급하는 사상에서 나온다.

여성은 객체이기 때문에 남성이 그를 언제든 취할 수 있지만, 그 원인은 남성이 아닌 여성(인간이 아닌 사물)에 있다는 것을 끊임없이 주지시켜 남성의 성적 지위를 공고히 하는 것이다.

성범죄 무고 통계

2015년에 대검찰청에서 발표한 성폭력 범죄 통계에 의하면 2014년에 발생한 성폭력 범죄는 총 29,836건이다.[2] 한편 "[단독] '치명적 거짓말' 성폭행 무고女 CCTV보니.."라는 제목의 국민일보 기사[3]에 의하면 2014년 기준 성폭행 관련 무고는 총 148건에 불과하다. 성폭력 범죄 2,000건 당 무고 범죄는 1건 미만(0.49%) 수준이다.


무혐의는 무죄가 아니다

한국사회는 성폭력 사건에 대해 남성중심적인 통념이 작동한다. 이러한 사회적 분위기 속에서 피해자는 (특히 여성 피해자) 진술하는 과정에서 비난 받는 것, 위축되거나 주눅드는 것, 보복이나 권력관계에서의 불이익에 대한 두려움으로 인해 제대로 진술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4]

성폭력은 주로 사적으로 은밀한 영역에서 일어나기 때문에 증인과 증거 확보가 어렵다. 수사기관이 사건의 실체를 파악하는 것이 쉽지 않아 증거불충분으로 인한 무혐의가 많다. 실제로 성폭력 사실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입증하는 것이 어려워 무혐의로 나오는 경우도 있다.

[5]

여러가지 원인과 복잡한 맥락 속에서 '무혐의' 처분이 내려지지만 이러 경우 여성 피해자는 '꽃뱀'으로 몰리기 쉽다. "여러가지 원인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무혐의’ 처분이 내려짐에도 불구하고 언론에선 제대로 이야기해주지 않으니 대중들은 여성을 무고와 연관시켜 ‘꽃뱀’으로 몰아간다"[5]


여성 전반에 쓰이는 경우

'꽃뱀'이라는 단어가 남성에게 두려움을 주는 이유 : "여성들이 자기를 있는 그대로 사랑해주지 않을 거란 불안감 때문. 자기가 사랑받을 만한 어떤 노동을 해야 하는데 전혀 그렇지 않으니까 여자들을 의심하면서 내가 이래도 사랑해줄거야? 라는 얘기를 하는 상황 속에서 확산되는 이야기" [6]

관련 사실

실제 무고 통계

실제 사기 통계

사기죄는 다른 범죄보다 여성의 비중이 높지만, 여전히 남성의 비중이 40% 이상이다. (출처 필요)

같이 보기

참조


관련 항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