군대

최근 편집: 2018년 1월 4일 (목) 19:12
담담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월 4일 (목) 19:12 판

군대(軍隊)는 정부에 의해 지원 및 관리되는 전쟁 및 전투 담당 조직으로 국가 외부 또는 내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일정한 규율과 질서를 가지고 조직된 군인의 집단이다.

현대 자유민주주의 사회에서 군대는 국가와 그 주인인 국민을 보호하는 역할을 하며, 경찰, 소방관 등의 일차적인 사회 안전 시스템에서 완전한 대응 불가능한 대규모 재난/재해 발생 시 시민의 구조, 대피와 안전을 책임지는 역할을 하기도 한다. 대한민국의 군대도 예외는 아니며 상시로 재난 재해 현장에 투입되어 구조 및 수습 활동을 한다 [1]

세계 군사력 순위

2016년 4월 발표된 GFP 순위에 따른 것이다.

1위 미국, 2위 러시아, 3위 중국, 4위 인도, 5위 프랑스, 6위 영국, 7위 일본, 8위 터키, 9위 독일, 10위 이탈리아, 11위 대한민국.

병역제도의 종류

한국 병역 제도

한국은 징병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병역법에 따라 신체 조건에 도달하는 만 18세 이상의 대한민국 남성은 병역의 의무가 있다. 대한민국 여성은 군 병역의 의무가 없다. 그렇다고 대한민국 여성에게 국방의 의무까지 없는 것은 아니며, 많은 이들이 혼용하고 있지만 국방의 의무와 병역의 의무는 엄연히 다른 개념이다.

사회적 영향

군대의 명시적 역할은 국가 외부 또는 내부의 위협으로부터 국가를 방어하는 것이다. 하지만 군대는 여성, 소수자, 남자 중 군대를 못 가거나 안 간 사람들과의 갈등을 일으키는 원인이 되는 등 "차별의 재생산"이라는 비가시적 영향을 미치기도 한다. 예를 들어 군복무를 마친 사람이 기업에 취업할 때 시험 득점에 가산점을 부여하는 제도인 군가산점제도는 형평성 문제, 실효성 문제 등 많은 논란을 야기하고 있으며 1999년 위헌 판결로 폐지된 이후에도 재도입 여부를 두고 논란이 지속되고 있다.

악용의 여지

군대는 스스로 도덕적이고 정의로운 결정을 내리기보다 상위의 권한자의 결정을 따를 수밖에 없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즉 민주주의 이념에 따라 국민의 의사에 따르며, 국제법과 인권 조례를 준수하여 도덕적이며 올바른 결정을 내리는 인물이 국가의 원수(대한민국에선 대통령)라면 문제가 없으나 민주주의가 자리 잡지 못한 독재 국가나 왕정 국가라면 말이 달라지며 시민의 안전을 위협하고 자유를 탄압하며 나아가 전쟁 범죄를 저지르는 집단으로 변할 여지가 있다. 대한민국도 이러한 역사가 있으며, 전세계로 따지자면 셀 수 없이 많다.

같이 보기

군대를 소재로 한 대중문화 컨텐츠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