설강화

최근 편집: 2021년 12월 25일 (토) 20:11
사회인권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12월 25일 (토) 20:11 판 (→‎협찬)
장르 시대극, 멜로
방송 시간 토·일 / 오후 10:30 ~ 12:10
방송 기간 방송 중

2021년 12월 18일 ~ 2022년 2월 6일

방송 횟수 16부작
제작 JTBC Studio·DRAMAHOUSE
채널 JTBC
연출 조현탁
극본 유현미 [1]
음악 김태성
출연 정해인, 지수, 유인나, 장승조, 윤세아, 김혜윤, 정유진
독점 스트리밍 디즈나+
시청 등급 15세 이상 시청가

설강화는 JTBC의 드라마이다.[2]

역사 왜곡 논란

줄거리는 반독재 투쟁이 있던 1987년 서울을 배경으로 호수여자대학교 재학생 영초가 피투성이가 된 남성 수호를 운동권 학생으로 생각해 보호하고 치료해주다 사랑에 빠지는 것이다. 청와대 국민청원 청원인은 "설강화는 민주화 운동에 북한의 개입이 없다는 걸 몇 번씩이나 증명했음에도 불구하고 간첩을 주인공으로 했다"며 "그 외에도 다른 인물들은 정부의 이름 아래 인간을 고문하고 죽이는 걸 서슴치 않은 안기부의 미화를 시도하고 있다"며 비판하였다. [2]

유현미가 이화여자대학교를 바탕으로 역사 왜곡을 넘어 여성혐오적인 드라마를 집필하였다는 비판이 이어진다. [3] [4] [5] [6]

북한의 개입 여부보다 중요한 것은 그 민주화의 내적 동인을 무엇에서 파악하는지, 실제 인물의 역할이나 기관의 역할이 어떻게 재해석되는가이다.

작중 안기부 해외팀 소속으로 등장하는 인물에 대해 미화 논란이 있자 JTBC에서는 해당 인물이 국내팀이 아닌 해외팀에 소속되어 있다는 점을 들어 안기부 국내팀의 정치개입요소와 단절시키려는 시도를 하였으나, 이는 안기부 해외팀이 민주화운동 탄압으로부터 분리되었다는 나무위키의 서술을 참고로 한 것으로 보인다.

참고로 안기부 해외팀은 크게 알려진 것만으로도 각종 재일교포를 고문으로 조작간첩을 만들거나 유럽의 해외 교포를 간첩으로 만들었던 동백림 사건, 아내를 무참히 살해하고 북한으로 도망치려다가 북한에게 거부당해 미국으로 도망치려다가 미국에게도 거부당한 살인범을 선거에 유리하게 이용하기 위해 영웅으로 만듦과 동시에 그 아내를 희대의 간첩으로 조작하여 그 유가족에게는 끔찍한 고통을 주고 그 살인범은 이후 사업가로 승승장구하게 만들었던 수지 김 사건 등을 저질렀다.

비판

이에 위근우는 인스타그램을 통하여 "1987년 군부정권·대선정국이 배경인 드라마에서, 인물·기관 설정이 가상 창작물이면 주인공이 외계인이고, 1980년 서울에 외계인 관리청이 비밀리에 존재한다는 각본정도여야 하지 않겠나. 안기부·간첩이 온전한 가상이 되냐. 말 같은 소리를 하라. 시대배경은 무슨 벽지로 임의로 쓸 수 있지 않다. 부당한 권력·반공 이데올로기 지배가 깔려있는데 안기부가 시대배경과 독립돼 그러지냐. <모래시계>는 5·18을 주제로, 조폭물이라는 냉정한 평가가 있었지만, 그래도 인물들은 시대와 싸우고 호흡하는 인물이었다. 시대배경 단어에 얼마나 많은 맥락이 있는데, 가상 인물을 분리하라면 말인지 방귀인지. 처음부터 시민으로서 역사의식·창작자로서 책임감에 대하여 아무 인식도 없던 확산범들이 아닌가 싶은 정도다. 기적처럼 이 모든 우려를 뚫고 괜찮은 작품이 나올수도 있겠지만, 저는 기적을 믿지 않는다." 라며 비판하였다. [7] 트위터에도 게재하였다. [8]

언론계에서도, "온전히 가상 창작물로 존재하려면 배경이 되는 군부정권·대선정국, 새롭게 창작된 인물이어야 하였다. 군부정권에 맞어 민주화운동을 하는 인물이 등장하고, 안기부에 쫓기다 총을 맞고 이대기숙사에 숨어든 간첩 이라는 설정이 시대 배경과 독립될 수 있나. 당시 군부 억압·반공 이데올로기로 피에 물든 수많은 학생·희생·아픔으로 기억되어야 하는 시대를 지우고, 드라마를 설명할 수 있는지 묻고 싶다.

1회에서 간첩인 임수호(정해인)이 안기부에 쫓겨 도망갈때 배경 음악으로 <솔아 푸르른 솔아>가 삽입됐는데, 간첩·안기부 추격 장면에 적절하지 않은 배경음악이라는 비판이 이어진다. 2화에서는 북한에서 이별하는 장면을 보여주면서, 대놓고 간첩으로 소개시켰고, 결론적으로, 민주화 운동가들이 간첩이라는 설정이다.

총을 맞고 이대기숙사에 숨어든 임수호를 지키기 위하여 영로가 할아버지 직원에게 도움을 구하는데, "혹시 간첩 아니냐"라고 묻고, 영로는 "대모하는 학생들은 무조건 빨갱이로 내몬다" 며 임수호를 두둔한다. 방송에서 빨갱이라는 말이 적절한가.

애초에 학생들이 안기부 요원에게 당당히 맞서고, 아무런 연기 없이 물러나는 요원 설정이 설득력이 부족하다. 드라마를 보고 판단하라며 큰소리쳤지만, 제작진은 네이버 드라마 대화를 비공개 전환하며 소통 창구를 모두 패쇄하였다. <설강화>는 인터넷으로 제작발표회를 하면서 슈퍼챗으로 여는 황당한 행태를 보였다.

"지수 발성이 부족하다" 라는 연기력 비판도 이어졌고, 정해인이 "내가 88년생이다. 1987년은 직접 겪지 못한 시대다. 당시 배경으로 한 작품이 많기도 하지만, 사실 정답은 다 대본에 있다고 생각한다. 대본을 잘 들여다보면 머릿속으로 그림이 그려진다." 라고 인터뷰한 부분이 비판을 받는다." 라며 비판하였다. [9]

출연진

정해인 지수(가수) 유인나 윤세아 장승조 정유진 김혜윤 허준호 박성웅 김정난 정혜영 백지원 이화룡 김민규 장인섭 정신혜 김미수 최희진 안동구 허남준 김종수 남미정 정이서 [10]

협찬

  • 디즈니플러스
  • 푸라닭치킨 (주) 아이더스코리아
  • 대라수 대라종합건설㈜
  • 넛츠쉐이크 페인제이그룹
  • 선문대학교
  • 대구대학교
  • 부산영상위원회
  • 인천영상위원회
  • 강원영상위원회
  • 안성내츄럴리조트
  • 합천영상테마파크
  • 인천 시민애 집
  • 관동대학교
  • 대경대학교 연극영화과
  • 비아베네또
  • 미라지퍼니쳐
  • 하이퍼스
  • 더 젠틀
  • 다이슨
  • 대상라이프
  • 진주쉘
  • MILLIENS
  • 스피드랙
  • 광주 앤틱프랑스
  • 채럽앤틱
  • 오투가구
  • 요기요
  • 노바마루
  • 뉴하우징
  • 벽난로협찬
  • 도평요
  • 민휘아트주얼리
  • Good Jewelry
  • BLANcVIEW
  • 캘리포니아 슬립나잇
  • CHANG HOME
  • 아띠채
  • 공간조명
  • PROLIGHTING
  • 산본문화조명
  • 히트조명
  • 마다메이드
  • 옥꽃의힘 아토제이드
  • REUGE
  • PARKER
  • 맥슨통신
  • ROYAL
  • 삼천리자전거
  • HIPPINK
  • 싸리재
  • W101
  • 빌레로이앤보흐
  • 서울우유
  • 노트파우치
  • 바꿀래침구
  • 아인텍
  • 대한제분
  • 국수코리아
  • 알파
  • 토이랜드
  • 투지백
  • 재봉실올리비아
  • CHAUSSURE LAPIN
  • BAU by bride and you
  • FLASK
  • GIOVANNI
  • Karen white
  • POLENE
  • 잇미샤
  • CO N
  • 이랜드
  • BATON
  • 예인방 강영숙 한복
  • 방씨네 아빠시계
  • 니틀리
  • 신성사
  • 나이키
  • 유르트
  • 아보아보
  • 브로우앤드
  • 바바로사
  • 호미가
  • 룩캐스트
  • 포디어윅스
  • 조스라운지
  • 투엘브썸
  • 굿나잇 데이브
  • 오잇
  • 오가넷 맨션
  • 퍼리즘
  • 비마이레이디
  • 가니송
  • 비스아틀리에
  • 리제
  • 루이엘
  • 우이
  • 깜장오리
  • 아트뮤제
  • 한국화장품
  • 한일케페트

[11][12] [13]

출처

  1. 대한민국 작가로, 이화여자대학교 불어불문학과 졸업, 고려대학교 문학과 석사
  2. 2.0 2.1 전성운 기자 (2021년 3월 28일). “민주화 시위에 북한 간첩이?…JTBC '설강화' 논란”. 《여성신문》. 
  3. “[단독] '설강화' 유현미 작가, 과거 집필도우미로 윤석열 지목”.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4. “https://twitter.com/oihlo/status/1472431343435141121”.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5. “https://twitter.com/jhonestly8/status/1472264711467302913”.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6. “https://twitter.com/109banana/status/1375147998909509635”.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7. “위근우 ‘설강화’ 제작진 비판 “시대배경? 말 같은 소릴””.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8. “https://twitter.com/guevara_99/status/1471486644918558724”.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9. 이이슬. “[초점+] 왜곡·미화…역사가 통곡할 '설강화' 논란, 망신살 뻗친 JTBC”. 2021년 12월 20일에 확인함. 
  10. “https://twitter.com/red_sam_s2/status/1471383596128940036”. 2021년 12월 17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1. “시사/이슈/유머 - 설강화 협찬사, 협조처들 홈페이지/연락처 모아왔어! 협찬 칭찬하자!!”.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12. “https://twitter.com/anggeum_butter/status/1472415766226116615”.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
  13. “https://twitter.com/500ml7_/status/1472862622722965508”. 2021년 12월 25일에 확인함.  |title=에 외부 링크가 있음 (도움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