식물성 밀크

최근 편집: 2017년 8월 26일 (토) 10:07
담담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8월 26일 (토) 10:07 판 (새 문서: thumb|[[아마자케 (일본의 쌀 우유)]] right|thumb|[[스페인 카페에서의 오르차타...)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아마자케 (일본의 쌀 우유)
스페인 카페에서의 오르차타
코코넛 우유

식물성 우유는 일상 음료나 우유 대용 음료로서 다양한 문화권에서 수세기 이상 음용되어 왔다. 두유, 아몬드 우유, 코코넛 우유 등이 대중적이다. 우유와 달리 젖당이나 콜레스테롤 성분이 전혀 없으며, 칼슘, 비타민(특히 비타민 B12) 등이 첨가된 형태로 흔히 판매된다.

식물성 우유를 소비하는 이유로 윤리적 요인(동물 복지), 환경적 요인, 건강적 요인(젖당불내증, 우유 알레르기, 페닐케톤뇨증 등), 채식주의, 종교적 요인 또는 단순한 개인 기호를 들 수 있다.

식물성 우유는 아이스크림, 식물성 크림, 비건 치즈, 요구르트(두유 요구르트 등)을 만드는 데 쓰이기도 한다.

유형

가장 대중적인 식물성 우유로는 아몬드 우유, 두유, 코코넛 우유, 쌀 우유 등이 있다. 헴프 우유땅콩 우유와 같은 제품도 있다. 그 밖에 다음의 원료로 제조가 가능하다.

출처

  1. "Milk, whole, 3.25% milkfat, with added vitamin 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2. "Soymilk (all flavors), unsweetened, with added calcium, vitamins A and D",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3. "Beverages, almond milk, unsweetened, shelf stable", United States Department of Agriculture, Agricultural Research Service.
(이 문서는 위키백과의 Plant milk 문서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