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적 이미지 상품화

최근 편집: 2018년 4월 20일 (금) 15:34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4월 20일 (금) 15:34 판 (새 문서: 여성의 '''성적 이미지 상품화'''는 광고문학, 영화 등 문화 텍스트들에서 이루어지는 성상품화이다.<ref name=":0">...)
(차이) ← 이전 판 | 최신판 (차이) | 다음 판 → (차이)

여성성적 이미지 상품화광고문학, 영화 등 문화 텍스트들에서 이루어지는 성상품화이다.[1]

특징

훔쳐 보기와 육체의 물상화

남성중심 문화에서 여성은 성적 대상으로 제공되면서 상품화된다.[1] 로라 멀비는 문화 텍스트들 속에서 주체가 대상을 바라보는 능동적 훔쳐보기는 남성적 특성, 다른 주체에게 보여지를 욕망하는 수동적 노출증은 여성적 특성으로 나뉜다고 분석하였다.[1]

수동적 대상이 된 여성 이미지의 특징은 여성성이 과장되고 파편화되었다는 점이다.[1] 조각난 이미지들은 입술, , 가슴, 다리, 엉덩이 등을 몸 전체와 분리시켜 비정상적으로 과장된다.[1] 이는 여성의 몸만이 아니라 인간의 몸을 물건으로 취급하고 이 인간관계의 한 양식이 아니라 사고 파는 대상으로 인식되게 만든다.[1]

모험의 주체와 욕망의 대상

시각적 쾌락이 중요한 요소가 되는 영화판타지 소설의 경우 남성이 이야기를 끌고 나가는 모험의 주체가 되는 반면 여성은 남성들이 욕망하는 애인이면서 볼거리로 제공되는 예가 많다.[1] 이러한 남녀구조는 인간관계의 지배 비지배 관계를 재생산하고 마치 성역할의 자연스러운 조화처럼 권력관계를 구조화하게 한다.[1]

서술자 혹은 카메라 시각의 남성성

서술자 혹은 카메라 시각의 남성성에 의해 여성독자조차도 남성으로 호명된다.[1] 남성적인 시선으로 문화를 보는 일에 익숙해진 여성의 경우 여성적인 시선이 억압되고 파편화되어 이중성을 띠게 된다.[1] 이 때문에 여성은 자신의 육체로 시선을 돌렸을 때도 타인의 시선으로 바라보게 된다.[1]

윤리적 불편함의 회피

이구영의 더러운 잠. 과잉된 여성성이 정치의 부정적인 면과 은유적으로 연결되는 이러한 방식은 성에 대한 욕망을 비정상적으로 누리면서도 다시 억압과 규율화를 이루어낸다.[1] 억압적인 욕망이기에 오히려 과장되고 다시 규율화될 것이기에 무책임한 성적 판타지가 되는 것이다.[1]

성상품화는 남성 독자들의 윤리적 불편함을 면책해 주기 위한 여러 방책을 마련해 두고 있다. 예를 들어, 아름답지만 과잉된 성욕으로 남성을 타락시키는 악녀형 여성을 훔쳐보는 것은 이 여성에 대한 일종의 처벌로 느껴진다.[1]

출처

  1.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이선옥. 2003. "대중문화의 성상품화와 인권", 아시아여성연구 42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