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군위군

최근 편집: 2021년 11월 8일 (월) 13:57

軍威郡 / Gunwi County

개관

군위군은 거꾸로 해도 군위군

대한민국 경상북도 중부에 위치한 군이며 대구광역시와 인접해 있다. [1] 인구는 2009년 기준으로 25,000명 가량이다. 삼국유사가 저술될 당시 일연이 머물던 사찰이 군내에 위치한 인각사였다는 점을 이용하여[2] '삼국유사의 고장 군위'라는 브랜드를 열심히 홍보 중이고 '삼국유사 테마파크'를 계획하고 있다. 읍내에 있는 공연전시장은 이름이 아예 삼국유사교육문화회관이다.

대도시인 대구광역시랑 붙어 있으면서도, 인지도가 안습인지라 어디에 붙어 있는지도 모르는사람이 많다. 아.. 잠깐 눈물 좀 닦고(...) 바로 옆에 있는 구미시와 헷갈리는 사람도 있다.

기본적으로 군위군은 산 안 쪽에 위치한 깡촌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위천의 상류로, 남쪽과 동쪽은 (낙동강의 지류인) 금호강, 위천, 반변천(엄밀히는 반변천의 지류인 길안천)의 분수령인 산들로 둘러싸여 있고, 구미가 있는 서쪽도 낙동강 본류와 위천 수계를 나누는 산으로 막혀 있다.

지형을 무시하고 위치만 본다면, 대구, 구미와 가까운데도 전혀 발전을 하지 않을 수 있었던 건, 이러한 지형적 요인이 한몫했다.

그 덕분에 인구는 경북에서 3번째로 적다. 경북에서 군위군보다 인구가 적은 곳은 울릉군영양군밖에 없는데, 이 두 곳은 전국에서 인구가 가장 적은 곳 1, 2위를 당당하게 랭크하고 계신다. 전국단위로 봐도 울릉군(10,236)-영양군(18,102)-옹진군(20,694)-장수군(23,317)-양구군(23,738)에 이어 6위. 울릉이랑 옹진은 이고, 영양은 BYC고, 장수는 무진장이고, 양구는 전방이라서 그렇다 치는데 여긴 대체 왜? 그만큼 군청소재지인 군위읍도 인구는 안습하다. 겨우 8,187명.

국회의원 선거구의성군, 청송군과 한 선거구로 의성-군위-청송 선거구를 이루고 있다. 하지만 하한인구 미달인 데다가 2016년 제20대 국회의원 선거에서는 인근의 상주시, 영천시의 인구 감소로 선거구 통폐합이 예상되므로 현 선거구가 완전히 바뀔 가능성이 높다.

동쪽에 영천시청송군, 서쪽에 구미시, 남쪽에 대구광역시칠곡군, 북쪽에 의성군이 있다.

역사

군위군(軍威郡, 1895) + 의흥군 (義興郡, 1895) → 군위군(1914)

신라시대에는 노동멱현(奴同覓縣)이었다. 그러다가 경덕왕 때 현재의 명칭인 군위현(일명 赤羅縣)으로 개칭되어 숭선군(지금의 구미시)의 한 현이 되었다.

군위라는 이름의 유래는 934년 고려 태조 왕건이 후삼국을 통일할 무렵 후백제군을 치기 위해 현재의 군위군을 지날 때 고려군의 위세가 당당함을 보고, 이를 기념하여 촌로에게 군위라는 이름을 지어준 데서 비롯되었다고 한다. 고려 현종 때는 상주에, 고려 인종 때는 일선현에 귀속되었다.

1895년 조선 고종 때 군위현을 군위군으로 개칭하고, 1896년 13도제 실시에 따라 경상북도 군위군으로 되었다.

1914년 부군면 통폐합 때 의흥군을 병합하였다. 1979년에는 군위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1읍 7면의 체제를 갖추었다.

자연

고로면에서 위천이 발원하여 서쪽으로 흘러서 낙동강으로 흘러든다. 위천을 막아서 군위댐이 건설되었다.

2009년 3월 7일에 약 9000만~1억1000만년, 즉 백악기 전기에 전 지층에서 발견된 길이 354mm,폭 173mm의 익룡 앞발자국 화석이 발견되었는데, 이는 이전까지 보고된 세계 최대 익룡 발자국 '해남이크누스(Haenamichnus)'의 앞발자국 길이 330mm,폭 110mm와 뒷발자국 길이 350mm,폭 105mm를 앞지른 수치다. 또 거대한 익룡들의 먹잇감들로 추측되는 비교적 크기가 작은 두 마리 이상의 공룡 발자국 화석들도 함께 발견되었다.

교통

중앙고속도로중앙선이 지나간다. 그런데 인구도 적은 이 지역에서 중앙선이 지나가는 지역은 군위군의 변두리. 그것도 대부분의 역이 여객취급 중지상태고, 군위군 남동쪽 끝자락에 있는 화본역에만 무궁화호가 1일 4회 정차한다. 중앙선 전철화 겸 이설 과정에서는 의흥역에 (가칭)군위역이 건설될 예정이다.

때문에 타 지역에서 대중교통으로 군위로 갈 때엔 읍내의 남쪽에 있는 군위시외버스공용터미널을 이용하게 된다. 공용터미널에서는 촌동네답게 현금만 받고 카드는 받지 않는다. 게다가 현금 또한 만원짜리를 내면 잔돈 없다고 바꿔서 오라고 한다.

관광

팔공산도립공원, 군위삼존석굴(국보 제109호, 일명 제2석굴암), 일연스님이 삼국유사를 집필했다고 알려진 인각사, 고로면에 위치한 장곡자연휴양림, 산성면에 위치한 화본역 등이 있다.

행정구역

군위군의 행정구역은 1읍 8면으로 구획된다. 이 행정구역은 본래 군위군이었던 지역과 부군면 통폐합 이전 의흥군 지역으로 따로 구분할 수 있다.

틀:군위군의 행정구역

구 군위군 지역

  • 군위읍
  • 소보면
  • 효령면

구 의흥군 지역

  • 의흥면
  • 산성면
  • 고로면
  • 부계면
  • 우보면

군사

육군3사관학교에서 사용하는 화산유격장이 이곳에 있다. 3사 생도들은 물론 기존에 학사장교, 군의장교, 군종장교, 법무장교 등을 포함한 사관후보생들이 유격을 받던 곳이다. 현재는 3사 생도들만 유격훈련을 받는다. 이들은 영천에 있는 육군3사관학교에서 이곳까지 야간행군으로 이동해서 유격훈련을 받게 되며 유격장은 화산 꼭대기에 위치해 있다. 거리가 48km쯤 된다.마지막에 820미터 높이의 화산 정상까지 걸어 올라가야 한다. 틀:경상북도의 기초자치단체

  1. 다만 대구와 인접해 있기는 하나 팔공산 산등성이와 인접해 있기 때문에 도로로 군위에서 대구 가려면 칠곡군을 거쳐야 한다.
  2. 전 편집본에 일연이 군위 출신이었다고 기록되어 있었는데 일연 스님은 경산시 출신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