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여군

최근 편집: 2017년 6월 10일 (토) 17:56
낙엽 봇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6월 10일 (토) 17:56 판 (틀에서 문단 제목이 제거(분리)됨에 따름)

여성 군인을 뜻하는 말

개요

병역의무의 양면

역사

  • 1948년 8월 26일 민간 간호자격증을 가진 31명의 여성들을 모집하여 육군 간호소위 임관[1]
    • 전쟁기간 중 참전한 육군 간호장교는 1,257명으로 추산된다.
  • 1949년 1월 10일 비행사 이정희 중위 임관후 2월 15일 공군 여자항공교육대 창설[1]
    • 여자항공병 제1기 15명 입교, 제2기 39명 입교 및 6.25전쟁발발 당시 42명 복무[주 1]
    • 공군은 간호장교가 아닌 간호군무원을 두어 배치하였으나 정확한 인원수를 확인할 수 없다.
  • 1949년 2월 7일 진해에 해군 간호교육대 창설[1]
    • 제1기 20명 입교, 제2기 6명 입교, 제3기 20명 입교, 제4기 12명 입교 및 해군 간호소위 임관
  • 1949년 7월 30일 육군 여자배속장교 제1기 32명 임관[2]
  •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여자배속장교 교육대장 김현숙 예비역 중위와 15명의 배속장교 참전[1]
  • 1950년 8월말 제주도에서 미혼 여교사와 어린 여중생들로 구성된 126명이 자원입대하여 해군신병교육대 특별중대 편성후 10월 10일 수료[1]
  • 1950년 9월 6일 부산[주 2]여자의용군교육대(여군훈련소) 창설[2]
    • 전쟁기간 중 총 4개기 1,058명이 수료하여, 여군훈련소, 전방 군단 및 사단, 정훈대대,정보 및 첩보부대,예술대,전후방 각급부대 등에 배치되고, 행정지원,대민선무공작,정훈교육,대적방송,첩보수집,위문공연,경리,통신,보급 등의 업무 수행[1]
  • 1951년 11월 여자의용군교육대 해체와 동시에 육군본부 부관실 내에 여군의 인사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여군과 설치[2]
  • 1952년부터 타자 기술을 도입하여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여성 기능 인력 양성[2]
  • 1953년 8월 22일 여군간부후보생 1기 13명 임관[2]
  • 1954년 2월 여군부 승격 개편[2]
  • 1955년 서울 서빙고에 여군 훈련소 재창설[2]
  • 1959년 1월 여군처 개편[2]
  • 1970년 12월 1일 여군 훈련소와 여군대대를 예속부대로 한 여군단 승격 개편[2]
  • 1989년 여군단 해체[2]

여군 현황

6.25전쟁 참전여군

지원자 수의 증가

보직

여군과 인권

  • 기혼 여군의 출산 허용 : 1989년
    • 여군은 결혼을 할수있지만 아이를 낳으면 전역해야 했다.
  • 여성 부사관에게 결혼 허용 : 1985년
    • 결혼을 한 상태로 부사관이 되면 이혼해야 했다.
  • 여군복무규율[2]
    • 사관후보생(1중대)은 짧은 파마머리, 부사관후보생(2중대)은 커트머리
    • 일과교육시간엔 하의가 스커트인 정복
    • 내무반 밖에서는 화장 필수
    • 후보생은 외박 및 면회 금지
  • 여군=특수병과=여군병과로 취급됨[2]
    • 여군조종사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항공병과에 속해있는데도 비공식 파견 요원으로 관리되었다.
      • 기존의 조종사들처럼 교육을 받지못하여 조종사의 기술등급을 올릴수 없었고 필수비행시간을 채우기 힘들었다.

여군과 페미니즘

여자도 군대가라고?

이스라엘 여군의 진실

'하사 아가씨'

3성 장군 출신 송영근새누리당 의원 발언

여군 대상 범죄

출처 필요 문단 이 문단의 내용은 출처가 분명하지 않습니다. 출처를 추가해 주세요.

군사법원 자료 분석 결과 2012년 40건이던 군부대 내 여성대상 범죄가 2015년 110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육군이 67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군이 23건 해군이 20건으로 뒤를 이었다. 범죄 중 52건은 성폭력, 강간, 성추행이었다. 여군 대상 범죄가 급증하고 있지만 처벌은 약해서 해결이 더욱 힘든 상황이다.

  • 육군 전방부대 사단장 김ㅇㅇ 소장, 2001년 1월 8일 여성 장교를 성추행한 혐의로 같은해 10월 9일 보직해임[3]


부연 설명

  1. 54명 중 12명이 전쟁발발 이전에 제대하였고, 전쟁발발 직후 임무수행 여건 불비 등의 사유로 모든 여자항공병은 귀가조치되었다. 이정희 대위를 비롯한 일부는 북한군에게 포로가 되어 납북 또는 사살되었고, 다른 일부는 피란민이 되었다.
  2. 6.25전쟁 중 임시 수도 상태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