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국군/여군

최근 편집: 2017년 7월 15일 (토) 00:34
Salam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7월 15일 (토) 00:34 판 (2010년에 대한 예시로 2001년 사건을 든 게 아니라 여군대상범죄 문단에 대한 개별적인 예시입니다.)

여성 군인을 뜻하는 말

개요

병역의무의 양면

역사

  • 1948년 8월 26일 민간 간호자격증을 가진 31명의 여성들을 모집하여 육군 간호소위 임관[1]
    • 전쟁기간 중 참전한 육군 간호장교는 1,257명으로 추산된다.
  • 1949년 1월 10일 비행사 이정희 중위 임관후 2월 15일 공군 여자항공교육대 창설[1]
    • 여자항공병 제1기 15명 입교, 제2기 39명 입교 및 6.25전쟁발발 당시 42명 복무[주 1]
    • 공군은 간호장교가 아닌 간호군무원을 두어 배치하였으나 정확한 인원수를 확인할 수 없다.
  • 1949년 2월 7일 진해에 해군 간호교육대 창설[1]
    • 제1기 20명 입교, 제2기 6명 입교, 제3기 20명 입교, 제4기 12명 입교 및 해군 간호소위 임관
  • 1949년 7월 30일 육군 여자배속장교 제1기 32명 임관[2]
  • 1950년 6.25전쟁 발발 후 여자배속장교 교육대장 김현숙 예비역 중위와 15명의 배속장교 참전[1]
  • 1950년 8월말 제주도에서 미혼 여교사와 어린 여중생들로 구성된 126명이 자원입대하여 해군신병교육대 특별중대 편성후 10월 10일 수료[1]
  • 1950년 9월 6일 부산[주 2]여자의용군교육대(여군훈련소) 창설[2]
    • 전쟁기간 중 총 4개기 1,058명이 수료하여, 여군훈련소, 전방 군단 및 사단, 정훈대대,정보 및 첩보부대,예술대,전후방 각급부대 등에 배치되고, 행정지원,대민선무공작,정훈교육,대적방송,첩보수집,위문공연,경리,통신,보급 등의 업무 수행[1]
  • 1951년 11월 여자의용군교육대 해체와 동시에 육군본부 부관실 내에 여군의 인사 행정 업무를 담당하는 여군과 설치[2]
  • 1952년부터 타자 기술을 도입하여 행정 업무를 지원하는 여성 기능 인력 양성[2]
  • 1953년 8월 22일 여군간부후보생 1기 13명 임관[2]
  • 1954년 2월 여군부 승격 개편[2]
  • 1955년 서울 서빙고에 여군 훈련소 재창설[2]
  • 1959년 1월 여군처 개편[2]
  • 1970년 12월 1일 여군 훈련소와 여군대대를 예속부대로 한 여군단 승격 개편[2]
  • 1989년 여군단 해체[2]

여군 현황

6.25전쟁 참전여군

지원자 수의 증가

보직

여군과 인권

  • 기혼 여군의 출산 허용 : 1989년
    • 여군은 결혼을 할수있지만 아이를 낳으면 전역해야 했다.
  • 여성 부사관에게 결혼 허용 : 1985년
    • 결혼을 한 상태로 부사관이 되면 이혼해야 했다.
  • 여군복무규율[2]
    • 사관후보생(1중대)은 짧은 파마머리, 부사관후보생(2중대)은 커트머리
    • 일과교육시간엔 하의가 스커트인 정복
    • 내무반 밖에서는 화장 필수
    • 후보생은 외박 및 면회 금지
  • 여군=특수병과=여군병과로 취급됨[2]
    • 여군조종사의 경우 실질적으로는 항공병과에 속해있는데도 비공식 파견 요원으로 관리되었다.
      • 기존의 조종사들처럼 교육을 받지못하여 조종사의 기술등급을 올릴수 없었고 필수비행시간을 채우기 힘들었다.

여군과 페미니즘

여자도 군대가라고?

이스라엘 여군의 진실

'하사 아가씨'

3성 장군 출신 송영근새누리당 의원 발언

여군 대상 범죄

  • 육군 전방부대 사단장 김ㅇㅇ 소장, 2001년 1월 8일 여성 장교를 성추행한 혐의로 같은해 10월 9일 보직해임[3]
  • 군사법원 자료 분석 결과 2012년 40건이던 군부대 내 여성대상 범죄가 2015년 110건으로 급격히 늘었다. 육군이 67건으로 가장 많았고 공군이 23건 해군이 20건으로 뒤를 이었다. 범죄 중 52건은 성폭력, 강간, 성추행이었다. 여군 대상 범죄가 급증하고 있지만 처벌은 약해서 해결이 더욱 힘든 상황이다.

부연 설명

  1. 54명 중 12명이 전쟁발발 이전에 제대하였고, 전쟁발발 직후 임무수행 여건 불비 등의 사유로 모든 여자항공병은 귀가조치되었다. 이정희 대위를 비롯한 일부는 북한군에게 포로가 되어 납북 또는 사살되었고, 다른 일부는 피란민이 되었다.
  2. 6.25전쟁 중 임시 수도 상태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