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포크 프로젝트/리브레 위키/젠더

최근 편집: 2021년 11월 14일 (일) 11:55
다른 뜻

젠더(Gender)는 '생물학적으로 정의된 성'이 아니라 '사회적으로 정의된 성'을 말한다.

개요

젠더는 여성성남성성의 사회적 의의를 뜻한다. 1955년, 성과학자 존 머니의 "생물학적 성과 역할로서의 젠더"라는 표현에서 처음 구분되기 시작하였다. 1970년대까지는 널리 쓰이지 못했으나, 페미니즘 이론에서 생물학적 성과 사회적 구조체인 젠더의 구분을 받아들이면서 통용되기 시작하였다.

틀:상세 역할로서의 젠더, 혹은 사회적 구조체인 젠더라는 표현은 성 역할에 대한 인식의 변화에서 비롯되었다. 사회적 성 역할은 사람이 말 또는 행동을 통해 자신이 소년 또는 남자, 소녀 또는 여자의 지위를 가지고 있다는 것을 행동을 통해 드러낸다는 것을 의미한다. 성 또는 젠더에 따라 사회적으로 그에게 적합하다고 생각되는 일은 달라지기 때문이다.

사람의 '사회적 성'은 복잡 미묘한데, 외모, 복식, 음성, 움직이는 모습, 기타 생물학적 성별과 관련되지 않은 변수 등을 포함한다.

많은 사회에서 주로 이원 '사회적 성' 체제에서 모든 사람들이 남성이나 여성으로 분류되어 있는 제도를 발전시켰지만 그런 분류만 있는 것은 아니다. 어떤 사회에서는 세 번째 '사회적 성' 역할도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아메리카 원주민의 두 개의 영혼이나 인도의 히즈라가 있다.

'사회적 성'이 어느 정도까지 사회적으로 만들어진 것이며 어느 정도까지 생물학적인가에 대해서는 논란이 있다. 한쪽 극단으로 갔을 때는 사회적 구성주의가 있어서 “사회적 성이 완전히 사회적으로 만들어졌다”고 주장하며, 반대편에서는 생물학주의가 있어서 "사회적 성은 생물학적인 것이다" 라고 주장한다.

시대의 흐름에 따라 젠더는 문화적으로 다양하게 바뀐다. 예를 들어 1900년대 초기에는 분홍색이 남성적인 색으로 여겨졌지만 요즘은 여성적인 색으로 분류된다.

토마스 라쿠어(T.Laquer)는 육체, 성, 해부학에 대한 우리의 인식이 계쏙 바뀌게 된 방식을 탐구하였는데, 몸에대한 지배적 사로였던 단성모델에서 양성모델로 사고의 전환을 꾀했다. 남자와 여자는 섹스의 범주가 아니라 젠더의 범주이며 그것은 사회 속에서 위치를 갖는다는 것이며 문화적 역할을 가진다는 것이지 유기적으로 두 가지 양립 불가능한 섹스의 어느 한 가지라는 것이 아니었다.

유럽연합(EU)과 미국 등 다수 국가가 주장하는 젠더는 남녀차별적인 섹스보다 대등한 남녀간의 관계를 내포하며 평등에 있어서도 모든 사회적인 동등함을 실현시켜야 한다는 의미가 함축돼 있다.

페미니스트 이론에서의 '사회적 성'

1970년대 초반에는 어떠한 용어를 사용해야 하는지에 대하여 합의가 없었다. 《남성적/여성적 또는 인간적》의 1974년 판본에서 저자는 ‘내재적 사회적 성’과 ‘학습된 성별(sex) 역할’이라고 썼으나 1978년 판본에서는 이 두 단어가 서로 바뀌었다. 1980년에 이르러 대부분의 페미니스트 저자들은 ‘사회적 성’ 이라는 단어를 이용하는 데 합의하였다.

관련 영상물

관련 서적

  • 엄기호·정희진·권김현영·나영정·루인·한채윤. 《남성성과 젠더》. 자음과모음. 2011년. ISBN 9788957075517

같이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