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돔

최근 편집: 2017년 10월 31일 (화) 03:14
Whatis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0월 31일 (화) 03:14 판 (사용법과 유의 사항 추가)

콘돔(condom)은 일회적인 방법으로, 피임이나 성병의 예방을 목적으로 성관계를 할 때 남성의 성기에 씌워 사용하는 기구이다. 정액 안으로 들어가는 것을 물리적으로 차단한다. 재질은 주로 라텍스이다. 또한 성접촉으로 인해 HIV 등의 질병이 옮는 것을 막아주기도 한다.

한국은 콘돔 생산 1위의 국가임에도 불구하고[1] 콘돔 사용율은 선진국 중 최하위인 11.5%를 기록하고 있다.[2][3]

사용법

잘못된 방법으로 착용하면 찢어지거나 터질 수 있으니, 착용법을 잘 숙지하는 것이 중요하다. 콘돔성기가 발기하면 착용하되 여성의 성기에 삽입하기 전에 착용한다. 왜냐하면 사정하기 전이어도 정자가 배출됨으로써 임신되는 경우가 있으며, 삽입 전에 착용해야 성병의 전염을 막을 수 있기 때문이다.

콘돔에는 겉과 속이 있으며, 겉에는 윤활제가 묻어 있기 때문에, 잘못 착용하면 질 속에서 벗겨질 수 있다. 콘돔을 뜯어서 가장자리의 말린 부분이 밖을 향하는지 확인하여 뒤집어 사용하지 않도록 한다.

콘돔 끝의 정액주머니인 돌출 부위를 살짝 비틀어 납작하게 한 후 공기를 빼야 피스톤 운동시 콘돔이 찢어지는 것을 막을 수 있다.[4][5] 콘돔에서 공기를 뺀 상태로 천천히 착용한다. 남성의 사정 후에는 바로 성기를 빼고 콘돔을 제거한다.

마지막으로 콘돔을 버리기 전에 파손이 되었는 지 살펴봄으로써 피임이 성공적으로 이뤄졌는지 확인한다. 확인하는 방법 중 하나는 물을 담아서 새는 것을 확인하는 것이 있다. 만약 파손되었다면 사후피임약으로 또 다른 피임을 할 수 있기 때문에 중요한 단계이다. 확인 후에는 휴지로 감싸서 버리도록 한다.

장점

가장 저렴하고 간편하며, 피임 방법 중 효과적인 피임법으로 다른 피임법과 함께 사용되는 대표적인 피임방법이다. 특히 에이즈와 같은 다양한 성병을 예방할 수 있다. 헤르페스는 피부접촉으로 전염되기 때문에 완전히 예방되지는 않지만 콘돔을 사용하면 전염율을 30% 낮춘다고 한다.[6]

단점

벗겨질 위험과 함께 손상될 위험도 있기 때문에 100% 확실한 피임법은 아니다.

질병관리본부에 따르면 콘돔을 사용하지 않는 이유로 여성의 경우 26%가 '상대방이 좋아하지 않아서'였으며, 남성의 경우 36.3%가 '내가 좋아하지 않아서'였다.

유의 사항

음식에도 유통기한이 있듯 콘돔에도 유효기한이 있다. 라텍스와 같은 고무 재질에는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이 있기 때문이다. 통상 5년 정도라고 한다. 포장상자에 적혀있으니 꼭 확인하도록 한다.

절대로 한 번 사용한 콘돔을 재사용하지 않는다. 정액은 사정하기 전에도 나오며, 발기와 상관없이 나올 수 있다. 재사용된 콘돔피임의 역할을 하지 못한다.

종류

콘돔은 얼마나 얇은지에 따라 초박형(0.03mm)과 일반형 제품이 있고, 겉에 돌기가 있는 돌기형 제품, 과일맛과 향을 첨가한 제품[주 1], 야광 제품 등 다양한 종류가 있다.[8] 최근 식물성 원료만 사용하고 동물 실험도 진행하지 않는 비건 콘돔으로 알려진 EVE 콘돔도 소개되었다(가격은 다른 콘돔보다 비싸긴 하다).

콘돔으로도 막을 수 없는 성병

우선 성관계를 할 때 콘돔을 항상 사용하는 것은 매우 잘 하고 있는 것이다. 그렇지만 지금까지 나온 방법 중 100%의 피임률을 가진 것이 없고, 성병을 완벽하게 예방할 수 있는 방법도 없다. 성병의 종류는 다양하고, 우리가 성병이라고 알고 있는 것들 중에서도 성병이 아닌 것도 많다. 그렇다보니 당연히 전염 경로도 다양하다. 예를 들어, 곤지름은 곤지름 환자와 변기를 같이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으며, 사면발니 같은 성병은 지저분한 숙박시설 같은 곳에서도 전염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수영장이나 사우나에서 전염되는 경우도 있고, 수혈을 하다 전염되는 경우도 있다. 성병 중에서는 성기의 삽입으로 전염되는 것도 있지만, 키스만으로도 전염될 수 있는 헤르페스, 매독 같은 성병도 있다. 그러나 성병이라고 분류하는 이유는, 아무래도 다른 전염경로보다는 성관계시 전염될 수 있는 가능성이 다른 경우보다 확실히 높기 때문이다. 콘돔으로도 막을 수 없는 성병을 예방하려면 성관계를 하지 않고, 지저분한 곳은 가지 않는 방법밖에 없다. 또한 믿을 수 없는 파트너와의 성관계는 신중하게 생각해보는 게 좋을 것이다.

역사

콘돔은 초기에 양과 같은 동물의 장기를 이용하였다. 이후에 고무가 발명되었고, 오늘날 콘돔은 신축성이 있는 고무나 폴리우레탄 등의 재질로 만들어진다. 콘돔은 의약외품으로 널리 사용이 되고 있다.

같이 보기

외부 링크

출처


인용 오류: {{}} 틀이 사용되었지만, 이에 대응하는 {{부연 설명}} 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