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경다양성

최근 편집: 2022년 12월 26일 (월) 02:25
Larodi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26일 (월) 02:25 판 (문자열 찾아 바꾸기 - "\{\{분류\|([^}]+)\}\}" 문자열을 "{{풀기:#invoke:category|categorize|$1}}" 문자열로)

개요

신경다양성(Neurodiversity, ND)은 다양성의 하위 개념으로 인간의 두뇌와 인지 능력, 예를 들어 사교성, 학습, 주의력, 기분 및 기타 정신 기능 에 다양함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1] 신경다양성은(NT중심 사회에서) 일부 신경질환을 치료해야 할 비정상적 장애로 차별적으로 바라보는 게 아니라[2], 사회 내에서 공존해야 할 차이 혹은 진화에 의한 정상적인 유전적 변이로 봐야 한다는 개념이다. 그중 자폐 스펙트럼 계열이 신경다양성으로 논의를 촉발한 근원이다.

신경다양성 개념은 장애로 규정되는 것이 단순히 어떤 본질적 결함이나 손상 때문이 아니라, 서로 다른 사람들과 상호 작용하는 와중 발생하는 사회적 장벽 때문이라고 주장하는 "장애의 사회적 모델"을 기반으로 한다. 예를 들어 한국에 시력이 낮은 사람은 매우 많지만 눈이 나쁜 것을 장애라고 부르는 사람은 별로 없다. 왜냐하면 그를 보완하는 안경이나 렌즈가 보편화되어있기 때문이다. 그러나 휠체어를 타고 다니는 사람들은 장애인이라고 불리는데, 이것은 휠체어를 타야 하는 것이 장애이기 때문이 아니라, 휠체어를 탈 경우 대중교통과 공공장소를 이용할 수 있는 요건이 보장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해당 요소가 장애가 된다는 것이 장애의 사회적 모델이다. 신경다양성을 주장하는 연구자들, 특히 주디 싱어와 패트릭 드와이어는 신경다양성 관점이 신경다양성에 속하는 사람들은 반드시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료 모델과, 사회적 장벽이 문제라는 사회적 모델 사이 강한 대립의 중간 지점이라고 주장한다. [3] [4] [5] 또한 최근 몇 년 동안 신경다양성-인정(Neurodiversity-affirming) 치료가 늘어났고, 다른 치료법에 대해서도 신경다양성 관점이 적용된 발전이 있었다[6] [7] 현재 이 개념은 북미와 북유럽에서는 대중화되었다.


NT(Neurotypical), 신경전형성이란 신경다양성에 대비되는 전형적인 사고방식과 보편적이며 흔한 뇌신경을 가진 이들을 가리키는 표현이다. 이런 사람들을 신경전형인이라고 부른다.

유래

해당 용어는 사회학자 주디 싱어가 1998년 처음 사용했으며, 주디 싱어와 미국의 저널리스트 하비 블룸이 이러한 개념을 구체화하고, 대중화했다. 주디 싱어는 인간의 인지적 변이를 생물학적 다양성과 소수자 정치의 맥락 속에서 연결지어 바라보았다. 여기서 말하는 인지적 변이와 생물학적 다양성은 유전적인 변이와 관련이 있으며, 신경다양성에 속하는 사람들이 사회적으로 권리 운동을 벌이고 있는 소수자라는 점에서 소수자 정치와 연결된다.

이 견해는 현재 신경 발달 장애 로 분류되는 특정 것들이 본질적으로 병리적이라는 지배적인 견해에 대한 도전하기 위해 자폐 권리 운동 에서 비롯되었다.

장애 권리 운동과의 관계

신경다양성 관점은 자폐증을 가진 사람들이 먼저 만들고 받아들였다. [8] [9] 그 후, 다른 신경 발달 및/또는 신경정신과적 상태의 사람들에게도 이 개념이 적용되었는데, 그 대상으로 주의력 결핍 과잉 행동 장애 (ADHD), 발달 언어 장애, 난독증, 난필증, 운동 장애, [10] 연산장애, 실어증, 지적 장애 및 투렛 증후군 등 이 있다. [9] [11] . 더 넓은 개념은 조현병 과 같은 정신 질환, [12] [13] 양극성 장애, [14] 분열정동 장애를 포함하며, 그리고 다소 논쟁의 여지가 있긴 하지만 반사회적 인격 장애와 같은 인격 장애들도 신경다양성에 포함시키는 추세이다. [15]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신경발달장애를 치료나 교정해서 사회에 맞추려는 움직임을 고발하고, 사회가 그들에게 통합 교육, 독립 지원, 보완 대체 의사소통 기술 개발, 직업 훈련 등의 지원을 제공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16] [17] 신경다양인들에게 치료를 강요하고 정상성을 받아들이도록 억압하는 대신 인간 본연의 특성인 다양성을 존중하고 자기표현을 지원해야 한다는 것이다.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사회의 자폐증 및 관련 질환을 재개념화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1. 신경다양성은 치료가 필요없다는 것을 인정하기
  2. 상태, 장애, 질병, 질환 등 의 부정적 단어를 다시 이름 붙이기
  3. 건강하고 독립적인 생활의 이해 확장
  4. 신경전형적이지 않은 사람들에게 더 많은 자율권을 부여
    1. 특히, 치료에 있어 치료 방법, 시기, 아니면 심지어 치료가 필요한 지를 결정하게 하기[18] [19]

신경다양성 관점은 당사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2009년의 연구[20]는 27명의 여러 질환(자폐증, 난독증, ADHD, 뇌졸중, 발달행동장애 등)을 가진 학생을 모집하여 두 종류로 분류했다. 분류 기준은 그들이 스스로를 어떻게 보고 있는지에 대한 것으로, 첫째 그룹은 스스로를 남들과 "다를 뿐"이고, 평범한 이들과 비교했을 때 독특한 장점과 강점이 각각 있다고 보는 그룹이었고, 둘째 그룹은 스스로를 "병자"로, 의학적으로 불완전한 존재로 보는 그룹이었다. 연구 결과, 두 그룹의 학생 모두 학교 생활의 어려움(왕따, 괴롭힘, 학대)등을 경험했음에도, 첫째 그룹(41%)이 더 나은 학습 성취도, 자존감, 더 긍정적이고 명확한 미래 계획을 보인 것으로 나타났다. 첫째 그룹의 학생 대부분은 그런 관점을 온라인 신경다양성 운동가들에게서 배웠다고 말했다.

자폐와 신경다양성에 대한 개념을 평가하기 위한 2013년의 온라인 조사는 '특별함의 축하'나 '결함의 수정'이라는 잘못된 이분법 대신 자폐적 특성을 통제해 이익이 되도록 이용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결론을 냈다.[21]

의의

뇌는 인간의 역사적으로 가장 최근에서야 DNA의 풀이 폭발적으로 다양해진 기관이다. 즉, 생존이나 문명발전을 위해서라도 신경다양성을 가지는게 유리했기에 여러 돌연변이를 겪었다. 즉, 인간의 신경적 다양성은 절대로 무언가 결핍되고 부족한 존재가 아니라 오히려 인류 진화의 산물이라는 것이다.

비판

신경다양성 패러다임은 이후 장애 운동가들 사이에서 논란이 되어 왔는데, 이 신경다양성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이 개념이 일부 장애와 관련된 고통을 경시할 위험이 있고, 누군가는 치료받기를 원하는 지점들마저 받아들이길 요구한다고 주장한다. [22] [23] [24] [25] [26] 이 비판 때문에 신경다양성, 자폐 당사자성 운동가이자 연구원인 아리 니이먼은 특성 기반 접근법을 제안했는데, 이는 행동이나 상태의 특성에 따라 달리 접근할 수 있다는 주장이다. 예를 들어 치료가 필요하다는 의학적(또는 병리학) 관점은 본질적으로 해로운 행동이나 상태(예: 자해 행동, 언어 장애 또는 기타 신체 증상)에 집중하는 반면, 신경다양성 접근법은 동일한 개인의 무해하거나 사회적으로 적응적이라고 평가되는 자폐 특성(예: 반복 행동, 한 주제에 보이는 강렬한 집중)에 적용될 수 있다는 것이 다. [27] [28]

여담

주류에서 100% 받아들여지는 개념까지는 아니더라도 리버럴한 서구권에서는 상당히 진지하게 논의되고 있는 주제이지만, 국내에서는 몇몇 흥미거리용 기사 외에는 아직까지는 사실상 전혀 논의되지 않는 것이 현실이다.

나무위키에서

나무위키에서는 신경다양성의 비판의 논지로 자폐 스펙트럼의 지적장애 수반을 지적하는데[29] 이는 서구권에서도 치료쟁이들이 주로 내세우는 논지라서 자폐 권리 운동 진영에서 반론을 제기한 바 있다. 지능이 높거나 평균 이상인 이들은 공식적으로 자폐 스펙트럼으로 진단 받을 확률이 저지능자보다 적으며, 무엇보다 지능검사의 표본이 NT에게 맞추어져 있어 자폐인들에게 다소 맞지 않다는 점을 간과한 것이다.

신경다양성에 해당하는 케이스

조현병양극성 장애의 경우에는 논란이 있다. 고전적 개념의 신경다양성에는 포함이 되지 않지만, 2010년대 구미권 신경다양성 커뮤니티 일각에선 이들도 신경다양성의 일종으로 보는 시각도 늘어나고 있다.

같이 보기

출처

  1. Armstrong, Thomas (2011). 《The power of neurodiversity: unleashing the advantages of your differently wired brain》 1 Da Capo Press paperback판. Cambridge, MA: Da Capo Lifelong. ISBN 9780738215242. OCLC 760085215. 
  2. 질환이라는 표현 때문에 대중적으로 오해를 받을 여지가 있는데 자폐 스펙트럼은 절대다수가 선천적인 요인으로 나타나며, 애초에 치료 자체가 불가능하다. 단지 공식적인 명칭이 이런것이다.
  3. Patrick Dwyer (2022). “The Neurodiversity Approach(es): What Are They and What Do They Mean for Researchers?” (PDF). 《Human Development》 66 (2): 73–92. doi:10.1159/000523723.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4. Oliver, Michael (2006). 《Social work with disabled people》. Sapey, Bob. 3판. Basingstoke, Hampshire: Palgrave Macmillan. ISBN 1403918384. OCLC 62326930. 
  5. Chapman, Robert (January 10, 2019). 〈Neurodiversity Theory and Its Discontents: Autism, Schizophrenia, and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ekin, Serife; Bluhm.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Bloomsbury. 371–387쪽. ISBN 9781350024069. 
  6. Leadbitter, Kathy; Buckle, Karen Leneh; Ellis, Ceri; Dekker, Martijn (2021).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Frontiers in Psychology》 12: 635690. doi:10.3389/fpsyg.2021.635690. PMC 8075160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3912110 |pmid= 값 확인 필요 (도움말). 
  7. Schuck, Rachel K.; Tagavi, Daina M.; Baiden, Kaitlynn M. P.; Dwyer, Patrick; Williams, Zachary J.; Osuna, Anthony; Ferguson, Emily F.; Jimenez Muñoz, Maria; Poyser, Samantha K. (2021). “Neurodiversity and Autism Intervention: Reconciling Perspectives Through a Naturalistic Developmental Behavioral Intervention Framework”. 《Journal of Autism and Developmental Disorders》. doi:10.1007/s10803-021-05316-x. PMID 34643863 |pmid= 값 확인 필요 (도움말). 
  8. “Autism as a Natural Human Variation: Reflections on the Cl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PDF). 《Health Care Anal》 20 (1): 20–30. February 2011. doi:10.1007/s10728-011-0169-9. PMID 21311979. 2013년 11월 1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9. 9.0 9.1 Woodford, Gillian. 'We Don't Need to be Cured' Autistics Say 틀:웹아카이브. National Review of Medicine. Volume 3. No. 8. April 30, 2006. Retrieved February 23, 2008.
  10. Arnold, Larry (2020). 〈Autonomy, the Critical Journal of Interdisciplinary Autism Studies〉. Kapp, Steven K. 《Autistic Communit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영어). Singapore: Springer. 211–220쪽. doi:10.1007/978-981-13-8437-0_15. ISBN 978-981-13-8437-0. 
  11. Mackenzie, Robin; John Watts (2011년 1월 31일). “Is our legal, health care and social support infrastructure neurodiverse enough? How far are the aims of the neurodiversity movement fulfilled for those diagnosed with cognitive disability and learning disability?”. 《Tizard Learning Disability Review》 16 (1): 30–37. doi:10.5042/tldr.2011.0005. We recommend, therefore, that the term neurodiverse include the conditions ASD, ADHD, OCD, language disorders, developmental coordination disorder, dyslexia and Tourette's syndrome. 
  12. Chapman, Robert (January 10, 2019). 〈Neurodiversity Theory and Its Discontents: Autism, Schizophrenia, and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ekin, Serife; Bluhm.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Bloomsbury. 371–387쪽. ISBN 9781350024069. 
  13. Morrice, Polly (January 29, 2006) "Otherwise Minded" The New York Times, review of A Mind Apart: Travels in a Neurodiverse World
  14. Antonetta, Susanne (2005). 《A mind apart: travels in a neurodiverse world》. New York: Jeremy P. Tarcher/Penguin. ISBN 1-58542-382-3. OCLC 60671914. 
  15. Anton, Audrey L. (2013). “The Virtue of Sociopaths: how to appreciate the neurodiversity of sociopathy without becoming a victim”. 《Ethics and Neurodiversity》. 2015년 8월 2일에 확인함. 
  16. Leadbitter, Kathy; Buckle, Karen Leneh; Ellis, Ceri; Dekker, Martijn (2021). “Autistic Self-Advocacy and the Neurodiversity Movement: Implications for Autism Early Intervention Research and Practice”. 《Frontiers in Psychology》 12: 635690. doi:10.3389/fpsyg.2021.635690. PMC 8075160 |pmc= 값 확인 필요 (도움말). PMID 33912110 |pmid= 값 확인 필요 (도움말). 
  17. “Position Statements”. Autistic Self Advocacy Network. 2011년 5월 28일. 2013년 4월 21일에 확인함. 
  18. Fenton, Andrew, and Tim Krahn. "Autism, Neurodiversity and Equality Beyond the Normal" (PDF). Journal of Ethics in Mental Health 2.2 (2007): 1–6. November 10, 2009.
  19. Chapman, Robert (January 10, 2019). 〈Neurodiversity Theory and Its Discontents: Autism, Schizophrenia, and the Social Model of Disability〉. Tekin, Serife; Bluhm. 《The Bloomsbury Companion to Philosophy of Psychiatry》. Bloomsbury. 371–387쪽. ISBN 9781350024069. 
  20. Griffin, Edward; Pollak, David (January 2009). “Student experiences of neurodiversity in higher education: Insights from the BRAINHE project.”. 《Dyslexia》 15 (1): 23–41. doi:10.1002/dys.383. PMID 19140120. 
  21. Kapp, Steven K.; Gillespie-Lynch, Kristen; Sherman, Lauren E.; Hutman, Ted (January 2013). “Deficit, difference, or both? Autism and neurodiversity.”. 《Developmental Psychology》 49 (1): 59–71. doi:10.1037/a0028353. PMID 22545843. 
  22. Opar, Alisa (2019년 5월 6일). “A medical condition or just a difference? The question roils autism community.”. 《The Washington Post. 2019년 5월 12일에 확인함. 
  23. Robison, John E. “The Controversy Around Autism and Neurodiversity”. 《Psychology Today》 (미국 영어). 2019년 5월 14일에 확인함. 
  24. McGee, Micki (August 2012). “Neurodiversity”. 《Contexts》 11 (3): 12–13. doi:10.1177/1536504212456175. 
  25. Sarrett, Jennifer (April 2016). “Biocertification and Neurodiversity the Role and Implications of Self-Diagnosis in Autistic Communities”. 《www.researchgate.net》. 2022년 3월 6일에 확인함. 
  26. Bailin, Aiyana. “Clearing Up Some Misconceptions about Neurodiversity”. 《Scientific American Blog Network》 (영어). 2022년 4월 12일에 확인함. 
  27. Ari Ne’emana; Elizabeth Pellicano (2022). “Neurodiversity as Politics”. 《Human Development》 66 (2): 149–157. doi:10.1159/000524277. 2022년 7월 24일에 확인함. 
  28. Charlton, Rebecca A.; Entecott, Timothy; Belova, Evelina; Nwaordu, Gabrielle (2021). "It feels like holding back something you need to say": Autistic and Non-Autistic Adults accounts of sensory experiences and stimming”. 《Research in Autism Spectrum Disorders》 89: 101864. doi:10.1016/j.rasd.2021.101864. 
  29. 나무위키 신경다양성#s-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