객체화

최근 편집: 2017년 11월 22일 (수) 16:10

객체화(objectification)는 어떤 사람, 즉 인간성을 가진 누군가를 도구적 가치만 있는 객체로 대하고, 그 결과 그 사람을 사용을 위한 객체의 지위로 격하시킨다. 객체화는 페미니즘 이론의 중심 개념으로, 주로 객체로 바라보고 대해지는 쪽은 여성이라고 본다.

여성학계에서는 오랫동안 객체화를 대상화 또는 성적 대상화로 번역해 왔고, 기타 동의어로 타자화가 있다. 객체화, 타자화, 대상화는 모두 objectification을 번역한 단어이다.

캐서린 맥키넌(Catherine A. MacKinnon)은 자신의 책 <포르노에 도전한다(Only Words)에서 객체화에 대해 여러번 언급한다. "곤혹스러운 성적 얘기는 곤혹스러운 성적 행위다. 그것이 더 커지거나 심해지는 경우, 그것은 인간의 존엄을 침해하고, 기회 균등을 부정하고, '배제' '분리' '인격경시' '종속' '비인간화'로 기능하게 된다"[1] "다시 말하면, 인간이 물건이 되고 상호적이어야 하는 게 일방적이 되고 주어져야 할 것이 훔치고 팔리는 것이 됨에 따라, 성적 대상물이 되는 것이 여성다움을 의미하게 되고 일방적인 행위가 상호관계로 인식되게 되고, 강제가 동의를 의미하게 된다."[2] "여성을 대상화 하고, 성적 대상 또는 사용을 위한 물건으로 비인간화해서 보여주는 산업에서부터, 여성에 대한 고문, 인종주의의 섹스화, 여성 신체 일부에 대한 물신주의도 포함된다."[3]

남성이 여성을, 여성이 여성 자신을 객체화 할 수 있다. 어떤 의미로든 이러한 객체화는 여성혐오다.

사람을 객체로 대하는 사고방식에 담긴 7가지 특징

마사 누스바움(Martha Nussbaum)이 밝힌 바 있다.

  1. 도구성 instrumentality: 사람을 객체화하는 자의 목적을 위한 도구로 대함.
  2. 자율성의 부정 denial of autonomy: 사람을 자율성과 자기결정권이 없는 것으로 대함.
  3. 비자발성 inertness: 사람을 행위 주체성이 없는 것으로 대함
  4. 대체 가능성 fungibility: 사람을 다른 객체와 교체 가능한 것으로 대함.
  5. 신체 경계선의 침범 가능성: 사람을 신체 경계선에 따른 온전성(boundary-integrity)이 없는 것으로 대함.
  6. 소유 ownership: 사람을 다른 이가 소유하거나 사거나 팔 수 있는 것으로 대함
  7. 주체성의 부정 denial of subjectivity: 사람을 경험이나 감정이 있을지라도, 이를 고려할 필요가 없는 것으로 대함.

레이 랭턴이 추가한 특징

  • 몸으로의 격하: 사람을 몸이나 몸의 부위와 동일시하여 대한다.
  • 외모로의 격하: 사람을 주로 어떻게 보이는지, 어떻게 지각되고 나타나는지에 따라 다르게 대함.
    • 예시: 여성성에 결부된 외모 비하. '여성스럽지 않'은 외모를 지닌 것이 희화화되는 것.
  • 침묵시키기: 사람을 마치 말할 능력이 없어서 침묵하고 있는 것처럼 대함.

참고문헌

스탠퍼드 철학백과의 항목들 03- 객체화에 대한 페미니즘의 관점들, 에반젤리아 파파다키 씀, 전기가오리 출판

  1. Catherine A. MacKinnon, 1994 <포르노에도전한다(OnlyWords)> P.76
  2. Catherine A. MacKinnon, 1994 <포르노에도전한다(OnlyWords)> P.52
  3. Catherine A. MacKinnon, 1994 <포르노에도전한다(OnlyWords)> P.4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