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자 룩셈부르크

최근 편집: 2019년 12월 17일 (화) 21:31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12월 17일 (화) 21:31 판 (→‎저서: 수정 및 연도 추가)
로자 룩셈부르크
Róża Luksemburg
출생1871년 3월 5일(1871-03-05)
러시아 제국 폴란드 입헌왕국 자모시치
사망1919년 1월 15일 ()
독일 베를린
국적독일
학력취리히 대학교
직업경제학자, 사회운동가
종교무종교 (무신론)
정보 수정

로자 룩셈부르크 (독일어: Rosa Luxemburg, 1871년 3월 5일 ~ 1919년 1월 15일)는 폴란드 출신의 독일 마르크스주의, 정치이론가이며 사회주의자, 철학자 또는 혁명가이며, 레닌주의 비판자이다.

그는 독일 사회민주당(SPD)과 이후의 독일 독립사회민주당(USPD)의 사회 민주주의 이론가였다. 그는 신문 〈적기(赤旗)〉를 창간했고 나중에 독일 공산당(KPD)이 된 마르크스주의자 혁명그룹 스파르타쿠스단을 공동으로 조직하여 1919년 1월에 베를린에서 혁명을 기도하였으나 실패하였다. 그의 지도 아래 수행된 혁명은 자유군단에 의해 진압되었고, 룩셈부르크와 수백 명의 혁명군은 체포되어 고문당하고 살해되었다.

생애

유년기

로자 룩셈부르크는 1870년 폴란드 남동부의 자모시치에서 로잘리아 룩센부르크(폴란드어: Rozalia Luxenburg)라는 이름으로 태어났다. 그의 집안은 유대계였고 자유주의적 분위기를 가진 목재상의 집안으로, 경제적으로도 유복했다.[1] 로자는 오남매 중 막내였으며, 다섯 살 때 을 앓아 엉덩이 통증으로 인해 잘 걷지 못했다고 한다.

그의 가족은 폴란드의 수도인 바르샤바로 이주했고 그는 그 곳에서 학창시절을 보내게 된다.


학문과 정치활동

그는 16살 때 프롤레타리아 당에 가입하면서 좌파활동에 뛰어들었다. [1] 그는 동유럽 유대인의 세계시민주의의 분위기 속에서 성장했다. 이는 그가 폴란드어, 러시아어, 독일어, 프랑스어를 유창하게 말하고 썼으며 영어이탈리아어도 능숙하게 구사했다는 점에서 드러난다. 또 그는 독일부르주아지 전통 속에서 성장했지만 고등학교를 졸업하던 해에 제정 러시아 정부의 반정부주의자 탄압에 분노하여 정치적으로 크게 선회한다.

그는 유대 혁명 서클에 가담해 반정부활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던 것이다. 러시아 정부의 수배로 인해 그는 스위스로 망명하게 된다. 그는 여성이나 유대인의 입학을 거부하지 않는 스위스취리히 대학에 진학했는데 이곳에서 정치경제, 을 공부하는 동시에 노동운동도 하게 된다.[1] 입학 다음 해에 그는 법학부로 학적을 옮겼고 국민경제학과 공법학에 대해 공부했다. 이 곳에서 그는 마르크스주의자로서의 길을 걷기 시작한다. 그의 박사학위 논문은 폴란드의 산업 발전에 관한 것이었고, 그는 이내 마르크스주의자로서의 정치적 활동도 시작한다.

로자 룩셈부르크(1907)

1898년에는 독일인과 위장결혼하여 독일 국적을 취득하고 독일 내 사회주의 활동에 발을 들였다.[1] 제2차 인터내셔널의 가장 큰 정당인 독일 사회민주당에 입당했고, 그 해 슈투트가르트에서 있었던 전당대회에서부터 두각을 나타내게 된다. 로자는 1899년 베른슈타인을 비판하는 사회개혁이냐 혁명이냐라는 글을 발표하면서 이론가로서의 입지를 다졌다.[1]

1905년1차 러시아 혁명은 그의 입장을 급진화시키는 계기가 되었다. 그는 바르샤바로 달려가 투쟁에 동참했으며, 그로 인하여 러시아 정부에게 1906년 두 달의 금고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1911년에는 인터내셔널 사회주의국의 구성원이 되었으며, 1914년 2월에는 반 군국주의 연설을 한 죄목으로 인해 일 정부에 의해 1년 징역형을 선고받기도 했다. 이 형은 1915년 3월부터 집행된다.

스파르타쿠스단 반란 가담

거리의 전투나 감옥의 나의 자리에서 죽기를 소망한다.

로자 룩셈부르크가 평소에 하던 말.

1916년 2월에 일시적으로 출옥했지만 그해 7월부터 1918년 11월까지 보호관찰처분을 받는다. 그러나 그는 그 와중에도 정치활동을 계속했다. 그는 개량주의적이고 관료적인 독일 사민당을 비판하며 급진 좌파 세력을 이끌었으며, 이어 결성된 스파르타쿠스단의 지도부에 참여했다.

로자는 스파르타쿠스단 기관지인 《붉은 깃발》의 필자 중 한 명이었으며, 1918년 12월 말 독일 공산당 창립 총회에서 연설을 행하기도 했다. 1919년 1월에는 스파르타쿠스단의 반란에 막후에서 참여하게 된다. 47세였던 1919년 1월 15일 밤 우파 민병조직원들에게 붙잡힌 뒤 고문 끝에 베를린의 티어가르텐 공원에서 총에 맞아 숨졌다.[2] 이러한 박해와 살인은 그의 동지들이었던 카를 리프크네히트, 레오 요기헤스, 후고 하세, 쿠르트 아이즈너 등에게도 가해진 일이었다.


사후

사망 5개월 후, 운하의 얼음이 녹는 5월 31일에 란트베어 운하에서 한 시신으로 발견되었고[1] 그후 검시를 거쳐 시내 프리드리히스펠데 공원묘지에 매장된 것으로 알려져 있었다. 이 묘소는 이후 좌파의 순례지가 됐고, 해마다 묘소 주변에서 공산당원과 좌파들의 추모행진이 열려왔다.[2]

그러나 2009년 5월 30일, 로자 룩셈부르크의 시신이 사망한 지 90년 만에 베를린의 자선병원 지하실에서 발견되었다고 독일의 시사주간 슈피겔이 보도했다.[2] 그래서 기존의 로자 룩셈부르크의 묘가 엉뚱한 사람의 묘일지도 모른다는 논란에 휩싸여 있다. 그의 유골은 나치 시절 묘지가 훼손되면서 사라져 묘지에 시신이 없는 상태이며 따라서 당시 묻힌 시신에 대한 재검사를 할 수 없어 더 논란이다.

슈피겔에 따르면 베를린 샤리테 병원 법의학 연구소의 미하엘 초코스 소장은 2년전 병원내 의학사박물관의 지하 창고 깊숙한 곳에서 머리와 손, 발이 없는 시신 한 구를 발견한 뒤 시신에 딸린 부검소견서가 불분명하고 미심쩍은 점이 많다는 점을 이상하게 여겨 X선 단층촬영을 시행했고, 반쯤 부패된 이 시신이 로자 룩셈부르크임을 강력히 시사하는 증거들을 확인했다. 그 증거들은 다음과 같다.

  • 시신이 40~50세 여성의 것이다.
  • 한동안 물속에 가라앉아 있었던 것으로 추정된다.
  • 골관절염을 앓아 양쪽 다리 길이가 달랐다. 룩셈부르크는 선천성 관절염으로 양쪽 다리 길이가 달라 평생 절뚝거렸던 것으로 알려졌다.
  • 당시 묘지에 묻힌 시신의 검시기록에는 골관절염이나 총상에 대한 언급이 없다.

미하엘 초코스 소장은 이번에 발견된 시신의 머리가 없는 이유는 알 수 없지만 당시 두개골 수집이 유행했기 때문일 수도 있으며, 민병대가 로자를 살해한 뒤 손발에 돌을 매달아 던진 탓에 수족도 훼손된 것으로 추정했다.


사상

  • 국제주의
  • 레닌주의 비판
  • 자본축적론
  • 민족문제
  • 당시 서프러제트 운동이 한계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남성우월주의에 맞선 투쟁에서는 사자처럼 행동하는 부르주아 여성들의 대부분이 참정권을 얻고 나면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반동 진영의 유순한 양이 될 것'이라는 생각에서였다.

저서

평가

레닌에 필적했던 인물이며, 레닌주의가 수반할 관료주의공포정치를 끊임없이 비판했다. 그가 꿈꾸던 세상은 “혁명과 사회주의민주주의의 화해와 공존” “대중의 의지에 대한 존중”이라고 요약할 수 있다.[3]

명언

Freiheit ist immer nur Freiheit des anders Denkenden.
자유는 항상 다르게 생각하는 자들의 것이다.

정부 지지자나 당의 구성원의 숫자가 아무리 많다고 하더라도, 그들만을 위한 자유는 결코 자유가 아니다. 자유란 '항상 다르게 생각하는 사람들의 자유'이다. '정의'에 대한 광적인 믿음 때문이 아니라, 정치적 자유에 있어 교훈적이고 건전하며 정죄되는 모든 것들이 이 필수적인 특징에 달려 있기 때문이며, 이 모든 효과들은 자유가 특권화되는 순간 더 이상 작동하지 않는다.[주 1][4]

사회의 자본주의적 상태는 의심의 여지 없이 역사에서 필수적이지만, 자본주의에 대항하는, 자신들의 무덤을 파는 자들에 대항하는, 노동자 계급의 저항 역시 역사에서 필수적이다.[주 2]

총선, 언론과 집회의 무한한 자유, 그리고 자유로운 의견 투쟁이 없다면, '삶'이란 관료주의만이 살아 숨쉬는 곳에서 한낱 삶을 흉내내는 무엇인가일 뿐이며 그 어떤 공공 제도 속에서도 찾아볼 수 없게 될 것이다.[주 3][5]

우리에겐 최소한의 계획도 최대한의 계획도 없다. 오늘날의 우리는 최소한 '사회주의는 하나이며 똑같은 것'이라는 사실을 깨달아야 한다.[주 4][6]

현재 우리는 프리드리히 엥겔스가 한 세대 전에 예견했던 것과 같은 선택의 기로에 놓여 있다:
* 제국주의의 승리: 고대 로마의 붕괴와 같은 문명 붕괴, 인구 감소, 황폐화, 퇴보 - 즉 거대한 공동묘지
* 사회주의의 승리: 제국주의와 제국주의의 전쟁 방법에 대한 국제적인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의식적인 투쟁[7]

남성우월주의에 맞선 투쟁에서는 사자처럼 행동하는 부르주아 여성들은 대부분 참정권을 얻고 나면 보수적이고 종교적인 반동 진영의 유순한 양이 될 것이다.[주 5][8]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 학술대회

1980년부터 2년에 한 번 세계 주요 도시에서 '로자 룩셈부르크 국제학술대회'가 열린다. 2015년에는 성공회대에서 개최되었다. [9]

관련 자료


부연 설명

  1. Freedom only for the supporters of the government, only for the members of a party – however numerous they may be – is no freedom at all. Freedom is always the freedom of the one who thinks differently. Not because of the fanaticism of "justice", but rather because all that is instructive, wholesome, and purifying in political freedom depends on this essential characteristic, and its effects cease to work when "freedom" becomes a privilege.
  2. The capitalist state of society is doubtless a historic necessity, but so also is the revolt of the working class against it – the revolt of its gravediggers.
  3. Without general elections, without unrestricted freedom of press and assembly, without a free struggle of opinion, life dies out in every public institution, becomes a mere semblance of life, in which only the bureaucracy remains as the active element.
  4. For us there is no minimal and no maximal program; socialism is one and the same thing: this is the minimum we have to realize today.
  5. Most of those bourgeois women who act like lionesses in the struggle against "male prerogatives" would trot like docile lambs in the camp of conservative and clerical reaction if they had suffrage.

출처

  1. 1.0 1.1 1.2 1.3 1.4 1.5 김혜미 (2009). [세상을 앞서간 여성들] 대중, 역사를 바꾸는 힘 - 로자 룩셈부르크(Rosa Luxemburg). 새가정, 26-29.
  2. 2.0 2.1 2.2 구정은 (2009년 5월 31일). “독일 여성 혁명가 로자 90년만에 시신 발견”. 경향신문. 2013년 1월 25일에 확인함. 
  3. 김흥순 (2018년 1월 22일). “불요불굴의 여성혁명가, 자유로운 영혼 로자 룩셈부르크(Rosa Luxemburg)를 기억하며”. 《개미뉴스》. 2018년 4월 24일에 확인함. 
  4. "Die russische Revolution. Eine kritische Würdigung" (1920). Berlin. p. 109. Collected Works (1983). Dietz Verlag Berlin (East). Vol. 4. p. 359.
  5. The Russian Revolution. Chapter 6. Rosa Luxemburg Internet Archive.
  6. Our Program and the Political Situation. Rosa Luxemburg Internet Archive.
  7. The Junius Pamphlet. Chapter 1. In the Rosa Luxemburg Internet Archive.
  8. Luxemburg, Rosa. “Rosa Luxemburg: Women's Suffrage and Class Struggle (1912)”. 《Marxists.org》. 2018년 2월 22일에 확인함. 
  9. “‘아시아 사회주의와 유럽 사회주의’를 이야기하자”. 《참세상》.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정의된 "한겨레21"이라는 이름을 가진 <ref> 태그가 위에서 사용되고 있지 않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