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성가족부

최근 편집: 2019년 5월 25일 (토) 14:16
Avenger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5월 25일 (토) 14:16 판 (→‎비판 및 사고)

여성가족부는 대한민국의 중앙 행정 기관의 하나이다. 여성 정책의 수립·종합 및 여성의 권익 증진, 가족 정책, 건강 가정 사업을 위한 아동 업무 및 청소년의 육성·복지 및 보호 기능 등을 맡아본다. 2010년 1월 여성부에서 이 이름으로 바뀌었다.[1]

연혁

약력[2]

  • 2001년 1월 29일 여성부 신설
  • 2004년 6월 12일 보건복지부로부터 영·유아 보육업무를 이관 받음.
  • 2005년 6월 23일 통합적인 가족정책을 수립·시행할 수 있도록 여성가족부로 개편.
  • 2008년 2월 29일 여성부로 다시 환원하면서 가족·보육 업무를 보건복지가족부로 이관.
  • 2010년 3월 19일 가족·청소년·아동 업무를 다시 넘겨받아 여성가족부로 환원.

상세 연혁[3]

현 여성가족부

  • 2015.12.30 여성가족부 개편(정책기획관 신설)
    • 2실 2국 3관 1대변인 26과, 정원 251명
  • 2015.08.10 여성가족부 개편(청소년활동안전과 신설)
    • 2실 2국 2관 1대변인 26과, 정원 252명
    • 기존 청소년보호과, 청소년매체환경과는 청소년보호환경과로 통합·변경
  • 2015.02.26 여성가족부 개편(학교밖청소년지원과 신설 및 인력 증원)
    • 2실 2국 2관 1대변인 26과, 정원 252명
  • 2014.03.11 여성가족부 개편(법무감사담당관 신설 및 인력 증원)
    • 2실 2국 2관 1대변인 25과, 정원 241명
    • 기존 법무감사정보화담당관은 정보통계담당관으로 변경
  • 2013.09.24 여성가족부 개편(폭력예방교육과 신설 및 인력 증원)
    • 2실 2국 2관 1대변인 24과, 정원 235명
    • '13.12월 통합정원 감축에 따른 인력 소요 반영(정원 234명)
  • 2012.07.05 여성가족부 개편(다문화가족지원과 신설 및 인력 증원)
    • 2실 2국 2관 1대변인 23과, 정원 229명
  • 2010.03.19 여성가족부 출범
    • 여성, 가족·청소년 정책 및 건강 가정사업을 위한 아동업무
    • 2실 2국 2관 1대변인 22과, 정원 211명

현 여성가족부 이전 기구

여성부
    • 2009.05.01 경력단절여성지원사업 강화
    • 1실 2국 14과, 정원 109명
  • 2008.02.29 여성부 출범
  • 여성정책의 기획ㆍ종합, 여성의 권익증진 등 지위향상
    • 1실 2국 13과, 정원 100명
여성가족부
  • 2007.11.30 가족통합팀을 설치하여 결혼이민자가족지원 업무 강화
    • 2본부 3국 2관 22팀, 정원 187명
  • 2005.06.23 여성가족부 출범
    • 여성, 가족 및 영유아 보육업무
    • 1실 4국 2관 19과, 정원 176명
여성부
  • 2005.04.15 정책홍보관리실을 설치하여 정책홍보 및 재정기획 기능 강화
    • 1실 4국 1관 15과, 정원 150명
  • 2004.06.12 보건복지부로부터 영유아 보육업무 이관
    • 1실 4국 1관 14과, 정원 145명
  • 2002.03.02 여성인력개발 및 여성정보화 사업 강화
    • 1실 3국 12과, 정원 120명
  • 2001.01.29 여성부 출범
    • 여성, 여성정책의 기획ㆍ종합, 남녀차별의 금지ㆍ규제 등
    • 1실 3국 11과, 정원 102명
여성특별위원회
  • 1991.07.23 「남녀차별금지및구제에관한법률」제정에 따른 인원 증원
    • 3조정관 6과, 정원 49명)
  • 1998.02.28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신설
    • 여성정책의 기획·종합
    • 3조정관 5과, 정원 41명
정무장관(제2)실
  • 1996.06.29 여성발전기본법 제정에 따른 인원 증원(정원 53명)
  • 1990.06.21 소관업무 지정(국무총리훈령 제243호)
    • 사회·문화에 관한 업무를 대상으로 하되 특히 여성분야에 중점
  • 1988.02.25 정무장관(제2) 임명(정원 20명)

여성 가족부의 주요 업무[4]

  • 여성정책의 기획·종합 및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 정책의 성별영향 분석·평가
  • 여성인력의 개발·활용
  • 청소년정책의 협의·조정
  • 청소년 활동진흥 및 역량개발
  • 유해환경으로부터의 청소년 보호
  • 위기청소년 등의 보호·지원
  •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의 기획·종합
  • 양육·부양 등 가족기능의 지원
  •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 성폭력·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성매매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아동·청소년 등의 성보호
  • 이주여성·여성장애인 등의 권익보호
  • 위안부 피해자 지원사업
  • 한부모 가족 지원
  • 남성의 육아참여 확대
  • 작은결혼식
  • 청소년 전화, 여성 긴급전화, 가정폭력 상담
  • 성범죄자 알림e

비판

  • 업무능력

2018~2019년의 예산이 1조이였지만 그에 비해 업무능력이 상당히 떨어진다는 의견이 많다. 대표적으로는 밀양 성폭력 사건이 있다. 위안부 문제 또한 위안부 피해자 할머니들께 피해보상만 제공하고는 사실상 아무 일도 하지못했다. 그리고 스스로 ‘성폭력 피해자 보호’라고 외치면서도 사회적 이슈가 된 사건에 대해 한마디만 하고는 사실상 아무일도 하지 않았다. 실제로 성폭력 신고를 받으면 “저희가 도와드리기 어렵습니다. 경찰에 신고하세요.”라고 하면서 자신들이 성폭력을 막고 해결한 것처럼 우쭐대며 누리집 첫머리에 ‘성폭력 피해자 보호,성폭력 해결’이라고 써놓는 다소 뻔뻔해보이는 행태를 보여주기도 하였다. 이처럼 여성가족부의 무능력함에 남성은 물론 다수의 여성들은 여성가족부가 오히려 여성인권 향상에 방해가 된다며 항의하고있다. 여성가족부 스스로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어성가족부 설립이후 성평등 지수가 오히려 하락하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이러한 현실에도 여성가족부는 스스로 오만함에 빠져 해어나오지 못하고 여성가족부를 비판하면 일베충, 한남 등의 남성 혐오적 표현을 쓰며 자발적으로 성평등을 훼손하고있는 매우 답답하고 한심한 상황이다. 대중적으로 여가부는 이미 무능력함 의 대표가 되어버린 안타까운 사실이자 여가부가 자초한 일이라 할 수 있다. 여성가족부는 이미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말로만 큰소리 치는 껍데기만 남은 단체로서 폐지 될 이유는 이미 넘쳐난다고 볼 수 있다.이러한 현실에도 여가부를 무조건 보호하고 쉴드를 치려는 자들을 보면 한숨이 나오지 않을 수 없다 하겠다. (이는 명백한 팩트로사 이 문서를 작성한 나 자신 같은 중학교 1학년 학생도 알 수 있는 사실이다.)

여성가족부 장관

부서명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여성부 제1대 한명숙 2001.1.29. - 2003.2.26. 김대중 정부
제2대 지은희 2003.2.27. - 2005.1.4. 노무현 정부
제3대 장하진 2005.1.5. - 2005.6.22.
여성가족부 제1대 장하진 2005.6.23. - 2008.2.29.
여성부 제1대 변도윤 2008.3.13. - 2009.9.29. 이명박 정부
여성가족부 제1대 백희영 2009.9.30. - 2011.9.16.
제2대 김금래 2011.9.17. - 2013.3.10
제3대 조윤선 2013.3.11. - 2014.6.13. 박근혜 정부
제4대 김희정 2014.7.16. - 2016.1.12.
제5대 강은희 2016.1.13. - 2017.7.6.
제6대 정현백 2017.7.7. - 문재인 정부

여성가족부 루머

여성가족부 루머 문서로 이동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