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지촌 여성

최근 편집: 2017년 4월 14일 (금) 02:39
Pleasesica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14일 (금) 02:39 판 (링크추가, 같이보기 추가)

1969년 '닉슨독트린'의 영향으로 1970년대 초반까지 이루어진 주한미군의 2만 명 감축으로, 박정희 정권은 철수하는 미군을 붙잡기 위해 '기지촌정화사업(BCCUC)'을 추진하였다.

1971년 12월 22일, 박정희 대통령은 기지촌정화위원회 제정과 미군 기지촌들에 대한 '정화정책'의 공식화를 명령했다. 1972년 7월 박 대통령은 기지촌정화위원회 종합 프로그램을 승인했는데 그 지출예산은 11억 5,000만 원이었고, 기지촌에서 시작된 작업의 완성을 위해 1973~1975년 사이에 위원회로 하여금 종합적이고 지속적인 프로그램 기획을 촉진하도록 지시했다.

기지촌정화운동은 국가안보 방위라는 점에서 청와대의 최우선 순위가 되었고, 1960년대와 1970년대의 기지촌여성들은 정부로부터 직접 관리되었다.[1]

1960년대에는 중일전쟁, 2차 세계대전, 한국대전 등으로 한반도 남쪽에 이주한 중국여성과 일본 여성들이 고국으로 돌아가지 못하고 기지촌에 유입되기도 하였다.

미군 기지촌여성들을 지칭하는 용어들

  • 위안부, 미군 위안부, 기지촌 위안부, 양색시, 양공주, 양부인, 양갈보, 기지촌여성, 특수업태부
  • 한국 정부가 법률에서 규정하고 있는 공식적인 용어는 '위안부'이다.
    • 1957년 제정한 '전염병예방법 시행령' 제4조에서 규정한 위안부는 1969년의 개정 법률에서도 그대로 사용되다가 1977년 개정 시 삭제된다.
    • 1962년 10월 정부는 위안부의 인격을 존중하고 열등의식을 지양케 한다는 방침에서 앞으로 위안부를 '특수업태부'로 바꾸어 부른다는 발표를 하였지만, 1990년대 초반까지도 시,군의 관련 공무원들은 한국남성과 성매매를 하는 '윤락여성'과 구분하여 미군 기지촌여성들을 위안부라고 불렀다.

자매회

  • 위안부 자치회 형식의 단체. 실제로는 정부와 미군부대, 포주들에 의해 운영되고 있었다.
  • 미군 위안부에 대한 관리를 강화할 목적으로 1962년 10월 23일부터 모든 위안부들을 지역재건부녀회에 가입시켜 등록하도록 하였다.
  • 기지촌여성들은 자매회 가입 시 회비를 내고, 매달 회비를 납부해야 했다. 회비를 내지 않으면 보건증을 만들수 없었다.
    • 1960년대에서 1980년대까지 기지촌여성들은 클럽 출입구에 자신의 보건증을 꽂아놓고 해당 번호표를 몸에 부착해야 클럽에 들어갈 수 있었다. 출입구에 꽂혀 있는 보건증의 사진을 보고 미군들은 여성을 '컨택'하였다.
  • 동두천의 자매회에서는 어려운 형편의 기지촌여성들을 지원하는 자원봉사라고 홍보하며 지구별로 감찰들을 선정해 30여 명의 자원봉사단을 조직하여 운영했다. 감찰이 어려운 형편의 기지촌여성을 찾아내면 쌀 한 말과 연탄 50장을 지원하는 조건으로 자매회에 등록시켰다.
    • 감찰들 역시 저녁에는 미군을 상대해야했다.
    • 감찰들은 동료들의 상황을 개선하기 위해 포주에게 맞서거나 미군범죄가 발생했을때 적극적으로 나서는 등의 활동을 하였다. 한편으로 자매회나 포주들의 편에 서서 다른 기지촌여성들을 착취하는 감찰들도 존재했다.
  • 1990년대 초중반부터 자매회에 대한 정부의 지원이 끊기면서 자매회는 자취를 감추었고, 회비 적립금의 행방도 묘현해졌다.

기지촌에서 사용되었던 은어들

  • 롱타임숏타임: 성매매는 시간에 따라 가격이 정해져 있었다. 롱타임은 10~15달러이며 숏타임은 3~5달러. 이를 기지촌여성들은 '긴 밤, 짧은 밤'이라고 불렀고, 미군들은 'long time, short time'이라고 불렀다.
    • 이렇게 벌어진 달러는 대부분의 위안부들이 포주에게 진 빚 5~10만원에 대한 달러 이자(1할)와 식대,침구비,방세 등으로 결재됐다.
  • 온달러: 기지촌여성들의 외상금액에 최하 3할에서 최고 5할까지 붙는 이자.
    • 기지촌여성들은 소개비(포주가 소개인에게 주는 7천 원 가량의 돈) 또는 선불금(포주가 인신매매범에게 주는 돈)을 빚으로 안고 들어온다. 여기에 포주가 내주는 2평 남짓한 단칸방에서 살면서 1만 3천 원 가량의 방세와 방 안의 가구들에 대한 침구비식대, 옷값이라는 이름의 외상이 끊임없이 쌓인다.
  • 워먼 드링크: 얼음에 음료수를 넣고 캡틴큐(당시 면세주로 기지촌 미군 전용 클럽에 제공되던 양주명)를 섞어 만든 술. 기지촌여성들은 '짜가술'이라 불렀고, 미군들은 'woman drink'라고 불렀다.
  • 왕포주: 대규모 미군 전용 클럽의 포주. 클럽 업주는 여성들을 인신매매하는 비용을 포주집의 포주에게 대여하고 이자 명목으로 기지촌여성들의 화대 수익을 서로 나누며 공동으로 착취했다.
    • 포주: 성매매 알선의 주요 거점인 클럽을 끼고서 기지촌여성들에게 클럽에 나가 술을 팔고 성매매 호객행위를 하도록 강요하고 직접 성매매를 알선하였다.
    • 자치 포주:클럽 집결지 바깥쪽에서 성매매 장소를 제공하였다.
  • 터큐폰 골목: 용주골 성매매업소(파주시 파주읍 연풍리 일대). 성구매자는 모두 미군들. 최근까지도 인신매매와 성매매범죄로 악명이 높으며, 이러한 형태의 성매매를 지금은 '성매매집결지'나 '유리방'등으로 부른다.
  • 토벌: 기지촌여성들에 대한 미군과 한국경찰, 보건소의 합동단속을 말한다. 단속의 목적은 성병 검진을 받지 않는 여성들을 처벌하고 성병 검진을 강제하기 위함이었다.
    • 합동토벌:미국헌병과 한국경찰, 보건소, 자치회의 합동단속. 월 2회.
    • 집토벌: 한국경찰, 보건소, 자치회의 합동단속. 월 1회 또는 격월.
  • 펨푸집: 포주가 고용한 호객꾼이 '히파리집' 골목 입구에서 성구매자인 미군들을 유인해오면 감금돼 있는 기지촌여성들이 미군들을 상대하는 포주집의 유형. 검진증을 낼 수 없는 미성년자 여성들이 많았다.


  • 하얀 집: 동두천 낙검자수용소. 기지촌 여성들은 '언덕 위의 하얀 집'이라고 불렀다.
    • 낙검자수용소: 성병관리소.
    • 파주군 법원리 성병관리소: 파주군이 1백 63만여 원을 들여 건평 75평짜리로 1965년 9월에 설치했다. 1967년 11월에 제2성병관리소를 추가설치하였고, 1990년대 후반까지 운영되었으며, 1999년 5월 15일 폐지되었다.
  • 헬렐레: 1갑에 5백 원 하는 해피스모크(대마초)에서 세코날, 아로징 등 메프로바메이트류 습관성 약품, 암페타민, LSD 등 고성능 환각제, 모르핀 주사 등 모든 마약성 약 또는 이 약에 취한 미군들을 일컫는다.


같이 보기

참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