논 바이너리

최근 편집: 2019년 5월 22일 (수) 15:38
루치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5월 22일 (수) 15:38 판 (논바이너리 프라이드 플래그 추가 및 설명 부연)
논바이너리 트랜스젠더 프라이드 플래그 [1]

논 바이너리(Non-binary)란 젠더 이분법에 저항하며 만들어진 용어. 성별이분법 아래에 배제되는 성별 정체성은 많이 존재한다. 남성 또는 여성 둘만 인정한다면 뉴트로이스가 배제되며, 반드시 하나의 성별 정체성만 가져야 한다면 바이젠더, 멀티젠더 등이 배제되고, 성별 정체성의 유동성을 알 수 있는 젠더플루이드마저 배제된다. 물론 데미젠더, 에이젠더, 젠더리스 등 부분적이거나 없음을 표방하는 다수 성별 정체성이 배제된다.[1]

논바이너리 프라이드 플래그의 의미

노란색은 종종 어떤 것을 자신의 것으로 구별하는데 이용되기에, 성별이분법 바깥에 있거나 성별 이분법에 기준을 두지 않는 성 정체성을 가진 이들을 상징한다. 보라색은 전통적으로 남아와 여아의 색으로 여겨졌기에, 여성과 남성이 뒤섞였거나 그 중간 어디쯤을 본인의 성별 정체성으로 인식하는 사람들을 상징한다. 하얀색은 빛/색이 존재함을 뜻하기에, 다양하거나 모든 성별 정체성을 지닌 사람들을 상징한다. 마지막으로, 검은색은 빛/색의 부재와 같기에, 성별 정체성이 없다고 느끼는 이들을 상징한다. 2014년 Kyle Rowan이 만들었다.[2]

논 바이너리 or 젠더퀴어

출처

  1. 성별이분법에 저항하는 사람들의 모임 여행자. 《뜻밖의 여행》. 여행자. 16쪽. 
  2. annonymous. “Nonbinary”. 《nonbinary.wiki》. 2019년 5월 22일에 확인함. Yellow represents those whose gender exists outside of and without reference to the binary, as yellow is often used to distinguish something as its own. White represents those who have many or all genders, as white is the photological presence of color and/or light. The purple stripe represents those who feel their gender is between or a mix of female and male, as purple is the mix of traditional boy and girl colors. The purple could also be seen as representing the fluidity and uniqueness of nonbinary people. The final black stripe represents those who feel they are without gender, as black is the photological absence of color and/or l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