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운영팀

최근 편집: 2024년 5월 9일 (목) 10:42
졸리즘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9일 (목) 10:42 판

페미위키 프로젝트는 페이스북에서 ISO 8601은 날짜 형식의 표준이다.

  • 영문 : Data elements and interchange formats -- Information interchange -- Representation of dates and times (최신: ISO 8601:2004 링크)
  • 국문 : 데이터 {|

|- |style="background-color:#08088A;text-align: center"| 1호선 ||style="모듈:Calendar 17번째 줄에서 Lua 오류: attempt to perform arithmetic on field 'year' (a string value).

6월 3일그레고리력으로 154번째(윤년일 경우 155번째) 날이다.

사건

{{빈 문단PAGENAME}

출생

사망

기념일

같이 보기

    -align: center;"| 구로신도림 ↔ [[영등포역|영등포]|- |style="background-color:#04B404;text-align: center"| 2호선(본선) ||style="text-align: center;"| 문래신도림대림 |-|style="background-color:#04B404;text-align: center"| 2호선(신정지선) ||style="text-align: center;"| 도림천신도림신도림역은 수도권 전철 1호선과 [ 지하철 2호선|2호선]]이 교차하는 환승역이다. 본선(을지로순환선)과 신정지선(까치산역 방향)이 만나는 역이기도 하다. 세 개의 선이 만나는 역이기 때문에 대부분 시간대에 사람이 많고 혼잡하다. 출퇴근 시간대가 되면 역 안이 사람으로 빽빽해진다. ==주변시설물== 1번출구 안쪽 화장실 앞에는 맛있는 빵집이 있고, 1번 출구로 나가면 디큐브시티(현대백화점)로 갈 수 있다. 1번 출구로 나가서 왼쪽에 있는 에스컬레이터로 내려가면 디큐브 시티 지하 1층으로 현대식품관, 스타벅스, 올리브영,맥도날드가 있다.

    역 주변에 있는 것

    ==화장실 개찰구를 찍고 나가지 않아도 안에 화장실이 있으며 1번 출구 바깥쪽에도 화장실이 있다.

    및 교환 포맷-정보교환-날짜 및 시각의 표기 (KS X ISO 8601:2010 (ISO 8601:2000 대응) 링크)
    

    왜 필요한가?

    나라별 날짜 형식, 청록색이 일-월-연, 황색이 연-월-일, 자주색이 월-일-연, 적색이 일-월-연과 월-일-연 혼용

    한국이나 일본, 중국같이 동아시아권에 속하는 나라에서는 일관되게 연-월-일 순서로 날짜를 표기하지만 그 밖의 나라에서는 일-월-연이나 월-일-연 순서 등 여러 가지 표기법이 혼재되어 있다. 일-월-연 순서로 쓰는 경우가 많지만 월-일-연 순서로 쓰는 경우도 꽤나 많다. 일 단위가 13 이상이면 별로 혼동이 되지 않겠지만 12 이하라면? 예를 들어 06-08-2015라는 데이터가 있다면 이걸 해석하는 입장에서는 6월 8일인지, 8월 6일인지 혼란이 오게 된다. 그래서 날짜 표기법의 표준이 필요하다. 영어권이라면 Jun이나 Aug와 같이 월 이름을 적겠지만 영어 모르는 사람이라면 더이상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 원칙

    • 큰 단위부터 작은 단위 순서대로 쓴다.
    • 월, 일 단위가 1의 자리의 수일 경우에는 앞에 0을 붙여준다.
    • 날짜 단위 구분자는 하이픈(-)을, 시간 단위 구분자는 콜론(:)을 쓴다.
    • 시간대 표기는 뒤에 ±[UTC와 시차]를 붙인다. UTC인 경우 Z으로 대체할 수 있다.

    표기법

    오늘은 2024년 6월 2일이다. 오늘 날짜와 시각을 ISO 8601 표준에 따라 나타낸 것이 다음 표이다.

    날짜 2024-06-02
    현재시각(UTC) 2024-06-01T20:23:07+00:00 또는
    2024-06-01T20:23:07Z
    현재시각(KST) 2024-06-02T05:23:07+09:00
    이번 주 2024-W22

    각주

    모여 출발하였고 현재 9명이 있습니다.
    

    팀 구성

    현재 멤버는 9명으로 명단은 다음과 같습니다.

    운영팀 전체 명단

    개발팀

    페미위키 개발팀은 페미위키 개발뿐만 아니라 인프라 관리, 백업 관리, 개인정보 보호 등 페미위키의 IT 시스템 전반을 관리합니다. 페미위키는 효율적인 서비스 관리를 위해 최신 기술들을 적극적으로 도입하고 있습니다. 여성주의와 소프트웨어 기술에 대한 열정으로 가득 찬 분을 기다립니다. 페미위키 개발팀의 일원이 되어 갖고 계신 기술을 여성인권 증진에 보태어주세요!

    페미위키에서 만든 모든 프로그램들은 오픈소스로 관리되고 있습니다. 페미위키 개발팀이 만든 프로그램들을 직접 확인해 보세요. https://github.com/femiwiki/femiwiki

    멤버
    Revi, 김지현, 낙엽1124

    대외협력팀

    대외협력팀에서는 페미위키 이메일과 민원에 응대하고, 타단체와의 연락을 맡으며, 오프라인 미팅에 나갑니다. 지원 사업을 모니터링하여 제안하고, 실행합니다. 단체 내외의 소통방식을 고도화하고 대외 단체와 바람직한 사회적 관계를 도모합니다. 언론인터뷰에 나가므로, 대외협력팀원일 경우 언론에 페미위키 운영팀으로 얼굴이 노출될 수 있습니다. 말하기 업무가 많습니다.

    멤버
    Pleasesica, 열심

    기획팀

    기획팀에서는 페미위키의 독자와 편집자를 늘리고, 페미위키 문서의 질과 양을 개선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홍보팀, 대외협력팀과의 협업으로 편집자를 늘리고, 상위 조회수의 문서를 개선하여 꾸준히 독자를 유입시킵니다. 컨텐츠 개선을 위해 개발팀과 협업, 사이트의 편의성에 관여하기도 합니다.

    멤버
    Pleasesica, 낙엽1124, 열심, 왹비

    홍보&디자인팀

    홍보팀은 아직 잘 알려지지 않은 페미위키를, 일반 대중과 페미니스트 사회에 알리기 위해 노력합니다. 유용한 위키 사이트이며 페미니즘 정보의 허브로 페미위키를 포지셔닝하여 페미위키를 사회에 널리 알립니다. 또한 왜곡되거나 부정적인 페미위키의 이미지를 개선합니다. 기본적으로 트위터, 페이스북, 인스타의 SNS 계정 관리를 맡으며 때때로 오프라인 홍보도 진행합니다.

    디자인팀은 페미위키 사이트의 사용자 인터페이스(UI), 가독성 조정 등 위키의 사용성 개선과 더불어 운영비 펀딩 등을 위한 굿즈, 페미위키가 주최 또는 주관하는 행사의 로고/포스터, 기획 컨텐츠의 카드뉴스 등을 디자인합니다.

    멤버
    Larodi, Viral, 왹비, 플로

    회계팀

    재정 시트를 통해 입출금 내역을 공개하고, 이를 다시 정리하여 보고서를 올리고 있습니다.

    멤버
    -열심
    이전 구성 보기

    구성원 : 페미위키 설립 초동 모임 33명 전체모임

    • 기술/디자인팀: 스킨 디자인, 서버 관리, 기능 추가 등 디자인 및 기술 관련 업무를 담당한다.
    • 프로젝트팀: 기타 비상시 업무는 프로젝트 단위으로 수행한다.
    • 콘텐츠팀/대외홍보팀/기획팀 : 초기에는 개별 역할이 있었으나 이후 구성원 변동으로 분류가 무용해짐
    • 계정승인팀: 온라인 접속 시간이 많은 이들이 모여 계정승인 업무를 담당한다. 2016년 12월 2일부터 계정 승인 단계가 없어짐에 따라 현재는 운영되지 않는다.

    커뮤니티 채널

    디스코드 Role은 "디스코드 관리자", "운영팀", "협업" 세개로 운영하고 있습니다. 디스코드 관리자가 서버/채널 관리권한을 갖고, 운영팀은 운영팀 채널에서 대화할 권한을 갖습니다.

    • 문서모음_잡담절대금지: 링크를 백업해놓는 채널
    • 여성인물_아카이브를_위한_자료들
    • 회의: 여기는 회의/회의 관련 얘기를 하는 곳입니다.
    • 일정: 앞으로의 회의 일정을 모읍니다.
    • 잡담: 여기는 편하게 쓰는 창이에요😃
    • 홍보&디자인팀:
    • 컨텐츠팀:
    • 개발팀:
    • 디자인-요청: 디자인 가능한 운영팀원에게 아이디어 이야기
    • sns-관리:
    • sns인준: SNS에 올라갈 글을 인준받는 곳, 2인준과 0반대를 받으면 SNS에 올라감
    • sns모니터링: SNS에 올라오는 페미위키 관련 반응들을 보는 곳
    • 위키-내부: 이 곳은 페미위키 사이트 내의 일에 대해 얘기하는 곳입니다.
    • 대외-행사: 외부 행사/지원사업
    • 대외-협력
    • 회계_재정
    • 2020-텀블벅-회의-채널
    • 메일알림: admin@femiwiki.com 로 받거나 보낸 메일이 보여지는 채널
    • 회의실: 음성 채널

    운영진 내규

    1. 페미위키는 다양한 정체성 및 가치관을 가진 분들과 함께합니다. 모든 운영진은 다음과 같은 내용에 대해 발언할 시 당사자가 듣기에 불편할 만한 내용이 아닐지 다시 한 번 생각해주세요.
      (다음은 가나다 순으로 정렬된 목록이며, 각 순서는 중요도를 나타내지 않습니다. 또한 모든 소수자 차별의 예시를 포함한 것은 아닙니다.)
      • 각 개인이 지향하는 페미니즘의 종류와 그 범위
      • 국적
      • 나이
      • 동물권 지지 여부
      • 성 정체성 / 성 지향 (LGBTQ+, 젠더퀴어)
      • 외모
      • 인종
      • 장애 / 병력 여부
      • 정치적 이념 / 성향 / 지지
      • 종교
      • 직업
      • 출신 지역 / 거주 지역
      • 피부색
      • 학력
      • 혼인 여부, 가족 관계
    2. 각 운영진은 개인의 신상정보, 연락처, 주소 등을 필요에 의해, 혹은 우연히 알게 되더라도 공개하지 않습니다. 예외적으로 업무 진행 등의 상황에서 필요에 의해 공개/전달해야 할 경우 당사자에게서 ‘누구에게’, ‘어떤 정보를 공개할지’ 확인을 요합니다.
    3. 호칭은 ~님으로 통일, 경어를 사용하며 상호 동의 없이 반말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4. 오프라인 회의, 행사 등에서 상대방이 동의하지 않은 신체 접촉에 주의합니다.
    5. 발언에 대해 문제제기가 이루어진 경우, 즉각 중단 / 철회 / 사과합니다.
    6. 페미위키의 모든 구성원은 동일한 발언권을 가지며, 모두에게 참여기회를 보장하도록 노력합니다.

    여비

    여비는 교통비, 숙박비, 활동비가 지원됩니다.

    1. 상근 아닌 활동가의 경우 활동비 오프라인 행사 별로 18만원 지급(교통비 별도)
    2. 교통비 지급 (항공, 철도, 버스 운임, )
      • 출발지와 목적지의 시 또는 도 단위가 다른 경우
      • 증빙 자료 및 입금 계좌를 첨부하여 여비를 신청(여비의 신청은 회계 편의를 위해 최대한 빨리)
      • 일반석을 기준으로 상한액인 왕복 100,000원내에서 실비 지원

    막차가 끊기는 등 업무 와중 대중교통 이동이 불가할 경우 택시비 지출도 교통비 지원

    1. 숙박비 지급
      • 상한액은 1박당 200,000원
    2. 식비 지원 : 오프라인으로 페미위키 일을 하다 먹으면 식비 지출
    3. 회의비 지원 : 페미위키 일을 위해 다른 단체와 만났을 때 식당, 카페에서 지출
    페미위키 활동 중 교통비, 숙박비, 식비를 개인 돈으로 지출하였을 경우 영수증을 구글 드라이브 회계 폴더에 제출한 후에 페미위키 계좌에서 지급받으면 됩니다. 
    


    운영 정책

    현재 페미위키토론:정책에서 운영진 선출 및 운영 정책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습니다.

    함께 읽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