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법촬영 편파수사 규탄 2차 시위

최근 편집: 2018년 6월 11일 (월) 02:54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6월 11일 (월) 02:54 판 (영상 추가하고 문단 조정합니다)
빨간 단색 배경에 가운데에 원근법이 없는 성냥을 사각형으로 겹쳐서 쌓은 탑이 30층 정도 올라서 있다. 성냥은 테두리에 선이 보이는 그림이며 원근법이 느껴지지 않는다. 성냥 탑은 중간 층부터 위쪽으로 연기를 뿜고 있다. 연기는 조그맣게 시작하지만 위로 갈수록 커지며 그림 위쪽으로 나가고 있다. 포스터에는 흰색으로 된 글씨가 몇 있는데, 오른쪽에는 가장 큰 글씨로 "혜화역2번출구"라고 세소로 쓰여 있고, 포스터 위쪽에는 "불법촬영 편펴수사 규탄시위 2차 불편한 용기 주최"라고 쓰여 있다. 왼쪽 아래에는 작은 글씨로 "시간 2018년 6월 9일 토요일 오후 3시~6시 40분", "장소 혜화역 2번출구 앞 좋은공연안내센터", "드레스코드 레드"라고 쓰여 있고, 그 아래 제일 작은 글씨로 "본 시위는 생물학적 여성만 시위참여 가능합니다." "http://cafe.daum.net/Hongdaenam"이라고 쓰여 있다. 오른쪽 아래에는 디지털 숫자로 "2018. 06. 09" "PM 3:00-6:40"이라고 쓰여 있다.
공식 포스터.
  • 일시 - 2018년 6월 9일(토요일) 오후 3시~6시 40분[1]
  • 장소 - 혜화역 2번 출구 - 방통대 앞 4차선 및 인도
  • 드레스코드 - 레드
  • 주최 - 불편한 용기

퍼포먼스

참가자들은 남성 경찰청장과 남성 검찰총장을 파면하고 여성 경찰청장과 여성 검찰청장을 선출할 것, 여남 경찰 비율 9:1 등을 요구했고, 불법촬영물 유포자, 다운로더, 위장형 카메라 판매자 및 구매자, 디지털장의사에 대한 수사 등을 촉구했다.[2] 불법촬영 범죄자 10명 중 8명은 벌금형이나 집행유예에 그쳤다는 점을 지적하고, '우리는 편파수사를 규탄한다', '수사원칙 무시하는 사법 불평등 중단하라' '여성유죄 남성무죄 성차별 수사 중단하라' 등의 구호를 외쳤다.[2]

삭발식

집회 참가자 중 미리 신청을 받은 여성 6명의 허리까지 오는 긴 머리카락이 잘리는 순간, “시원하다” “상여자” 등의 구호가 터져 나왔다.[3][4] 6명 중 3명은 완전히 머리를 밀었다.[4] 주최측은 "전세계 모든 시위에서 삭발은 강력한 의지와 물러서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던진다"며 "우리는 여자가 아닌 사람으로 살고 싶다는 의미를 전달하고자 삭발이라는 행동으로 우리 뜻을 보이려고 한다"고 강조했다.[5] 삭발에 동참한 한 참가자는 "동생이 커가면서 세상이 규정하는 여성서을 자기 코르셋에 적용해 화장을 하고 머리를 기른다"며 "내가 먼저 솔선수범해 동생이 코르셋을 벗고 여성을 사람으로 보는 세상에 살게하고 싶다"고 했다. 또 다른 삭발 참가자는 "자르고나니 별 거 아니다. 여성들이 외모 강박에서 벗어나 살기를 바란다"고 말했다.[2]

규탄 편지

참가자들은 경찰청장에게 보낼 편파수사 규탄 편지를 각자 써온 뒤 편지봉투를 흔들며 구호를 외치는 퍼포먼스도 했다. 행사가 끝난 뒤에는 해당 편지를 우체통이나 주최 측이 마련한 상자에 넣어 경찰에게 그들의 의사를 직접 전달했다.[5]

몰카 미러링

미러링 퍼포먼스 공식 영상.

남성안심 화장실에 들어간 한 남성이 여성들의 몰카를 통해 고통스러워 하는 장면이 연출됐다.[4] 이들은 “한국의 현실에서 여성은 공중 화장실조차 마음 편히 가지 못한다”며 “가장 기본적인 프라이버시조차 피해 당하는 한국 여성의 현실을 미러링 퍼포먼스를 통해 보여주고자 했다”고 설명했다.[4]

사건·사고

  • 시위 당일 한 스탭이 경찰에게 피해를 보았다는 후기가 많았고, 10일 새벽 주최측은 '사실관계를 정리할 시간이 필요하여 내용 정리 후 공지/입장문을 올리'겠다는 공지를 하였다.[6] 11일 주최측은 <경찰의 시위 스태프 Q 폭행 사건 과정>을 정리한 글을 카페에 올렸다.[7]
  • 서울시장 후보인 신지예는 유세를 위한 SNS 라이브 방송에서 종종 '6월 9일 시위 참가를 희망하지만 괜히 가면 폐가 될까봐 어떻게 할지를 고민 중'이라고 말하곤 했는데, 이를 위해 캠프 관계자가 '정당에 소속된 사람이 개인 자격으로 참가해도 되는지'만을 물어 '된다'고 답변을 받아 그대로 유세 일정에 포함했다가 여론의 규탄을 받고 주최측과 조정하여 불참하기로 한 일이 있었다.

방송 보도

SBS 뉴스
KBS 뉴스

기타

  • 주최 측 추산 3만여명, 경찰추산 1만5000여명이 참가했고, 부산, 대전, 광주, 창원, 천안, 평택, 울산 등에서는 버스를 대절해 참가하였다.[3][2]
  • 참가자 간 인사로 자이루가 많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같이 보기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