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6년 9월 19일 (월) 21:56
Tara (토론 | 기여)님의 2016년 9월 19일 (월) 21:56 판 (→‎역사: 내용수정)
경고 이 틀은 사용하지 말아주세요.
토막글 이 문서는 토막글입니다. 새로운 내용을 추가해주세요.

페미니즘이란 여성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권리를 정의하고 달성하기 위한 이론이자 현실변혁을 위한 실천이며 운동이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권리평등을 주장 또는 지지한다.[1] 다양한 갈래의 페미니즘은 "왜/어떻게 여성들이 억압받는가?"라는 질문에 각기 다른 대답을 모색하면서 발전해왔다.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는 여성에게 동등한 법적 권리(재산권, 투표권, 교육권)가 주어진다면 양성이 ‘평등’해질 수 있다고 믿었으며,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는 오랫동안 남성이 공고히 쌓아온 특권인 가부장제를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주목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도 있다. 몇몇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억압의 원인은 성(sex)/젠더(gender) 체계에 있다고 사유한다. 이들은 태어나는 몸(생물학적 성)과 만들어진 몸(사회적 성)을 구분함으로써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거스를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닌, 남성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구성과 이데올로기 배치의 결과라고 보고 변화를 주장한다.

개요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이론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역사

중세 신분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은 근대적 평등사상과 함께 계몽주의를 퍼트렸다.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천부인권 이 계몽주의의 기조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대상은 남성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여성들은 남성과의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며 천부인권 선언문을 다시 작성했다. 이를 자유주의 페미니즘이라 하며, 대표적인 사상가로 『여성권리옹호』(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the Woman, 1792)의 작가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Mary Wollstonecraft)가 있다. 여성의 동등한 정치적 권리와 법적 지위, 그리고 경제적 기회를 주장한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20세기 초·중반까지 지속된 여성참정권 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이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정치적·경제적·법적 권리를 갖는다는 ‘평등’을 중요하게 제기했다. 19세기 이후 계급모순과 사유재산, 생산수단 문제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이로 인해 여성 억압이 나타났다고 보는 마르스크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사회주의 페미니즘과는 달리,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여성 억압과 차별의 궁극적 원인을 계급 모순으로 본다. 그 이후 성/성별 체계가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으로 사유하는 급진주의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이들은 제도상 결함이 여성에게 가장 큰 억압이 된다는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과는 달리, 사회로 인해 내면화된 성별 규범이 여성을 억압하는 근본원인이자 가장 뿌리깊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급진주의 페미니즘은 이후에 생물학주의와 문화주의로 나뉘어진다. 생물학주의 급진 페미니즘은 임신/출산 등 여성의 생물학적 특징이 여성 억압을 만들어냈다는 주장으로, 생물학적 차이가 사라질 때 완전한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문화주의 급진 페미니즘은 생물적 특징보다는 사회가 만들어낸 성규범과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을 만들어내었고, 교육과 사회 인식 개선 등을 통해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라는 단어를 대중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1960년대 이후 정신분석학, 해체주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이론이 제공하는 통찰을 페미니즘의 목적에 맞게 비판적으로 전유하기 시작 하면서 평등보다는 ‘차이’를 말하는 페미니즘의 흐름이 생겨난다.

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는 보브와르, 베티 프리단, 밀레트, 파이어스톤 등과 같은 이른바 평등주의적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생물학적 본성이 아니라 문화적 구성의 결과이며, 그렇기 때문에 변화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전파시켰다고 본다. 그로츠는 이들이 만일 남성과 여성이 다시 사회화될 수 있다면 평등하게 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몇 가지 실수를 저질렀다고 보는데, 평등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업적과 가치기준들’을 여성이 열망해야하는 규범으로 삼았으며, 여성들의 특별한 욕구나 이해관계―여성의 몸과 성욕―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차이의 페미니스트들(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육체들, 생식의 리듬들, 성적기관들을 찬양한다. 그들은 여성들은 남성들과 똑같아지는 권리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은 남성들처럼 자유로워지는 권리를 원한다고 말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이 지금까지 받아들여져 왔던 학문적 중립성과 합리성에 대해 비판해온 것처럼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근대성에 내재해 있는 성별화된 문화적 지적 가정들을 지적함과 동시에 페미니즘 자체의 보편화하는 근본주의적 입장들에 대해 도전한다.

참고문헌 로즈마리 통 페미니즘 사상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의 페미니즘은 2010년대 까지 주로 정책과 제도에 치중한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이후 탄생한 메갈리아와 여러 운동은 대부분 여러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는데, 급진 페미니즘의 성격을 가장 많이 갖는다.

미국의 페미니즘

...

페미니즘의 종류

  • ? (Chicana feminism)
  • ? (Difference feminism)
  • ? (Fat feminism)
  • ? Lipstick feminism
  • ? (Material feminism)
  • ? (Networked feminism)
  • ? (Pro-life feminism)
  • ? (Sex-positive feminism)
  • ? (Standpoint feminism)

참고자료

  1. Beasley, Chris (1999). 《What is Feminism?》. New York: Sage. 3–11쪽. ISBN 97807619633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