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설탕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일 (월) 23:00

개요

단맛을 내는 용도로 사용되는 감미료로, 영어로는 슈가(Sugar)라고 한다.

설명

실생활

사실상 가장 쉽고 저렴하게 단맛을 낼 수 있는 수단 중 하나다.[1] 요리할 때 설탕을 넣으면 달아지기만 하는 게 아니라, 입에 착착 감기는 감칠맛을 내주는 효과가 있다.

요즘에야 설탕이 굉장히 저렴해졌지만, 설탕값이 이렇게 싸진 건 얼마 되지 않았다. 1960년대만 해도 명절 선물이나 결혼식 답례품으로 백설탕을 주고 받을 정도로 고가 선물로 인식되어 있었다.[2][3] 그러다 점점 생활 수준이 높아지면서 웬만한 조미료는 집에다 구비할 수 있게 되었고, 건강에 안 좋다는 이미지가 생기면서 점점 가격이 하락하게 된 것.

화학

파일:설탕 분자구조.png

화학적으로는 슈크로스(sucrose)라 하며, 포도당(글루코스)과 과당(프럭토스)이 서로 결합해서 연결된 이합체다.[4] 그림의 왼쪽 덩어리가 포도당, 오른쪽이 과당으로, 쉽게 말해 두 분자가 합체했다는 뜻이다. 그렇기 때문에 당류 중에서 이당류로 분류된다.[5] 화학식은 C12H22O11이다.

종류

  • 가루설탕: 분당(粉糖). 또는 분말설탕. 정백당(백설탕)이라고 한다. 그래뉼러당같은 입자가 큰 설탕을 곱게 빻아 분말 형태로 만든 것이다. 국내에서는 보통 슈가 파우더라고 불린다. 다만 영어권의 일반적인 명칭은 Sugar Powder가 아니라 Powdered sugar다. 다른 명칭은 컨펙셔너 슈가(confectioner('s) sugar) 또는 아이싱 슈가(icing sugar). 가루설탕은 미세한 분말 상태라 습기를 흡수하면 덩어리져 굳기 쉽다. 따라서 전분을 3~5% 정도 섞어 사용한다.[6] 이 설탕은 제과·제빵 분야에서 장식할 때 흔히 사용하며 칵테일같은 음료에도 넣는다. 다만 과 달리 알코올에는 잘 녹지 않아서, 주정도가 높은 음료에 가루설탕을 첨가할 경우 이를 감안해야 한다.[7]
  • 흑설탕
  • 황설탕
  • 각설탕

캐릭터

설탕 애호가

설탕이 들어간 식품을 정말 좋아사모하는 캐릭터들이 많다. 이들은 대부분 상식선 이상의 단 것 사랑을 선보여 팬들에게 당뇨병 우려를 곧잘 자아내는 캐릭터들이다. 아래에 해당 캐릭터를 나열한다.

여담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 사실상 꿀이나 물엿 같은 액상조미료보다 설탕이 훨씬 효과적이다. 괜히 백종원이 슈가보이가 아니다.
  2. 당시로선 구하기 힘들었던 통조림도 마찬가지. 근데 이 때는 명절 선물로 실생활에 밀접한 물건들을 주던 시기였다. 밀가루라던가...
  3. ‘1960년대 ’ 설탕 1포대 ‘고가 선물’… ‘2000년대’ 홍삼 등 웰빙식품 인기 (2013.02.08, 문화일보)
  4. 이걸 좀더 화학적으로 글루코실피라노사이드(glucosylpyranoside)와 프럭토실피라노사이드(fructosylpyranoside)가 α-1, 4 결합으로 연결된 다이머(dimer)라고 표현한다. 뜻은 앞에서 한 말과 크게 다르지 않다.
  5. 같은 이당류로 젖당, 엿당 등이 있다.
  6. 두산백과 - 컨펙셔너 설탕
  7. 호텔용어사전 - 파우더 슈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