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혜석

최근 편집: 2017년 4월 25일 (화) 14:28
낙엽 봇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4월 25일 (화) 14:28 판 (분류:성격/인물 추가)

개요

나혜석(1896년 4월 28일 ~ 1948년 12월 10일)은 화가, 작가, 시인, 조각가이며 페미니스트, 사회운동가, 언론인이다. 김명순, 허정숙, 이광수, 김일엽과 함께 자유연애론을 펼쳤다. 당대 남성들에게 후려치기를 당해 평가절하된 비운의 인물이다. 많은 활동을 펼쳤으나, 당대의 사람들에게 연애 스캔들로만 주목받고 평가를 당했다.

생애

나혜석은 대한민국 여성으로서는 최초의 서양화가이자 작가이며 근대적 여권론을 펼친 운동가였다. 먼저 일본에 유학한 오빠의 주선으로 일본 도쿄에 있는 사립여자미술학교에서 유화를 공부했다. 일본 유학 시절 여자유학생 학우회 기관지인 『여자계』 발행에 주도적으로 참여하면서 조혼을 강요하는 아버지에 맞서 여성도 인간임을 주장하는 단편소설 「경희」를 발표했다. 1918년 귀국하여 1919년 3.1운동에 여성들의 참여를 조직하는 활동을 하다가 5개월 정도 옥고를 치렀고 1921년에는 서울에서 개인 전시회를 했다. 유학 시절 약혼자였던 시인 최승구가 죽은 후 변호사인 김우영과 결혼하여 만주 안동 부영사가 된 남편을 따라 안동에서 살면서 그림을 그리고 글을 썼다. 화가로서 한계를 느끼고 새로운 세계를 찾아 떠난 구미 여행길에 파리에서 만났던 최린과의 관계가 귀국 후 문제가 되면서 1930년 이혼을 했다. 이후 나혜석은 제국미술전람회에 입선하고 여자미술학사를 차리는 등으로 독립적인 생활을 꿈꾸었다. 하지만 가족이나 친지들로부터 외면당하고, 오빠의 경제적 지원이 끊기고, 사회로부터 비난과 조소를 들으면서, 아이들을 보지 못하는 고통으로 나혜석은 심신이 병들어갔다. 일제 말기 수덕사에도 있고, 양로원에도 있었으나 매여 있기를 싫어하고 새로운 것을찾아 길 위에 서는 것을 좋아했던 나혜석은 해방 후의 어느 겨울날 행려병자로 죽었다.[1]

페미니즘과 나혜석

나혜석은 자신이 내딛는 한 걸음이 조선 여성 전체의 진보라는 점을 늘 의식할 수밖에 없었던 신여성의 대표 인물로서, 조선미술전람회에 거듭 입선한 화가일 뿐만 아니라 자의식적인 여성적 글쓰기를 펼친 작가이기도 했다. 특히, 페미니즘과 최초의 여성작가라는 주제의 두 측면으로 나혜석 문학 연구가 활발히 이루어져 왔다.

나혜석은 근대 사회로의 길목에 선 조선 사회에서 시대를 너무 앞선 나머지 자식들에게는 나쁜 여자로 기억되고 사회에서는 잊힌 인물이 되어버렸다. 나혜석의 예술가적 영혼이 너무나 자유분방하고 의식도 너무나 첨단에 있어 고루한 인습과 충돌하지 않을 수 없었던 까닭이다. 그의 말마따나 “과도기에 선각자로 그 운명의 줄에 희생(「신생활에 들면서」)”되었던 터이다.

그의 부활은 1970년대 이후부터로, 대한민국의 여성해방인식이 대중적 확산을 이루면서 가능해졌다. 나혜석은 이제 화가, 작가, 민족주의자, 여성해방론자로서 근대기를 대표하는 여성 작가로서 자리매김하고 있다. 특히, 주제적 측면에서 페미니즘이라는 계몽 의식에 투철한 작품을 썼고, 그 의식의 첨단성은 오늘날에도 새로움을 느낄 만큼 혁명적이어서 한국의 대표적인 페미니즘 작가로서 조명되고 있다.나혜석의 페미니즘적 사상은 저서 "이혼고백서"에 가장 잘 드러나 있따.

강요된 모성 신화 해체

한편, 자신의 임신, 출산, 육아 경험을 솔직하게 토로하면서 “자식은 모체의 살점을 떼어 가는 악마”라고 규정한 「모된 감상기」는 여성 고유의 경험을 처음으로 여성의 시각을 통해 공론화시킨 것으로 사회적 파문을 일으켰다. 그는 모성 신화를 정면으로 부정하며, 모성이라는 것은 날 때부터 여성이 지니는 것이 아니라 기르는 동안 가지게 되는 정이라고 규정한다. 그는 여성으로서의 고유한 경험을 바탕으로 남존여비나 모성성 신비화 등에 관해 단호히 거부할 수 있었다. 이 글을 통해 그는 여성들의 고충을 앞장서서 말하며 그들과 연대하고자 하는 선각자 역할을 하였다.

모가 자식을 사랑하는 것은 솟아오르는 정이라고들 한다. 러면 아들이나 딸이나 평등으로 사랑할것이다. 어찌하여 한 부모의 자식에게 대하여 출생시부터 사랑의 차별이 생기고 조선이 생기고 요구가 생길까. 아들이니 귀엽고 딸이니 천하며, 자보다 남자를, 약자보다 강자를, 패자보다 우자를- 이런 절대적 타산이 생기는 것이 웬일인가. (중략) 그들은 절대효를 요구하여 보은하라 명령한다. (중략) 세인들은 항용, 모친의 애라는 것은 처음부터 모된 자 마음 속에 구비하여 있는 것같이 말하나 나는 도무지 그렇게 생각이 들지 않는다. (중략) 즉 경험과 시간을 경하여야만 있는 듯싶다. - 「모된 감상기」 중

사 남매 아이들아. 에미를 원망치 말고 사회제도와 도덕과 법률과 인습을 원망하라. 네 에미는 과도기에 선각자로 그 운명의 줄에 희생된 자이었더니라.

여성은 심한 취급을 당하고 있다. 여성을 저능하게 만들어놓고 그 저능을 비난하고 무지를 경시하며 그 지식을 조롱하고 있다. 연애에 있어서는 창녀 취급을 당하고 부부의 애정에 있어서는 하녀 취급을 받는다. 더구나 정조라는 멍에로 여성을 속박해놓으려고 하고 있다. 이것이 남성이다.

나혜석의 연애

나혜석은 최승구와 자유연애를 하며 약혼까지 한 사이였으나, 불행하게 최승구는 폣병으로 죽고 만다. 이 때에 나혜석은 다시 연애를 하지 않을 결심을 한다. 하지만 나혜석을 좋아한 김우영이 10년에 가까운 구애를 한 끝에 나혜석은 마음을 연다. 김우영은 나혜석과 결혼할 적에 전처와의 사이에 아이가 있었다. 나혜석은 김우영과 결혼할 적에 세 가지 조건을 내세웠다고 한다.

  1. 지금 사랑하는 것처럼 평생 자신을 사랑할 것.
  2. 시부모 봉양과 아이들 돌보기를 요구하지 말 것.
  3. 자신의 화가 생활을 방해하지 말 것.

특히 2번은 당시 시대상으로 보았을 때 아주 파격적인 조건이었다고 볼 수 있다. 또한, 김우영과 결혼할 적에 신혼 여행 대신 김우영의 돈으로 최승구의 무덤에 비석을 세워 세간의 비난을 받기도 했다.

나혜석은 이후 조선 총독에서 제공하는 유럽 여행의 일환으로 파리에 놀러갔다가 최린을 만나게 된다. 최린과 연애를 하면서 언론의 물음에 최린과 연애를 한 것이 맞다고 응답을 하지만, 최린은 자신은 그런 적이 없다며 발을 빼 버린다. 이후 "이혼고백서"에서 나혜석은 이런 최린의 태도를 비난하기도 했다. 결혼한 중에 최린과 만난 것이 문제시되어 이후 나혜석은 김우영과 이혼하게 된다.

이광수와도 만난 적이 있다는 소문이 무성하지만, 그 증거는 없다. 아마 만나지 않았을 확률이 더 높을 것이다.

바깥 고리

참조

  1. 이상경, 『나는 인간으로 살고 싶다 영원한 신여성 나혜석』, 한길사, 2009. 이상경, 「만주에서 나혜석의 글쓰기」. 류진아, 「페미니스트 나혜석을 말하다 : 글쓰기를 통한 페미니즘의 실천」. 나혜석, 신여성문화, 문화콘텐츠닷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