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29 압사 참사

최근 편집: 2022년 10월 31일 (월) 00:07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0월 31일 (월) 00:07 판 (→‎발생 원인)

이태원 압사 사고는 2022년 10월 29일 오후 10시 15분(KST)에 대한민국 서울특별시 용산구 이태원동 119-6번지에서 발생한 대형 압사 사고이다. 당시 이태원에는 할로윈을 앞두고 많은 사람들이 몰려 있었으며, 좁은 골목길로 인파가 밀리면서 사상자가 다수 발생했다.

10월 30일 오후 4시 반까지 이태원 압사 사고로 인한 사망자는 153명, 부상자는 82명으로 집계되었다. 오후 5시 반 브리핑에서 사망자가 한 명 더 늘어 154명이 사망했다. 이 사고는 304명이 사망한 2014년 세월호 침몰 사고 이후 대한민국에서의 최대 인명 사고이며, 특히 서울 도심에서 벌어진 대형 참사로는 502명이 사망한 1995년 삼풍백화점 붕괴 사고 이후 처음으로 기록되었다.

경과

사건 당일 (10월 29일)

10월 29일 오후 10시 15분 경 10명 규모의 압사 사고가 발생했다는 신고가 처음 접수되었다.[1] 소방당국은 11시 19분부터 축제 중단을 요청했다.[2]

다음날 (10월 30일)

10월 30일 오전 6시 30분 최성범 서울용산소방서장의 브리핑에 따르면 사망자 149명, 부상자 76명이 발생하였다. 사상자 대부분이 20대, 30대이며, 피해자 중 외국인은 사망자 20명, 부상자 15명이다. 인명 구조를 위하여 소방 507명, 구청 800명, 경찰 1100명, 기타 14명, 총 인력 2,421명이 동원되었다. 또한 장비는 소방 184대, 구청 10대, 경찰 30대, 기타 9대의 총 233대가 동원되었다. 재난의료지원팀 14팀(서울 7, 경기 7)이 출동하였다. 또한 타 시도 구급대에서는 장비 94대, 인력 222명이 지원되었다.[3][4] 9시 30분 기준 소방당국은 사망자가 2명 더 늘어 151명, 부상자는 6명 더 늘어 82명이 되었다고 발표했다.[5] 사망자 151명 중에는 남성이 54명, 여성이 97명이다.[6] 30일 오후 4시 30분 발표 기준 사망자가 2명 더 늘어 153명이 되었다. 늘어난 2명 중 1명은 외국인이었다.

원인

행정공백

그외 현장 원인

사고지점 지형 특성

사고가 발생한 이태원 세계음식거리라고 불리는 해밀톤호텔 옆 이태원로 173 인근 골목은 길이 40여 미터, 폭 6미터의 좁은 내리막길로, 길의 크기에 비해 과도하게 사람이 몰린 것이 원인으로 지목된다. 세계음식거리는 작은 클럽들도 많고, 서울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 출입구가 바로 앞에 있어 접근하기 용이해 평소에도 사람이 많은 곳이었다.[7]

도미노 효과.

사건 당시, 많은 인파로 인해 골목 위쪽에서 아래로 빠져나가려는 인파들 사이에서 답답함을 이기지 못한 위쪽 인원들이 "밀어"라는 구령과 함께 본인들 앞의 인원들을 밀어버려 아래쪽까지 도미노처럼 넘어져 압사 사고가 발생하였다.[8][7][9]


통제인력 부족 및 통제력 상실

29일 밤 참사가 벌어질 당시 현장 배치된 경찰관은 137명으로, 심지어 정복을 입은 경찰관은 58명뿐이었다.[10]

피해

피해 규모

피해가 커진 이유

현장에 있던 많은 시민이 주취자로, 음주하지 않은 상태에서보다 인지기능이 저하된 상태였다. 알코올은 급성 또는 만성적으로 인지기능에 영향을 준다. 술을 단기간에 먹은 경우에 정신기능의 속도가 저하되고, 반응에 걸리는 시간이 증가하며, 많이 취할수록 기억력이 저하되고, 집중이 안 되며 심한 경우 섬망, 혼수상태에 빠지게 된다.[11]

핼러윈 코스튬으로 경찰 제복을 입은 시민들도 있어 현장에 있던 경찰과 소방 관계자들의 통제가 어려웠다는 증언이 나왔다.[12]


현장 상황

사고 후

정부 대응

국제 반응

외교적 반응

  •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현지시간 10월 29일 성명을 내고 "서울에서 사랑하는 사람을 잃은 가족들에게 깊은 애도를 표한다", "우리는 한국인들과 함께 슬퍼하고, 부상당한 모든 분의 빠른 쾌유를 빈다"는 입장을 밝혔다.[13] 제이크 설리번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은 트위터를 통해 "한국이 필요한 어떤 지원도 제공할 준비가 되어 있다"는 입장을 밝히고,[14]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트위터를 통해 서울의 압사 사고에 깊은 애도를 전한다고 밝혔다.[13]
  • 캐나다의 쥐스탱 트뤼도 총리는 해당 사고에 대해서 "깊은 애도의 뜻을 표하고 부상자들의 빠른 쾌유를 기원했다"고 밝혔으며, 캐나다의 멜라니 졸리 외교부 장관 역시 애도를 표하며 한국을 향해서 함께 할 것이라고 했다.[15]
  • 일본기시다 후미오 총리는 10월 30일 낮에 SNS에서 "젊은이들의 귀중한 생명이 희생된 사건이 안타깝다"며 "깊은 슬픔을 느낀다"고 밝혔다.[16]
  • 리시 수낵 영국 총리트위터에서 "매우 고통스러운 시간을 마주한 모든 한국인과 대응하는 이들에게 깊은 애도와 위로의 뜻을 전한다"고 말했다.[15]
  • 에마뉘엘 마크롱 프랑스 대통령트위터를 통해 "이태원에서 일어난 비극에 한국 국민과 서울 주민에게 진심 어린 애도를 보낸다"는 말과 함께 "프랑스는 여러분 곁에 있겠다"고 밝혔다.[15]
  • 올라프 숄츠 독일 총리트위터를 통해 "서울에서 있었던 비극적 사건으로 우리모두 충격에 빠졌다. 수많은 희생자와 유족에게 애도를 전한다"면서 "한국에 슬픈 날이다. 독일이 그들 곁에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17]
  • 안톤 게라셴코 우크라이나 내무장관은 트위터에 "서울에서 있었던 비극으로 사랑하는 이들을 잃은 분들, 부상자를 지켜본 분들 모두에게 깊은 위로를 전한다"면서 "다시는 이런 일이 일어나지 않기를 바란다"고 밝혔다.[17]
  • 호세프 보렐 유럽연합 외교·안보 정책 고위대표는 "서울 중심부에서 일어난 끔찍한 사건에 대해 깊은 슬픔을 느낀다"며 힘든 순간에 한국 국민과 함께 한다고 밝혔다.[15]
  • 마테우시 모라비에츠키(Mateusz Jakub Morawiecki) 폴란드 총리는 SNS에 해당 사고로 사망한 이들에 대한 애도를 표하며, 사망자의 유족과 모든 한국인들을 위해 기도하자는 내용으로 글을 마쳤다.

외신 보도

2차 가해

같이 보기

출처

  1. “수십만 인파에 막힌 구급차... 이태원 사고현장 진입에 1시간 넘게 걸렸다”. 조선일보.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2. 이우연; 박지영; 장나래 (2022년 10월 30일). “사상자 느는데도 일부선 핼러윈 파티 계속…빈자리 없는 술집도”. 《한겨레.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3. 이우연; 김지은 (2022년 10월 30일). “[속보] 이태원 압사 149명…“중상자 19명, 추가 사망자 가능성도””. 《한겨레.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4. “[현장영상+] "사망 149명·중상 19명·경상 57명...10대·20대 다수".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5. 이주빈 (2022년 10월 30일). “[속보] 오전 9시30분 이태원 사고 사망 254명, 부상 82명으로 늘어”. 《한겨레.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6. “[속보] "이태원 참사 사망자 여성 97명, 남성 54명"<소방당국>”. 《연합뉴스》.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7. 7.0 7.1 박진준 (2022년 10월 30일). “비극 현장이 된 이태원 골목길, 이유는?”. 《MBC 뉴스》.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8. '이태원 참사’, '세월호 악몽' 연상… “붕괴된 국가 안전시스템””. 《굿모닝충청》.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9. "밀지마! 밀지마! 사람살려"…이태원 골목은 '통곡의 벽'. 《뉴스트리》.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0. https://m.hani.co.kr/arti/society/society_general/1064959.html?_fr=gg#cb
  11. https://m.korea.kr/news/healthView.do?newsId=148661318#health
  12. https://www.seoulwire.com/news/articleView.html?idxno=485024
  13. 13.0 13.1 “바이든, 이태원 참사에 “깊은 애도”…주요국 위로 표명”. 국민일보.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4. “미 언론 "세월호 참사 이후 최대 인명피해"…바이든 "깊은 애도". JTBC.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5. 15.0 15.1 15.2 15.3 “세계 각국 정상 이태원 참사 “깊은 애도와 지원””. 경향신문.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 
  16. https://m.ytn.co.kr/news_view.php?s_mcd=0104&key=202210301305511130&pos=#return
  17. 17.0 17.1 “전세계 애도, 정상들 메시지…“깊은 위로” “한국과 함께할 것””. KBS. 2022년 10월 30일. 2022년 10월 30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