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호교차성

최근 편집: 2017년 2월 23일 (목) 22:02
탕수육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2월 23일 (목) 22:02 판 (→‎상호교차성 관점에서 바라보기: 문장 다듬기)

상호교차성 또는 교차성(intersectionality)은 최근 약 20년 사이에 급부상한 이론이자 방법론, 또는 패러다임으로, 상호교차적인(intersecting) 또는 겹쳐지는(overlapping) 사회적 정체성 및 이와 관련된 억압, 지배구조, 차별을 연구한다.[1]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는 1989년에 미국의 비판적 법 인종 이론(critical legal race) 연구자 킴벌리 윌리엄즈 크렌쇼(Kimberlé Williams Crenshaw)에 의해 고안되었다.[2]

상호교차성 이론은 한 사람의 사회적 정체성을 규정하는 범주는 단일하지 않으며 젠더, 인종, 사회 계급 등 다양한 측면이 상호교차적으로 작용한 결과라는 점을 강조한다. 또한, 한 사람에게 작용하는 억압, 지배구조, 차별을 올바르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측면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상호작용과 창발적 속성을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본다. 이 관점에 의하면 여성이 받는 차별과 흑인이 받는 차별을 개별적으로 나누어 분석한 후 이 둘을 취합하는 방식으로는 흑인이면서 동시에 여성인 사람이 받는 차별을 온건하게 이해할 수 없다.

정의

상호교차성은 인간의 존재가 인종, 민족성, 토착성, 젠더, 계급, 성, 지역, 나이, 장애, 이민, 종교 등 서로 다른 사회적 위치에 의해 형성된다는 점들 강조한다. 또한, 사회적 위치를 규정하는 다양한 측면들 사이에서의 상호작용은 법, 정책, 정부, 기타 정치적 또는 경제적 연합체, 종교 단체, 미디어 등 다양한 체제와 권력 구조라는 맥락 하에서 이루어진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식민주의, 제국주의, 인종주의, 동성애혐오, 에이블리즘, 가부장제와 같이 상호의존적 형태의 특권과 억압이 만들어진다고 본다.[1]

상호교차성 관점에서 볼 때 불평등은 결코 단일한 요인에서 비롯되지 않는다. 모든 불평등은 상이한 사회적 위치, 권력 관계, 경험에서 복합적으로 파생된 결과물이다.

크렌쇼의 교차로 비유는 흑인 여성이 겪는 차별을 잘 표현하고 있다.

차가 네 방향에서 모두 오고 가는 교차로(intersection)를 떠올려보자. 교차로를 지나는 차량과 마찬가지로 차별은 한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고 또 다른 방향으로 흐를 수도 있다. 교차로에서는 어느 방향에서 온 차에 인해서든 사고가 날 수 있으며, 때로는 모든 방향에서 온 여러 자동차에 동시 책임이 있을 수도 있다. 이와 유사하게 교차점에 서 있는 흑인 여성이 피해를 입는 경우, 이 피해는 성차별 수도 있고 인종 차별일 수도 있는 것이다. .. 흑인 여성은 때로 백인 여성과 유사한 차별을 경험하고, 때로는 흑인 남성과 유사할 차별을 겪는다. 또 한편으로는 인종 차별과 성 차별이 결합된 형태의 이중적 차별을 겪기도 한다. 여기에 더해서, 흑인 여성은 인종 차별과 성 차별의 합이 아닌, 흑인 여성으로서의 차별을 겪기도 한다. --킴벌리 윌리엄즈 크렌쇼, [2]

즉, 흑인 여성은 다음과 같은 종류의 차별을 겪는다.

  1. 흑인이기 때문에 겪는 인종 차별
  2. 여성이기 때문에 겪는 성 차별
  3. 두 가지 차별을 동시에 겪는 이중적 차별
  4. 인종 차별과 성 차별의 합산으로는 설명할 수 없는, '흑인 여성'에 대한 특별한 차별

인종과 성별 뿐 아니라 민족성, 토착성, 계급, 지역, 나이, 장애, 이민, 종교 등 다양한 차원을 추가로 고려하면 문제는 상상할 수 없는 수준으로 복잡해진다. 전산학에서는 이를 조합적 폭발(combinatorial explosion)[3] 또는 차원의 저주(curse of dimensionality)'라 부른다.

상호교차성 관점에서 바라보기

젠더와 인종: 범주화의 문제

상호교차성 이론의 뿌리 중 하나는 블랙 페미니즘이다. 블랙 페미니즘에서는 흑인 여성이 겪는 차별은 흑인의 차별과 여성의 차별을 단순히 합치는 방식으로 이해될 수 없다고 말한다. 인종, 계급, 젠더 등 각 범주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며 억압을 강화하기 때문이다.[4]

상호교차성이라는 용어를 처음으로 제안안 법학자 킴벌리 윌리엄즈 크렌쇼의 논문에 소개된 사례를 살펴보자. 다섯 명의 흑인 여성이 제너럴 모터스를 고소한 사건이다. '흑인 여성에 대한 차별'이 그 이유였다, 제너럴 모터스가 1964년 이전에는 흑인 여성을 한 번도 고용한 적이 없으며 1970년 이후에 고용된 모든 흑인 여성은 불황기 구조조정의 과정에서 모두 퇴직 처리가 되었다는 점이 증거로 제시되었다. 하지만 판사는 인종에 대한 차별이나 성별에 대한 차별에 대해서는 따져볼 수 있으나 인종과 성별의 조합된 형태의 차별에 대해서는 인정된 판례가 없으며, 이런 식으로 보호되어야 할 대상 집단을 임의로 조합하기 시작하면 '판도라의 상자가 열릴 것'이라는 이유로 '흑인 여성에 대한 차별'의 존재를 인정하지 않았다. 판사는 또한 '흑인 여성'이 고용된 사례는 없지만 '백인 여성'을 고용한 사례는 있으므로 성차별적이었다 할 수 없다는 이유로 성차별 주장을 기각하고, 인종차별 문제에 대해서는 같은 피고에 대해 진행 중인 다른 건과 병합할 것을 추천하는 것으로 판결을 마무리하였다.[2]

한 흑인 여성이 미국의 군수업체인 '휴즈 헬리콥터스'를 고소한 사건은 또 다른 문제를 보여준다. 원고는 회사 내에 흑인 여성에 대한 승진 차별(유리천장)이 존재한다고 주장하였는데, 그 증거로 남성과 여성 사이에 큰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점과 흑인 남성과 백인 남성 사이에는 약간의 불평등이 존재한다는 점을 보여주는 통계적 자료를 제출하였다. 하지만 원고의 주장은 기각되었는데, 이번에는 앞의 사례와 정반대의 이유이다. 판결문에 의하면 그 이유는, 원고가 여성 일반에 대한 차별을 주장하는 것이 아니라 흑인 여성에 대한 차별을 주장한 반면 원고는 백인 여성을 포함한 '여성 일반'을 적절히 대표하지 못한다는 이유이다.[2]

두 사례를 종합하면 흥미로운 모순이 드러난다. 제너럴 모터스 사례에서는 흑인 여성인 원고를 '여성' 범주에 넣은 후, 백인 여성 고용 사례가 있으니 여성에 대한 차별이 없었다고 말한다. 휴즈 헬리콥터스 사례에서는 반대로 흑인 여성인 원고가 '여성 전반에 대한 차별' 사례를 들고 와서 '흑인 여성 차별'을 주장하였다는 이유로 원고의 주장을 기각하였다.[2]

일차적이고 중요한 문제 대 주변적인 문제라는 잘못된 이분법

전통적인 정치 담론에서 어떠한 문제는 중요하며 일차적인 문제로 취급되고 어떠한 문제는 부차적이거나 급하지 않은 문제로 간주된다. 예를 들어 계급 투쟁, 국가 제도, 정치 체제, 전쟁 등의 문제는 중요한 일차적 문제이며, 성차별 문제는 부차적이라고 보는 식이다.

어떠한 담론이 일단 부차적 문제로 인식되면 이 담론은 곧 기존의 '일차적' 구조에 담기기 위해 파편화되고 왜곡된다. 예를 들어 '정신대' 문제는 피해 여성의 인권이 아니라 민족의 수치 내지 제국주의적 침략 전쟁의 폐해 등의 측면에서 논의된다.[5]

하지만 상호교차성 접근에 의하면, 사회 문제를 분석함에 있어서 특정한 문제 범주나 구조의 중요성은 미리 선언될 수 없으며 문제에 접근하는 과정에서 발견될 수 있을 뿐이다.[1] "해일(2002년 대선)이 밀려 오는데 조개나 줍고(개혁당 내 성폭력 사건) 있다"[주 1] 같은 인식은 무엇이 해일(일차적 문제)이고 무엇이 조개 줍기(부차적 문제)인지에 대한 확고한 기준이 정해져 있다는 잘못된 가정에서 출발한다.

백인만을 위한 페미니즘 운동이냐는 질문에 대한 엠마 왓슨의 대답

HeForShe 캠페인이 '화이트 페미니즘'(백인 여성 위주의 페미니즘) 아니냐는 질문에 대해 엠마 왓슨은 다음과 같이 답하며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을 언급한다.[6]

이 질문을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이 문제에 대해 많이 생각했었어요.

화이트 페미니스트라는 말은 흑인 여성을 배제한다는 뜻을 함축할텐데, 이런 말을 들으면 놀라워요. 제 보스 두 분이 모두 흑인 여성이거든요. 화이트 페미니스트는 또한 제가 스스로의 특권을 인식하지 못하고 있다는 뜻도 담고 있을텐데, 저는 UN 연설에서 한 다섯번 쯤 제 자신의 운과 특권에 대해 언급한 바 있습니다. 그리고 다른 여성들도 제가 가졌던 기회를 갖게 되길 기원합니다. 화이트 페미니스트는 또한 제가 의도적으로 상호교차성과 관련된 이슈들을 무시하고 있다는 뜻도 담고 있어요. HeForShe 캠페인의 제안자이자 UN 여성 대사로써 제 요구는 젠더 평등 논의에 남성들 참여시키는 것이었습니다. 따라서 그게 제 주된 관심사인 것은 맞습니다. 하지만 저는 이 대화에 있어서 상호교차성이 극도로 중요하다는 점을 강조해왔어요. 제가 상호교차성 페미니스트를 직접 대변할 수는 없겠지만, 그들이 스스로의 경험을 널리 알릴 수 있도록 돕기 위해 제가 가진 기반을 제공할 수는 있습니다.

저 스스로의 경험을 이야기하고, 다른 이들의 경험을 알리는 것이 제 역할이라고 믿어요. 대학 투어를 다니는 이유, 방글라데시, 잠비아, 우루과이를 여행하는 이유입니다. 내년에도 더 많은 투어를 할 계획입니다. 최대한 많은 이들의 목소리를 듣고 싶고, 다른 이들의 이야기를 듣고 싶습니다. 이것은 보편적이며 세계적인 운동입니다.

흑인 남성의 '인종 프로파일링' 문제

상호교차성의 한 축이 반드시 '여성'일 필요는 없다. 흑인 남성의 경우를 살펴보자. 일반적으로 '남성'이라는 범주는 상대적 특권을 누리는 것으로 간주된다. 하지만 모든 남성이 동일한 특권을 갖지는 않는다. 가령 흑인 남성은 백인 남성이 겪지 않는 억압을 받는다. 이 경우 젠더라는 범주만으로는 흑인 남성에게 가해지는 억압을 설명할 수 없기 때문에 올바른 분석을 위해서는 인종이라는 범주가 추가로 도입되어야 한다. 또한 '전형적 범죄자'라는 편견 문제에 있어서 흑인 남성은 젠더 범주와 인종 범주가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만들어내는 억압을 겪게 된다. 단순히 젠더 범주와 인종 범주에서 문제를 각각 살펴보는 것(additive approach)으로는 '전형적 범죄자' 편견에 따르는 문제를 포괄적으로 분석할 수 없으며 두 범주를 종합적으로 분석하여야 한다.

다른 분야의 유사한 접근법

도서관학의 다면분류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다면분류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다면분류(faceted classification)는 많은 양의 정보를 유연하게 분류하기 위해 고안된 방법 중 하나이다. 다면분류의 핵심적 아이디어는 하나의 대상을 여러 측면(facets)에서 분류할 수 있다는 발상이다. 예를 들어 상영중인 영화를 분류할 때, 장르별 분류, 상영 시간대별 분류, 극장 위치별 분류 등 다양한 측면에서 분류할 수 있다.

특정 장르의 영화를 보고자 하는 사람은 장르별 분류를 통해 원하는 영화를 찾은 후 상영 시간대와 극장 위치를 살펴보는 것이 편하다. 집 근처에서 하는 영화를 보려는 사람은 위치와 시간대별 분류를 통해 영화를 찾는 편이 편하다. 감독별 분류, 출연자별 분류 등 다른 패싯들도 생각해볼 수 있을 것이다.

전통적인 단일 계층의 분류 방식에서는 장르, 시간대, 위치 중 가장 중요한 기준이 무엇이냐에 따라 상위 분류를 선택하고 나머지 분류는 이에 따라 파편화된다. 예를 들어 장르가 가장 중요한 기준이라면 시간대 및 위치는 각 장르 밑에 파편화되어 속하게 된다. 장르별 폴더가 있고 특정 폴더를 펼치면 그 밑에 시간대별 폴더가 나오고, 이걸 펼치면 위치별 폴더가 나오는 파일 구조를 상상해보면 무엇이 문제인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상호교차성과 도서관학 사이의 유사성은 여기에서 끝나지 않는다. 듀이십진분류미국의회도서관분류 등 단일 계층 분류 방식[주 2]은 남성 중심의 학자들이 중요하게 여겨온 정치-사회 운동인 사회주의, 무정부주의, 공산주의 등에 대해서는 독자적 분류 코드를 부여하고 있으나 페미니즘에 대해서는 별도의 분류 코드를 부여하지 않는다. 여성과 관련된 주제는 존재하더라도 '사회과학' 분류나 '관습' 분류의 하위에 파편화되어 있기 때문에 관련 정보를 찾으려면 문학, 음악, 예술, 생물학, 의학, 경제학, 교육학, 전쟁 등 온갖 분류를 뒤지고 다녀야 한다.[7] 이러한 문제는 상호교차성이 해결하고자 하는 현상의 일면을 고스란히 드러낸다.

소프트웨어 공학의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관점지향 프로그래밍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소프트웨어 공학의 주요 주제 중 하나는 복잡한 소프트웨어를 체계적으로 분해하여 인간이 이해할 수 있는 단위(모듈)로 나누는 방법을 연구하는 것이다. 이를 관심사 분리(separation of concerns)라 부른다.

전통적인 관점은 주어진 소프트웨어를 분해하는 가장 좋은 한 가지 방식이 있다고 가정한다. 이를 지배적 분해(dominant decomposition) 또는 주요 분해(primary decomposition)이라 칭한다. 이는 전통적인 페미니즘 이론에서 한 사람에 대한 억압을 규정하는 가장 중요한 하나의 요소가 성별이라고 가정하는 것과 유사하다.

하지만 대부분의 소프트웨어에는 관점에 따라 여러 분해 방법이 존재할 수 있기 때문에, 하나의 지배적 분해 방법을 선택하는 순간 이 분해 방법에 딱 들어맞지 않는 나머지 관심사들은 파편화(scattering)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지배적 분해에 들어맞지 않는 관심사들을 '횡단적 관심사(cross-cutting concerns)'라 하며, 횡단적 관심사의 파편화를 '지배적 분해에 의한 폭정(a tyranny of the dominant decomposition)'이라 부른다.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에서는 성별에 대한 지나친 강조가 인종, 계급, 장애 등 다른 관점들이 주변화(marginalize)시킨다고 본다.

관점지향 프로그래밍(aspect-oriented programming) 접근법은 단일한 지배적 분해가 존재한다는 기존의 가정을 비판하며 소프트웨어를 여러 측면(aspects)에서 바라보고 분해할 필요가 있다고 주장한다. 이를 다차원적 관심사 분리(multi-dimensional separation of concerns)라 한다. 분리된 각각의 관심사들은 관점 엮기(aspect weaving)라는 과정을 통해 하나의 소프트웨어로 합쳐진다. 이와 유사하게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에서도 한 인간의 사회적 정체성은 성별, 인종, 계급, 장애 등의 엮임(interlocking)에 의해 결정된다는 점을 강조한다.[8]

  1. 2002년 대선 기간 후보 단일화가 이루어지던 시기에 발생한 개혁당 성폭력 사건에 대해, 당시 개혁당 집행위원이었던 유시민 작가가 한 발언이다.
  2. 듀이십진분류의 경우 다면분류와 유사한 방식으로 분류코드를 조합할 수 있는 방법이 이후에 추가되었으나 근본적으로는 단일한 계층에 기반한 열거 방식이다.

참조

  1. 1.0 1.1 1.2 “Intersectionality 101” (PDF). 《Simon Fraser University》. 
  2. 2.0 2.1 2.2 2.3 2.4 Crenshaw, Kimberlé (1989). “Demarginalizing the intersection of race and sex: a black feminist critique of antidiscrimination doctrine, feminist theory and antiracist politics”. 《University of Chicago Legal Forum》 (PhilPapers) 140: 139–167.  Pdf.
  3. “Combinatorial Explosion”. 《Department of Computer Science, University of Essex》. 
  4. “Intersectionality: The Double Bind of Race and Gender” (PDF). 《americanbar.org》. 
  5. p171, 페미니즘의 도전
  6. “Emma Watson Gives Smart Answer When Asked If She’s A ‘White Feminist’”. 《허핑턴포스트》. 
  7. "What I discovered in American libraries and archives was that - much like women's history - the history of feminisms has never been accorded a place in existing taxonomies of knowledge." Karen M. Offen (2000).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420-2. 
  8. Robert E. Filman (2005). 《Aspect Oriented Software Development》. Addison-Wesley. ISBN 978-0-321-2197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