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용자:Viral/연습장

최근 편집: 2017년 5월 28일 (일) 05:00
Viral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28일 (일) 05:00 판

다중 계정에 대한 정책

  • 페미위키 내 관련 논의:
    페미위키:제재 정책#다중 계정에 대한 정책
  • 결정사항:
    위키백과와 동일한 방식을 따른다. “정당한 다중계정" 허용
  • 실행계획:
    [Viral] 결정 사항을 정책 문서에 반영하기
    [Viral] 알림 상자로 “적용 예정"임을 알리기 (7일)

다중 계정 정책 초안

작성 중인 정책 이 문서는 현재 작성중인 신규 정책에 대한 내용입니다. 이 정책은 완성되지 않았으므로, 아직 페미위키에 적용되지 않습니다.

다중 계정은 한 사람이 여러 개의 계정을 사용하는 것을 말합니다[1]. 페미위키는 다중 계정 생성을 금지하지 않습니다. 그러나 다른 사용자들에게 혼란을 주거나, 토론을 망가뜨려 총의 형성을 방해하거나, 편집 제한을 피하거나, 이외에도 커뮤니티의 상식과 정책에 맞지 않는 목적으로 계정을 사용하여 다른 사용자들에게 피해를 주는 것은 철저히 금지되어 있습니다.

금지되는 사용

사용자는 다중 계정을 여론의 현혹이나 속임, 방해, 훼손을 위한 용도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다중 계정을 악용하는 것은 금지되어 있으며, 제재 및 제재 건의의 이유가 될 수 있습니다.

  • 정책이나 제재에 대한 우회: 페미위키를 유지하기 위하여 만든 여러 규칙들을 피해 가는 경우도 금지됩니다. 예를 들어, 계정이 차단 중인데 다른 계정으로 가입하여 똑같이 활동하는 것은 차단 규칙을 피해가려는 의도가 분명하므로 금지됩니다. 비록 계정이 차단되지 않았더라도, 다른 사용자들로부터 여러 차례 경고를 받거나 차단 직전의 상황까지 놓였더라도 규칙에 대한 회피로 간주됩니다.
  • 다중 계정으로 같은 문서나 토론 페이지에 기여: 사용자가 둘 이상의 계정으로 같은 문서나 토론을 편집하여 여러 사람인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 어떠한 이익을 얻으려고 하는 행동은 금지됩니다.
  • 좋은 기여와 나쁜 기여를 각각의 계정으로 행하는 것: 한 계정으로는 좋은 기여를, 다른 계정으로는 문서를 훼손하는 등 장난성 계정 혼용으로 페미위키를 혼란에 빠뜨리지 말아야 합니다.
  • 계정의 공유: 여러 사람이 한 계정을 사용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공동체의 신뢰도 판단을 방해하는 것: 관리자사무관, 운영진과 같이 공동체의 신뢰가 필요한 자리에는, 기존에 사용했던 계정들의 모든 기여들을 떳떳이 공개해야만 합니다. 다중 계정을 통해 과거 기여를 숨겨서 공동체가 신뢰도를 판단하는데 방해해서는 안됩니다.
  • 다중 관리자 계정: 한 사용자는 여러 개의 관리자 계정을 가질 수 없습니다.
  • 투표: 공정한 투표를 위해 사용자 당 한 표의 투표권을 갖습니다. 한 쪽으로 힘을 실어주려 다중 계정으로 또 다른 투표를 행사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 토론의 방해: 다른 계정으로 새로운 논지를 제시해 토론의 논점을 흐리거나, 토론 중 다중 계정으로 하여금 중립의 자세에 있는 것처럼 보이려는 행동 등 다중 계정을 통해 한 사용자가 한 사용자 이상의 영향력을 끼치는 행동은 금지됩니다.
  • 계정 이름 변경 절차를 무시: 페미위키:사용자명 변경 요청을 이용하지 않고 합당한 이유 없이 단순히 계정 이름만을 바꾸기 위해 계정을 새로 생성하는 것은 금지됩니다.

허용되는 사용

다중 계정이 허용되는 몇 가지 경우가 있습니다. 만약 당신이 대체 계정을 사용한다면, 아래의 정책을 어겨서는 안됩니다. 다음과 같은 사례에 다중 계정이 허용되고 있습니다.

  • 보안: 공용 컴퓨터에는 비밀번호를 훔치는 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어서, 본 계정의 해킹을 막기 위해 대체 계정을 만들 수도 있습니다. 이에 의해 생성되는 계정은 반드시 공개적으로 본 계정과 연결이 되어 있거나, 쉽게 알 수 있는 이름을 사용해야 합니다. 예를 들어 사용자:홍길동이 사용자:홍길동 (대체)를 사용할 수 있습니다. 대체 계정의 사용자 페이지와 토론 페이지는 본 계정으로 넘겨주기해야 합니다.
  • 사생활: 자신의 페미위키에서의 정체성이 자신과 관련된 집단 내부에 알려져 있거나 현실에서의 자신이 추적될 수 있는 상황에 있는 사람이 자신의 가족, 직장, 기타 사회생활에서 만난 집단 등 내부에서 크게 논란이 될만한 문서를 편집할 경우, 현실에서 벌어질 일을 막기 위해 대체 계정 사용을 원할 수도 있습니다.
  • 점검, 유지: 점검, 유지 관련 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대체 계정을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대체 계정은 분명히 본 계정에 연결되어 있어야 합니다.
  • 도플갱어 계정: 도플갱어 계정은 본 계정과 유사한 이름을 가진 대체 계정을 말합니다. 이 계정의 목적은 따라하기 계정 혹은 사칭 계정을 막기 위함이며, 해당 계정으로의 편집은 금지됩니다.
  • 사용이 불가능해진 계정: 본 계정의 비밀번호를 잊어버렸거나, 누군가 비밀번호를 알아낸 경우, 새로운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각 계정에 한 사람의 대체 계정임을 밝혀야 하며, 관리자에게 이전 계정의 차단을 요청할 수 있습니다.
  • 새로운 시작: 새로운 시작을 원하는 사용자는 기존 계정과의 연계를 끊고 새로운 계정을 만들 수 있습니다. 단, 기존의 계정이 차단되지 않았을 경우에만 가능합니다. 새로 시작하는 계정은 이전의 편집 주제로 돌아가거나, 비슷한 편집 패턴을 보이거나, 기존에 문제가 되었던 행동을 해서는 안됩니다. 옛 계정과의 연계를 끊는다는 뜻은 옛 계정이 다시 쓰이지 않음을 의미하며, 옛 계정 페이지에는 '이 계정이 더 이상 쓰이지 않는다'는 표시를 남겨야 합니다. 또, 새로운 시작 계정은 자신에 대한 조사를 회피하기 위한 목적으로 만들어질 수 없습니다.

바기나 덴타타 번역

A spiked Venetian chastity belt.

Vagina dentata (Latin for toothed vagina) describes a folk tale in which a woman's vagina is said to contain teeth, with the associated implication that sexual intercourse might result in injury, emasculation, or castration for the man involved. The topic of "vagina dentata" may also cover a rare medical condition affecting the vagina, in which case it is more accurately termed a vaginal dermoid cyst.

In folklore

Such folk stories are frequently told as cautionary tales warning of the dangers of unknown women and to discourage rape.[2]

Erich Neumann relays one such myth in which "a fish inhabits the vagina of the Terrible Mother; the hero is the man who overcomes the Terrible Mother, breaks the teeth out of her vagina, and so makes her into a woman".[3]

The legend also appears in the mythology of the Chaco and Guiana tribes of South America. In some versions, the hero leaves one tooth.[4]

Hinduism

In Hinduism, the asura Andhaka, son of Shiva and Parvati (but not aware of it), is killed by Shiva when he tries to force the disguised Shiva into surrendering Parvati. Andhaka's son Adi, also an asura, takes the form of Parvati to seduce and kill Shiva with a toothed vagina in order to avenge Andhaka, but is also slain.[5]

Shintoism

In Shintoism the Ainu legend is that a sharp-toothed demon hid inside the vagina of a young woman and emasculated two young men on their wedding nights.[6] Consequently, the woman sought help from a blacksmith who fashioned an iron phallus to break the demon's teeth.[7][8] The legendary iron phallus is considered that enshrined at the Kanayama Shrine in Kawasaki, Japan, and there the popular Festival of the Steel Phallus 틀:Nihongo3 is held each spring.[9][10][11][12] Also, prostitutes considered that praying at that shrine protected them against sexually transmitted diseases.[13]

Māori mythology

In Māori mythology, the trickster Māui tries to grant mankind immortality by reversing the birth process, turning into a worm and crawling into the goddess of night and death Hine-nui-te-pō's vagina and out through her mouth while she sleeps. His trick is ruined when a pīwakawaka laughs at the sight of his entry, awakening Hine-nui-te-pō, who bites him to death with her obsidian vaginal teeth.

Metaphorical usage

In her book Sexual Personae (1991), Camille Paglia wrote:

The toothed vagina is no sexist hallucination: every penis is made less in every vagina, just as mankind, male and female, is devoured by mother nature.[14]

In his book The Wimp Factor, Stephen J. Ducat expresses a similar view, that these myths express the threat sexual intercourse poses for men who, although entering triumphantly, always leave diminished.[15]

Medical

In rare instances, dermoid cysts (a type of tumor) may grow in the vagina. Dermoid cysts are formed from the outer layers of embryonic skin cells. These cells are able to mature into many different types of tissues, and these cysts are able to form anywhere the skin is or where the skin folds inwards to become another organ, such as in the ear or the vagina. However, when dermoid cysts occur in the vagina, they are covered by a layer of normal vaginal tissue and therefore appear as a lump, not as recognizable teeth.[16][17][18]

See also

References

틀:Reflist

External links

틀:Sexual urban legends

Sexism in Art

페미위키 소개글 일번역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 「フェミウィキ」へようこそ。
  • 환영합니다.
  • 誰でもページを作って修正する事ができるウィキサイトである「フェミウィキ」は、ネットの情報が男性中心的・女性嫌悪(ミソジニー)的であり、社会的少數者への感受性が足りないと言う問題儀式から始まりました。
  • 누구나 문서를 만들고 수정할 수 있는 위키 사이트인 페미위키는 인터넷 정보가 남성중심적/여성혐오적이며 소수자 감수성이 부족하다는 문제 의식에서 출발했습니다.
  • 特にウィキは多數の編集者が参加できる、だから客観的だと思われる認識がこのような問題をより堅固にします。社会的で構造的な変換・嫌悪・差別・先入観が存在する限り、’編集者の多様性による偏向防止’は達成されることはできず、むしろ社会的強者・多數・抑圧者の論理を繰り返すだけです。
  • 특히 위키는 다수의 편집자가 참여하므로 객관적일 것이라는 인식이 이런 문제를 견고하게 만듭니다. 사회적이고 구조적인 편견, 혐오, 차별, 선입견이 존재하는 한, '편집자의 다양성에 의한 편향 방지'는 달성될 수 없으며, 오히려 사회적 강자, 다수, 억압자의 논리를 반복할 뿐입니다.
  • 紐の上の役者が持つうちわはいつも体が傾く反対側に開かれます。’平等に’うちわを開いては紐から落とされてしまいます。フェミウィキは社会が傾いているぐらい弱者・少數者の立場に傾いているウィキになります。それによって、次のような敍述と執筆に反対します。
  • 외줄 타는 광대의 부채는 언제나 몸이 기울어지는 반대편에 펼쳐집니다. '평등하게' 부채를 가운데에 펼치면 줄에서 떨어지고 맙니다. 페미위키는 사회가 기울어진 정도만큼 약자, 소수자의 입장으로 기울어진 위키가 될 것입니다. 따라서 아래와 같은 서술과 집필에 반대합니다.


*現存する差別を保って強化する機械的中立な意見 *全ての社会的弱者嫌悪

  • 현존하는 차별을 유지하거나 강화하는 기계적 중립 의견
  • 모든 종류의 사회적 약자 혐오
  • フェミウィキの目標はネットで最も頻繁に使われるウィキ、フェミニズム情報集合体になる事です。嫌悪と差別に最も敏感に悩み議論し情報を蓄積する空間になる事を目指しています。今、フェミウィキの一員になってください!
  • 페미위키의 목표는 인터넷에서 가장 빈번하게 사용되는 위키, 여성주의 정보집합체가 되는 것입니다. 혐오와 차별에 가장 민감하게 고민하고 토론하면서 정보를 축적해가는 공간이 되기를 지향합니다. 지금 바로 페미위키의 일원이 되어주세요!

가정폭력

가정폭력 실태조사

2016년

2016년 가정폭력 실태조사, 여성가족부

주: 1) 백분율은 2,000명(응답자수)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정함 2) 분석에서 무응답은 제외함 3)‘배우자가 폭력행동을 할 경우, 그 배우자가 집을 떠나도록 하는 것이 맞다’ 문항은 역코딩한 값임. 전체문항 평균(표준편차) : 1.89(0.39)

주: 1) 백분율은 6,000명(응답자수)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정함 2) 분석에서 무응답은 제외함


성범죄

아동·청소년 대상 성범죄

몰래카메라

2016년 피해경험

주 : 1) 백분율은 11명(여성 11명)(응답인원)을 기준으로 가중치를 부여하여 추정함.2) 분석에서 무응답을 제외함.3) 가해자 유형 및 발생장소는 복수응답 분석을 실시함. 몰래카메라 피해 경험 (전체)

군대 내


성폭력 피해 공론화 해시태그 정리

  • 10.17 18:08 #오타쿠_내_성폭력 해시태그 제안
  • 10.18 01:17 #운동계_내_성폭력
  • 10.19 14:44 #대학_내_성폭력
  • 10.20 08:22 #문화계_내_성폭력
  • 10.20 17:35 #문단_내_성폭력
  • 10.21 01:23 #가족_내_성폭력
  • 10.21 02:31 #영화계_내_성폭력
  • 10.21 03:13 #교회_내_성폭력
  • 10.21 09:47 “핀치는 2차 가해를 방지하기 위해, 용기내어 성폭력 사실을 고백한 피해자들의 트윗을 기사 본문에 엠베딩하지 않았습니다. 핀치는 박진성 시인을 포함, 문단에서 벌어진 성폭력에 대한 피해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 10.21 09:46 #스포츠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생성
  • 10.21 11:39 #공연계_내_성폭력
  • 10.21 13:58 “핀치는 한국 사회에 만연한 강간문화가 기록되거나 주목 받지 않는 상황에 우려를 표하며, 문단 뿐 아니라 하기 전반에 걸쳐 성폭력 피해를 입은 분들의 제보를 받고 있습니다.”
  • 10.21 15:46 #미술계_내_성폭력 해시태그 생성
  • 10.21 17:46 #교육계_내_성폭력
  • 10.21 19:38 #클래식음악계_내_성폭력
  • 10.22 12:37 “<그것이 알고 싶다>에서는 문화예술계 (문단, 영화계 등) 내의 성폭력으로 피해를 입은 적이 있거나 이에 대해 잘 알고 계신 분들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 10.24 20:09 #예술학교_내_성폭력
  • 10.25 15:56 #유학생_교민_한인사회_내_성폭력 해시태그 제안
  • 10.26 16:15 #힙합계_내_성폭력

Pedophile culture / K-pop

‘소녀’는 업무의 일환으로 웃는다./ 권위주의 사회는 어린 소녀를 대상화하며 이에 적응하는 것은 소녀의 필수적인 본분으로 자리 잡았다. — Raw Materials for a Theory of the Young-Girl by Tiqqun, p. 23

SWERF

SWERFSex worker exclusionary radical feminism(혹은 feminist)의 약어. 성노동자를 배제. 창녀 혐오와 3세대 페미니즘의.... R/“Sex worker exclusionary radical feminism”. 《SJWiki》. 


TERF

TERFTrans(주|주로 MTF 트랜스젠더에 대한 담론이 많다.) exclusionary radical feminism(혹은 feminist)의 약어. 트랜스젠더를 배제.


바이포비아

바이포비아(영어: Biphobia또는 양성애 혐오는 양성애 또는 양성애자에게 갖는 비이성적인 혐오, 공포 등 부정적인 감정 또는 편견, 차별 행위를 말한다. R/https://ko.wikipedia.org/wiki/양성애_혐오

시스젠더

시스젠더라는 용어 Cisgender에서 "cis-"는 "같은 편, 같은 쪽에 있는"이라는 뜻의 접두사이다. 트랜스젠더에 대응해 만들어졌다. ‘비(非)트랜스젠더’를 의미하는 용어가 필요해지면서 만들어진 단어[20]다.

어원

독일의 성과학자(Sexologist) Volkmar Sigusch이 동료 평가된(peer-reviewed) 출판물에서 "cissexual (독일어: zissexuell)"라는 신조어를 사용했다. 1998년, 그의 에세이 "The Neosexual Revolution"에서 본인의 아티클 "Die Transsexuellen und unser nosomorpher Blick" ("Transsexuals and our nosomorphic view", 1991년)을 용어의 원전으로 출처표기했다.[21] 또한 1995년의 아티클 "Transsexueller Wunsch und zissexuelle Abwehr" (or: "Transsexual desire and cissexual defense")의 제목으로도 사용했다.[22]


시스젠더(영어: cisgender)는 "~을 가로지르는", "다른(other) 쪽에 있는"이라는 뜻의 "trans-"의 반대되는 의미인 "이(this) 쪽에 있는"이라는 뜻을 가진 라틴 유래의 접두사 "cis-"에서 유래되었다. 이 사용법은 화학의 cis–trans distinction, 유전학의 cis-trans 혹은 complementation, (러시아인의 입장에서의) 시스카프카시아(Ciscaucasia), 고대 로마 용어 "Cisalpine Gaul" 등에서도 찾아볼 수 있다. 젠더의 경우, cis-(sex)에 따른 젠더 정체성의 정렬(alignment. 위치?)을 묘사한다.[23]


사회학자 Kristen Schilt와 Laurel Westbrook은 "시스젠더"를 "신체적으로 타고난 젠더와 정체성이 일치하는 개인"의 명칭으로 정의한다.[20] ... 웅앵웅... 생각보다 길다...😢😢😢

Sociologists Kristen Schilt and Laurel Westbrook define cisgender as a label for "individuals who have a match between the gender they were assigned at birth, their bodies, and their personal identity".[20] A number of derivatives of the terms cisgender and cissexual include cis male for "male assigned male at birth", cis female for "female assigned female at birth", analogously cis man and cis woman, and cissexism and cissexual assumption. In addition, one study published in the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IDS Society used the term cisnormativity, akin to sexual diversity studies' heteronormativity.[24][25] A related adjective is gender-normative because, as Eli R. Green writes, "'cisgendered' is used [instead of the more popular 'gender normative'] to refer to people who do not identify with a gender diverse experience, without enforcing existence of a normative gender expression".[26] In this way, cisgender is preferable because, unlike the term gender-normative, it does not imply that transgender identities are abnormal.

Julia Serano has defined cissexual as "people who are not transsexual and who have only ever experienced their mental and physical sexes as being aligned", while cisgender is a slightly narrower term for those who do not identify as transgender (a larger cultural category than the more clinical transsexual).[27] For Jessica Cadwallader, cissexual is "a way of drawing attention to the unmarked norm, against which trans is identified, in which a person feels that their gender identity matches their body/sex".[28]

The terms cisgender and cissexual were used in a 2006 article in the Journal of Lesbian Studies[29] and Serano's 2007 book Whipping Girl,[27] after which the term gained some popularity among English-speaking activists and scholars.[30][31][32] Jillana Enteen wrote in 2009 that cissexual is "meant to show that there are embedded assumptions encoded in expecting this seamless conformity".[33]

Serano also uses the related term cissexism, "which is the belief that transsexuals' identified genders are inferior to, or less authentic than, those of cissexuals".[34] In 2010, the term cisgender privilege appeared in academic literature, defined as the "set of unearned advantages that individuals who identify as the gender they were assigned at birth accrue solely due to having a cisgender identity".[35]

While some believe that the term cisgender is merely politically correct,[36][37][38][39][40] medical academics use the term and have recognized its importance in transgender studies since the 1990s.[41][42][43]

In February 2014, Facebook began offering "custom" gender options, allowing users to identify with one or more gender-related terms from a selected list, including cis, cisgender, and others.[44][45] Cisgender was also added to the Oxford English Dictionary in 2013, defined as "designating a person whose sense of personal identity corresponds to the sex and gender assigned to him or her at birth (in contrast with transgender)."[46]

  1. 위키백과 "위키백과:다중 계정"
  2. Rankin, Lissa (2010). 《What's Up Down There?: Questions You'd Only Ask Your Gynecologist If She Was Your Best Friend》. St. Martin's Press. 59쪽. ISBN 978-0-312-64436-9. 2012년 2월 11일에 확인함. 
  3. Neumann, Erich; translated by Ralph Manheim (1955). 《The Great Mother》. Princeton: Princeton University Press. 168쪽. 
  4. Leach, Maria (1972). 〈vagina dentata〉. 《Funk & Wagnalls Standard Dictionary of Folklore, Mythology and Legend》. entry by Erminie W. Voegelin. New York: Funk & Wagnalls. 1152쪽. ISBN 0-308-40090-9. 
  5. O'Flaherty, Wendy Doniger (1981). 《Śiva: The Erotic Ascetic》. London & New York: Oxford University Press. 188쪽. ISBN 0-19-520250-3. 21 April 2013에 확인함. 
  6. “Kanamara Matsuri 2014: What You Should Know About Japan's Penis Festival (NSFW PHOTOS)”. huffingtonpost.ca.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7. Chamberlain, B. H. "The Island of Women". Aino Folk-Tales, 1888. pp. vii, 37.
  8. “Metropolis - Japan Travel: Kawasaki - Heads up”. 2010년 4월 6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9. “Dammit, we missed The Festival of the Steel Phallus in Japan this weekend - Cosmopolitan”. cosmopolitan.co.uk.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10. Dominique Mosbergen (2014년 4월 7일). “Japan's Annual Penis Festival Is As Phallic As You'd Expect (PHOTOS)”. huffingtonpost.com.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11. Times LIVE. “Japanese festival celebrates the penis - Times LIVE”. timeslive.co.za.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12. “BBC - Travel - Slideshow - Ten events not to miss in April”. 2014년 3월 31일에 원본 문서에서 보존된 문서.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13. “Kanamara Matsuri: When Does Japan's Penis Festival Start? (NSFW PHOTOS)”. huffingtonpost.ca. 2014년 4월 11일에 확인함. 
  14. Paglia, Camille (1991). Sexual Personae: Art and Decadence from Nefertiti to Emily Dickinson. NY: Vintage. p. 47. ISBN 9780679735793.
  15. Ducat, Stephen J. (2004). 《The Wimp Factor》. Boston: Beacon Press. 115–149쪽. ISBN 978-0807043455. 
  16. Siu, S.-S. N.; Tam, W.-H.; To, K.-F.; Yuen, P.-M. (2003년 4월 1일). “Is vaginal dermoid cyst a rare occurrence or a misnomer? A case report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Ultrasound in Obstetrics & Gynecology》 21 (4): 404–406. doi:10.1002/uog.97. ISSN 0960-7692. PMID 12704753. 
  17. Coco, Claudio; Manno, Alberto; Mattana, Claudio; Verbo, Alessandro; Sermoneta, Daniel; Franceschini, Gianluca; De Gaetano, Annamaria; Larocca, Luigi Maria; Petito, Luigi (2008년 8월 1일). “Congenital tumors of the retrorectal space in the adult: report of two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Tumori》 94 (4): 602–607. ISSN 0300-8916. PMID 18822703. 
  18. Young, R. H. (1993년 12월 1일). “New and unusual aspects of ovarian germ cell tumors”. 《The American Journal of Surgical Pathology》 17 (12): 1210–1224. doi:10.1097/00000478-199312000-00002. ISSN 0147-5185. PMID 7694512. 
  19. Hoban, R. 2002. "Riddley Walker". London: Bloomsbury. ISBN 978 0 7475 5904 7.
  20. 20.0 20.1 20.2 Schilt, Kristen; Westbrook, Laurel (August 2009). “Doing Gender, Doing Heteronormativity: 'Gender Normals,' Transgender People, and the Social Maintenance of Heterosexuality”. 《Gender & Society23 (4): 440–464 [461]. doi:10.1177/0891243209340034. 
  21. Sigusch, Volkmar (February 1998). “The Neosexual Revolution”. 《Archives of Sexual Behavior》 27 (4): 331–359. doi:10.1023/A:1018715525493. PMID 9681118. 
  22. Sigusch, Volkmar (1995). “Transsexueller Wunsch und zissexuelle Abwehr”. 《Psyche》 49 (9–10): 811–837. PMID 7480808. 
  23. “Definition of cisgender”. Merriam Webster. 2016년 4월 20일에 확인함. 
  24. Logie, Carmen; James, Lana; Tharao, Wangari; Loutfy, Mona (2012). “‘‘We don’t exist’’: a qualitative study of marginalization experienced by HIV-positive lesbian, bisexual, queer and transgender women in Toronto, Canada”. 《Journal of the International AIDS Society》 15 (2). doi:10.7448/ias.15.2.17392. January 17, 2013에 확인함. 
  25. Ou Jin Lee, Edward; Brotman, Shari (2011). “Identity, Refugeeness, Belonging: Experiences of Sexual Minority Refugees in Canada”. 《Canadian Review of Sociology》 48 (3): 241–274. doi:10.1111/j.1755-618X.2011.01265.x. PMID 22214042. 
  26. Green, Eli R. (2006). “Debating Trans Inclusion in the Feminist Movement: A Trans-Positive Analysis”. 《Journal of Lesbian Studies》 10 (1/2): 231–248 [247]. doi:10.1300/j155v10n01_12. 
  27. 27.0 27.1 Serano, Julia (2007). 《Whipping Girl: A Transsexual Woman on Sexism and the Scapegoating of Femininity》. Seal Press. 12쪽. ISBN 978-1-58005-154-5. 
  28. Sullivan, Nikki; Murray, Samantha (2009). 《Somatechnics: queering the technologisation of bodies》. Surrey, England: Ashgate Publishing. 17쪽. ISBN 0-7546-7530-0. 
  29. Green, Eli R. (2006). "Debating Trans Inclusion in the Feminist Movement: A Trans-Positive Analysis," Journal of Lesbian Studies. Volume: 10 Issue: 1/2. pp. 231−248. ISSN 1089-4160
  30. Pfeffer, Carla (2009). “Trans (Formative) Relationships: What We Learn About Identities, Bodies, Work and Families from Women Partners of Trans Men”. 《Ph.D dissertation, Department of Sociology, University of Michigan》. 
  31. Williams, Rhaisa (November 2010). “Contradictory Realities, Infinite Possibilities: Language Mobilization and Self-Articulation Amongst Black Trans Women”. 《Penn McNair Research Journal》 2 (1). 
  32. Drescher, Jack (September 2009). “Queer Diagnoses: Parallels and Contrasts in the History of Homosexuality, Gender Variance, and the Diagnostic and Statistical Manual”. 《Archives of Sexual Behavior》 39 (2): 427–460. doi:10.1007/s10508-009-9531-5. PMID 19838785. 
  33. Enteen, Jillana (2009). 《Virtual English: Queer Internets and Digital Creolization (Volume 6 of Routledge studies in new media and cyberculture)》. New York City, New York: Taylor & Francis. 177쪽. ISBN 978-0-415-97724-1. 
  34. Serano (2007) also defines cisgender as synonymous with "non-transgender" and cissexual with "non-transsexual" (p. 33).
  35. Walls, N. E., & Costello, K. (2010). "Head ladies center for teacup chain": Exploring cisgender privilege in a (predominantly) gay male context. In S. Anderson and V. Middleton Explorations in diversity: Examining privilege and oppression in a multicultural society, 2nd ed. (pp. 81−93). Belmont, CA: Brooks/Cole. Quote appears on p.83.
  36. Hernandez, Vittorio (2014년 2월 14일). “What’s Your Choice – Male, Female, Transgender, Intersex?: Other Gender Options Now Available for Facebook Users”. 《International Business Times. 2015년 12월 18일에 확인함. 
  37. Daubney, Martin (2014년 12월 16일). “Was 2014 the year political correctness went stark raving mad?: This year has seen political correctness turn sinister, thanks to the outraged, sanctimonious reactions of social media's PC police, argues Martin Daubney”. 《The Daily Telegraph》. 
  38. Thompson, Damian (February 7, 2015). “The march of the new political correctness:I hoped that the British sense of the ridiculous, our relish in piss-taking, would keep us safe. Now I’m not so sure”. 《The Spectator》. 
  39. Macdonald, Neil (2015년 3월 17일). 'Mansplaining' the return of political correctness:The scourge of the '90s, PC seems to be gaining a new foothold on college campuses”. 《CBC.ca. 2015년 12월 18일에 확인함. 
  40. Wordsworth, Dot (November 7, 2015). “How we ended up ‘cisgender’:The history of a tendentious word”. 《The Spectator》. 
  41. Aultman, B (2014). 《Cisgender》. Duke of University Press. 61쪽. doi:10.1215/23289252-2399614. 
  42. Tate, Charlotte Chucky; Bettergarcia, Jay N.; Brent, Lindsay M. (2015). “Re-assessing the Role of Gender-Related Cognitions for Self-Esteem: The Importance of Gender Typicality for Cisgender Adults”. 《Psychology & Psychiatry Journal》 (Springer US) 72 (5–6): 221–236. doi:10.1007/s11199-015-0458-0. 
  43. “New Mental Health Study Findings Have Been Reported by Investigators at Brown University (Gender Minority Stress, Mental Health, and Relationship Quality: A Dyadic Investigation of Transgender Women and Their Cisgender Male Partners)”. 《Mental Health Weekly Digest》 (Academic OneFile) 9: 224. 2015. 
  44. Brandon Griggs (2014년 2월 13일). “Facebook goes beyond 'male' and 'female' with new gender options”. 2014년 2월 13일에 확인함. 
  45. The Associated Press. “Facebook's New Gender Identity Options”. 
  46. Martin, Katherine. “New words notes June 2015”. 《Oxford English Dictionary》. Oxford University Press. 2015년 8월 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