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노의 숫자

최근 편집: 2024년 5월 7일 (화) 23:05

분노의 숫자 : 국가가 숨기는 불평등에 관한 보고서

경제학, 행정학, 도시공학 등 여러 분야의 전문가들이 모여 만든 '새로운 사회를 여는 연구원'이 2014년 출간한 교양서적이다. 한국 사회에 만연한 여러 가지 불평등을 통계와 수치를 통해 보여주고, 각 통계마다 간단한 논평을 덧붙이는 형태로 쓰여졌다.

2014년 서적이라 인용된 통계는 대체로 2014년 기준이다.

목차

1. 세 살 불평등 언제까지?

  • 붉은 여왕의 나라에서 살아남기
  • 최저 출산율의 사회
  • 아동가족복지, OECD 최하위
  • 아이 낳아 대학까지 보내는 데 드는 돈, 3억 1,000만 원
  • 교육 수준은 최고, 행복은 최하위
  • 청소년 사망자 10명 중 3명은 자살

2. 청춘 잔혹사

  • 엄마, 성공하지 못해 미안해요
  • 등록금을 쌓아 두는 대학, 적립금만 11조 7,000억 원
  • 청년, 주거 빈민이 되다
  • 20대 청년 고용률 55.8%, 문제는 눈높이가 아니다

3. 워킹푸어 권하는 사회

  • 열심히 일해도 가난한 이유
  • 대기업 노동자 임금의 반도 못 받는 중소기업 노동자
  • 최저임금도 못 받는 노동자, 208만 8,000명
  • 임시직 노동자 비율 OECD 최고, 23.76%
  • 노조 조직률 10.3%, OECD 최하위
  • 325시간 더 일하는 대한민국 노동자

4. 여자라서 행복하세요?

  • 한국에서 여성 노동자로 살아가기
  • 성별 임금격차 37.4%
  • 여성 10명 중 4명은 저임금 노동자
  • 여성 경제활동, 결혼과 함께 사라지다
  • 맞벌이 부부, 집안일은 여자가?

5. 가계 부채라는 시한폭탄

  • 어느 부자(父子)의 저녁
  • 저소득층 가계 부채, 연소득의 2배
  • 가계 부채 부담, OECD 국가들의 2배
  • 제2금융권에서 돈 빌리는 가계, 50%
  • 서민 상대 돈 장사, 대부업체 이자만 2조 8,000억 원

6. 커지는 파이, 나눠지지 않는 파이

  • 우리 동네 골목 풍경
  • 부자 기업, 가난한 가계
  • 삼성전자 임원 연봉, 노동자 연봉의 137배
  • 몰락하는 자영업
  • 주식 부자 상위 1%가 시가총액의 81.8% 소유

7. 대기업 공화국

  • 갑과 을의 탄생
  • 10대 대기업 현금 창고엔 123조 7,000억 원
  • 세금은 국민이, 혜택은 대기업이
  • 삼성 스마트폰 10대 중 1대만 국내 생산
  • 4년 동안 2배 이상 증가한 기업형 슈퍼마켓

8. 이상한 나라의 집값

  • 나락으로 떨어지는 무주택자의 삶
  • 저축만으로 집 사는 데 걸리는 시간, 27년
  • 아파트 전세 가격 상승률, 소득 증가율의 2.5배
  • 저소득층 주거비 부담, 고소득층의 6배

9. 당신은 건강하십니까?

  • 가난한 당신, 아파서도 안 된다
  • 저소등측 의료비 부담, 고소득층의 10배 이상
  • 건강보험 흑자의 비밀
  • 수술공화국 대한민국

10. 벼랑 끝 사회, 빈곤은 죄다

  • 각자도생하는 경쟁사회
  • 빈곤을 경험해 본 가구, 35.1%
  • 극심한 사회안전망 사각지대
  • 고소득층 낮은 세금, 저소득층 낮은 복지
  • 보험시장 세계 2위, 그러나 지급률은 반토막
  • 10명 중 3명만 신뢰하는 불신사회

11.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노후

  • 노인을 위한 나라는 없다
  • 노인 자살률 세계 1위
  • 가장 오래 일하면서도 가장 가난한 노후
  • 여성 노인의 상대적 빈곤율 74.9%
  • 노인들에게 치명적인 기초연금의 후퇴

에필로그 - 2020년 대한민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