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 여성가족부

최근 편집: 2023년 3월 21일 (화) 17:40
Artbow64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3월 21일 (화) 17:40 판
여성부
    • 2009.05.01 경력단절여성지원사업 강화
    • 1실 2국 14과, 정원 109명
  • 2008.02.29 여성부 출범
  • 여성정책의 기획ㆍ종합, 여성의 권익증진 등 지위향상
    • 1실 2국 13과, 정원 100명
여성가족부
  • 2007.11.30 가족통합팀을 설치하여 결혼이민자가족지원 업무 강화
    • 2본부 3국 2관 22팀, 정원 187명
  • 2005.06.23 여성가족부 출범
    • 여성, 가족 및 영유아 보육업무
    • 1실 4국 2관 19과, 정원 176명
여성부
  • 2005.04.15 정책홍보관리실을 설치하여 정책홍보 및 재정기획 기능 강화
    • 1실 4국 1관 15과, 정원 150명
  • 2004.06.12 보건복지부로부터 영유아 보육업무 이관
    • 1실 4국 1관 14과, 정원 145명
  • 2002.03.02 여성인력개발 및 여성정보화 사업 강화
    • 1실 3국 12과, 정원 120명
  • 2001.01.29 여성부 출범
    • 여성, 여성정책의 기획ㆍ종합, 남녀차별의 금지ㆍ규제 등
    • 1실 3국 11과, 정원 102명
여성특별위원회
  • 1991.07.23 「남녀차별금지및구제에관한법률」제정에 따른 인원 증원
    • 3조정관 6과, 정원 49명)
  • 1998.02.28 대통령직속 여성특별위원회 신설
    • 여성정책의 기획·종합
    • 3조정관 5과, 정원 41명
정무장관(제2)실
  • 1996.06.29 여성발전기본법 제정에 따른 인원 증원(정원 53명)
  • 1990.06.21 소관업무 지정(국무총리훈령 제243호)
    • 사회·문화에 관한 업무를 대상으로 하되 특히 여성분야에 중점
  • 1988.02.25 정무장관(제2) 임명(정원 20명)

여성 가족부의 주요 업무[1]

  • 여성정책의 기획·종합 및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
  • 정책의 성별영향 분석·평가
  • 여성인력의 개발·활용
  • 청소년정책의 협의·조정
  • 청소년 활동진흥 및 역량개발
  • 유해환경으로부터의 청소년 보호
  • 위기청소년 등의 보호·지원
  • 가족 및 다문화가족 정책의 기획·종합
  • 양육·부양 등 가족기능의 지원
  • 다문화가족의 사회통합 지원
  • 성폭력·가정폭력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성매매 예방 및 피해자 보호
  • 아동·청소년 등의 성보호
  • 이주여성·여성장애인 등의 권익보호
  • 위안부 피해자 지원사업
  • 한부모 가족 지원
  • 남성의 육아참여 확대
  • 작은결혼식
  • 청소년 전화, 여성 긴급전화, 가정폭력 상담
  • 성범죄자 알림e
  • 양육비 미지급 아빠들 신상을 공개하고, 출국 금지, 운전면혀 정지를 일정기간동안 하도록 요청한 바 있다. [2]
  • 리벤지 포르노 용어 퇴출 [3]
  • 저소득층 여성 청소년 만 24세 정혈대 구매권 지원 확장 [4]

여성가족부 장관

부서명 대수 이름 임기 비고
여성부 제1대 한명숙 2001.1.29. - 2003.2.26. 김대중 정부
제2대 지은희 2003.2.27. - 2005.1.4. 노무현 정부
제3대 장하진 2005.1.5. - 2005.6.22.
여성가족부 제1대 장하진 2005.6.23. - 2008.2.29.
여성부 제1대 변도윤 2008.3.13. - 2009.9.29. 이명박 정부
여성가족부 제1대 백희영 2009.9.30. - 2011.9.16.
제2대 김금래 2011.9.17. - 2013.3.10
제3대 조윤선 2013.3.11. - 2014.6.13. 박근혜 정부
제4대 김희정 2014.7.16. - 2016.1.12.
제5대 강은희 2016.1.13. - 2017.7.6.
제6대 정현백 2017.7.7. - 문재인 정부

여성가족부 루머

여성가족부 루머 문서로 이동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