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신장애

최근 편집: 2021년 5월 27일 (목) 11:45
사회인권 (토론 | 기여)님의 2021년 5월 27일 (목) 11:45 판 (→‎성격장애)

정신질환 또는 정신장애는 보통 뇌의 기능에 이상이 생겨 나타나는 질환으로, 크게는 정신증과 신경증으로 나뉜다.

DSM-5에서는, 정신장애를 삶의 활동에 상당한 제한을 주는 신경적, 정신적 이상 혹은 손상으로 보고있다.

신경발달장애

신경발달장애는 발달기에 시작되는 장애들의 집합이다. 손상의 범위가 다양하며, 동반질환이 흔하다. 지적장애, 의사소통장애, 자폐스펙트럼장애, 주의력결핍과잉행동장애, 특정학습장애, 운동장애 등이 있다.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

조현병 스펙트럼 및 기타 정신병적 장애에는 조현병, 단기 정신병적 장애, 조현형 성격장애(분열형 성격장애), 망상장애, 조현양상장애, 조현정동장애, 긴장증, 약화된 정신증적 증후군 등이 있다. 또한, 물질/약물치료로 유발되거나 다른 의학적 상태로 유발된 장애도 적혀있다.

이들은 망상, 환각, 와해된 사고(언어), 극도로 와해된 또는 비정상적 운동 행동(긴장증 포함), 음성 증상 의 다섯 범주 중 하나 이상의 증상이 있는 경우로 규정된다.

양극성 및 관련 장애

양극성 및 관련 장애는 DSM-5에서 우울장애로부터 분리된 장애이다. 기분이 고양된 조증 상태와 우울증 상태의 주기적 반복이 나타난다. 제1형 양극성장애, 제2형 양극성장애, 순환성장애, 양극성 유사 증상등이 있다.

우울장애

우울장애의 공통양상은 우울하고, 슬프고, 공허하거나 과민한 기분이 있고, 의욕과 즐거움이 감퇴하며, 개인의 기능 수행 능력에 영향을 주는 신체적/인지적 변화가 동반되는 것이다.

파괴적 기분조절장애, 주요 우울장애, 지속성 우울장애(기분저하증), 월경전불쾌감장애(월경전기 불쾌장애) 등이 있다.

불안장애

불안장애에는 극도의 공포, 불안 및 관련된 행동 장애의 특징을 지닌 질환들이 포함된다. 공포불안과 유사한 부분이 있으나 다른 개념이다. 불안장애의 질환들은 공통적으로 공포, 불안 또는 회피 반응을 일으킨다.

분리불안장애, 선택적 함구증, 특정공포증, 사회불안장애(사회공포증), 공황장애, 공황발작 명시자, 광장공포증, 범불안장애 등이 있다.

여성이 남자에 비하여 3배가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강박 및 관련 장애

강박 및 관련 장애는 강박적인 집착, 반복적인 행동을 나타내는 장애이다. 강박장애, 신체변형장애, 저장장애, 모발 뽑기 장애, 피부 벗기기 장애 등이 이에 해당된다.

외상 스트레스 장애

외상 및 스트레스 사건 관련 장애는 외상이나 스트레스 사건 후에 나타나는 부적응 증상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이 장애에는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급성 스트레스 장애, 반응성 애착장애, 탈억제 사회관여 장애, 적응장애 등이 있다.

해리장애

해리장애는 의식, 기억, 정체성, 감정, 지각, 신체 표상, 운동 통제 그리고 행동의 정상적 통합의 붕괴 또는 비연속성을 특징으로 한다. 해리 증상은 잠재적으로 모든 심리 기능 영역을 붕괴시킬 수 있다.

해리성 정체성장애, 해리성 기억상실, 이인증 등이 있다.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

신체증상 및 관련 장애는 원인이 불분명한 신체증상의 호소, 건강에 대한 과도한 염려를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신체증상장애, 질병불안장애, 전환장애, 허위성 장애 등이 있다.

섭식장애

급식 및 섭식장애는 부적절한 섭식행동으로 인한 신체적 건강과 적응기능의 손상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신경성 식욕부진증, 신경성 폭식증, 폭식장애, 이식증, 반추장애, 회피적/제한적 음식섭취 장애 등이 있다.

수면-각성 장애

수면-각성 장애는 수면의 양이나 질의 문제로 인한 수면-각성에 대한 불만과 불평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불면장애, 과다수면 장애, 수면발작증, 호흡 관련 수면장애, 일주기 리듬 수면-각성 장애, 비REM 수면-각성 장애, 악몽장애, REM 수면행동장애, 초조성 다리 증후군 등이 있다.

성기능부전

성기능 부전(성기능 장애)는 원활한 성행위를 저해하는 성기능의 문제를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남성 성욕감퇴 장애, 발기장애, 조루증, 지루증, 여성 성적 관심 및 흥분장애, 여성 절정감 장애, 생식기-골반 통증/삽입 장애 등이 있다.

성별 불쾌감

성별 불쾌감(성 불편증) 은 생물학적 성에 대한 심리적 불편감과 고통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아동의 성 불편증, 청소년과 성인의 성 불편증 등이 있다.

파괴적, 충동조절 및 품행장애

파괴적, 충동조절(통제) 및 품행장애는 충동통제의 곤란으로 인한 타인의 권리 침해와 사회적 규범의 위반 행위를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적대적 반항장애, 품행장애, 반사회성 성격장애, 간헐적 폭발성 장애, 도벽증, 방화증 등 이 있다.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

물질-관련 및 중독 장애는 알코올, 담배, 마약과 같은 물질이나 도박과 같은 행위에 대한 중독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물질-관련 장애(물질 사용 장애, 물질 유도성 장애, 물질 중독, 물질 금단)와 비물질-관련 장애(도박 장애) 등 이 있다. DSM-5에서는 도박 장애(gambling disorder)와 흡연 장애(tobacco use disorder)가 새로 추가되었다.[1]

병적인 도박은 전통적으로 충돌 조절 장애로 분류되어 왔으나, 더 많은 연구가 진행됨에 따라 중독 장애에 속하는 것으로 조정되었다. 병적인 도박과 약물 의존증은 모두 뇌의 보상 기제(reward machanism) 활성화와 관련이 있는 반면, 강박-충동 장애의 경우 뇌의 공포 기제(fear mechanism)의 부적절한 활성화 및 과잉 활성화와 관련이 있기 때문이다.[2]

기존의 약물 남용(substance abuse)과 약물 의존증(substance dependence)은 각 약물 종류별로 합쳐진 후 '중독 및 관련 장애' 분류에 속하는 방식으로 바뀌었다. 알콜 의존증, 아편 의존중, 코카인 의존증, 대마 의존증, 암페타민 의존증, 환각제 의존증, 펜시클리딘 의존증 (동물 마취제), 니코틴 의존증 등을 포함한다.[1]

신경인지장애

신경인지장애는 뇌의 손상으로 인한 인지기능의 심각한 저하나 결손을 나타내는 장애를 말한다. 하위장애로 주요 신경인지장애, 경도 신경인지장애, 섬망 등이 있다.

성격장애

성격 장애 종류는 편집성 성격장애 분열형 성격장애 반사회성 인격장애 연극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경계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인격장애 강박적 성격장애(인격장애 의존성 성격장애 회피성 성격장애

  • 반사회성 성격장애, 경계선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가 현대사회에는 가장 많은 정신병 질환이다. 반사회성 성격장애, 자기애성 성격장애 특징은 "나르시시스트" 라는 특징도 드러난다.
  • 연극성 성격장애, 강박성 성격장애는 완벽주의, 많은 업적을 이룬 사람들이 많다고 한다.
  • 회피성 성격장애는 유년기에 가족들이나, 친구들에게 과도한 상처를 받고 자란 아이들이 불안감을 느끼면서 상대방이 다가오기를 바라지만, 잘 지내면 불안하여 관계를 유지 못하는 불안정한 관계를 이어가는 경우가 많다.

변태성욕장애(성도착 장애)

성도착증(성도착장애, paraphilic disorder)은 병적인 성도착 행동을 뜻한다. DSM-5에서는 단순 성도착(paraphilia)과 정신 질환인 성도착증(paraphilic disorder)을 엄밀하게 구분하고 있다. 개인이나 타인에게 피해를 주지 않는 성도착 행동을 성적 취향의 하나로 인정하고 사회적인 낙인찍기(stigmatize)를 막기 위해서다. 다음을 참고할 것 성도착증

DSM-5는 다음 여덟가지 성도착장애를 법의학적으로 특별히 중요한 것으로 간주한다.

기타 정신질환

이것은 위의 범주에 해당되지 않지만 개인의 적응을 저하하는 심리적 문제들을 말한다. 예를 들어 기타의 신체적 질병으로 인한 정신장애, 기타의 구체화된 정신장애 등이 있다.

약물치료로 유발된 운동장애 및 약물치료의 기타 부작용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임상적 주의의 초점이 될 수 있는 기타의 상태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1. 1.0 1.1 “Highlights of Changes from DSM-IV-TR to DSM-5” (PDF). American Psychiatric Association. 2013년 5월 17일. 2015년 2월 26일에 원본 문서 (PDF)에서 보존된 문서. 
  2. Potenza, M. N (12 October 2008). “The neurobiology of pathological gambling and drug addiction: an overview and new findings”. 《Philosophical Transactions of the Royal Society B: Biological Sciences》 363 (1507): 3181–3189. doi:10.1098/rstb.2008.0100. PMC 2607329. PMID 186409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