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폭력

최근 편집: 2017년 3월 1일 (수) 14:09

성폭력(sexual violence)이란 심리적, 물리적, 사회적, 법적으로 성과 관련해 폭력적 행위를 하는 것으로 성추행, 성희롱, 성폭행 등 모든 종류의 성적 폭력을 포괄한다.

잘못된 통념

  • 성폭력 원인에 대한 잘못된 접근
    • 성욕, 남성의 성충동은 억제할 수 없다.
    • 피해자의 옷차림, 강력한 거부 의사를 하지 않음
    • 피해자는 모두 수동적이고 비극적일 것이라는 인식.
  • 성기삽입만을 성폭력으로 보는 관점 : 여성만이 성폭력 피해자가 될 수 있다는 잘못된 인식. 언어적 성추행 등의 가해는 무시된다.

권력관계에 의한 폭력

성폭력은 사회적 저변에 존재하는 권력관계에 의해 발생한다. 성폭력 사건의 발생 유형의 대부분은 비장애인 - 장애인, 상사 - 부하, 남자 - 여자 등으로 강자 - 약자의 관계이다. [1]

종류

성기 삽입만 성폭력으로 보는 것은 남성 행위 중심적인 시각이다. 한국민우여성회는 성폭력을 ‘강간이나 강제추행뿐만 아니라 언어적 성희롱, 음란성 메시지, 몰래카메라 등 상대방의 의사에 반해 가해지는 모든 신체적, 정신적 폭력’이라고 정의한다.

강간

강제추행

데이트폭력

사이버성폭력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스토킹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성희롱

몰래 카메라

성폭력에 대한 규정

가부장제 사회에서 여성에 대한 폭력이나 차별은 인권의 시각에서 정의되거나 문제화되지 않고, 가족주의, 민족주의 등 남성 공동체의 관점과 이해에 따라 규정되는 경우가 많다. ... 무엇이 성폭력인가 하는 성폭력 정의의 배제와 포함의 원리를 살펴보면, 우리 사회의 반성폭력 담론이 여성의 인권을 위해서가 아니라 부계 가족 보호라는 남성 공동체의 이해에 더 기능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1996년 대법원트랜스젠더 여성을 남성 3명이 길거리에서 승용차로 납치하여 집단 강간한 사건에 대해, "피해자를 여성이라고 볼 수 없고, 생식 능력이 없다."는 이유로 가해자에게 제1심과 제2심 판결에 이어 무죄를 선고했다. 이 사건은 성폭력의 정의뿐 아니라 남성 중심 사회에서 남성의 시각에 부합하는 '진짜' 여성은 누구인가를 묻고 있다. --p171-172, 페미니즘의 도전

함께 읽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