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남

최근 편집: 2022년 3월 7일 (월) 05:42
위키요정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3월 7일 (월) 05:42 판 (그들이 쓰는 단어를 열거한 겁니다.)

이번남은 2022년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에서 "2번 찍는 남자"라는 뜻으로 쓰이는 신조어다.

유래

원래 언론에선 20대 남성의 줄임말인 이대남을 썼으나, 이 표현에 이대가 끼어있어서 혼동이 있었다. 특히 해당 표현인 경우는 대체로 2030대 남성 중에서 안티페미니즘 성향이 있는 중류층 이상 2030대 남성을 표현할 때 쓰이는 경우가 많았기에 해당 학교의 명칭 사용과 합쳐져서 반감이 심했다.

그러다가 2021년 재보궐선거 때 해당 집단이 효능감을 얻게 되고 대한민국 제20대 대통령 선거윤석열이 저들을 노린시답시고, 여성가족부 폐지, 성폭력 무고죄 형량 강화등의 공약을 내걸며 이들에 호응을 했고, 원래 에펨코리아 등 보수성향 남초 커뮤니티를 탐색하던 이재명은 이에 대응해서 여성가족부 개편을 외치고, 이후에 닷페이스 출연, 추적단 불꽃 활동가인 박지현을 영입하는 초강수를 두며 2030대 여성의 표심을 결집시키고 있었다.

그런데 하필이면 이재명 후보를 지지하던 청년 남성과 행동하는 보통 남성들의 참여자들, 국민의힘 대표인 이준석, 신남성연대 시위자가 여러가지로 대비되면서[주 1] 1번남, 2번남이란 어휘가 생긴 것이다.

특징

  • 여성,성소수자,장애인,이주민,비정규직 등 사회적 약자에 대한 혐오가 매우 강하며, 자신을 핍박받는 약자라 생각한다.
  • 공정성을 따지면서도 정작 위의 사회적 약자가 겪는 차별과 이로 인해 생기는 불공정에 대해선 인색하다.
  • 자신과 다른 집단, 즉 여성,페미니즘에 우호적인 남성들을 경멸한다. 김치녀메갈,스윗남,보빨러가 바로 그 표현의 예시.

(더 추가하실 분은 기여 바랍니다.)

반응

참고로 해당 단어는 이대남과 달리 이름에 이대란 들어가지 않은 점, 기존 단어에 비해 지칭하는 대상이 구체적인 점 등을 두고 여자들은 환영하는 분위기이다.[주 2] 이번남 워딩을 두고 남자들끼리 싸움이 붙는 것을 보고 대체로 재미있어하고 있다.

소위 이번남들과 같이 싸잡혀 평소에 다소 목소리가 축소되었던 남자들도 환영하는 분위기이다. 블라인드, 에브리타임 등 많은 커뮤니티에서 남성들이 이번남에 대비되는 일번남을 자처하며 이번남을 비판하는 분위기가 관측되고 있다.

이번남이라 불리기를 꺼리는 부류가 있는 반면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일례로 신남성연대는 3월 5일 유튜브에서 '우리는 페미니즘에 반대하는 자랑스러운 2번남'이라며 2번남 인증 메일을 모집받고 있다.[1][주 3]

커뮤니티별 반응

여초 커뮤니티는 "그동안 많은 여성 혐오 단어를 들었는데 예민하다. 비하가 아니고 그냥 2번 뽑는 남자인데 2번을 안뽑으면 되잖아" 라며 이번남을 싫어한다.[2][3]

그러면서 "그동안 이대남이라며 정상 남자들도 서로 묶여 "젠더갈등" 이라는 이름하에 싸웠는데 명료하여 좋다" 라는 반응이다.[4][5][6][7]

블라인드, 트위터에서는 "이번남 티난다" "이번남은 얼굴 뿐만 아니라 관상이나 눈빛, 언행이 너무 불쾌하고 함부로 욕한다" 라며 이번남이 싫어하는 근거를 대는 편이다.[8][9][10][11][12][13][14] [15]

"이번남들은 2번 찍어놓고 왜 이 단어가 불쾌하냐?" 라는 의견도 있다.[16][17][18][19][20]

일번남은 "이번생에 번식하는 남자", 이번남은 "이번생에 번식 못하는 남자" 밈으로도 쓰인다.[주 4][21][22][23]

남초 커뮤니티인 경우는 반응이 케이스 바이 케이스다. 에펨코리아,디시인사이드 대형 갤러리(국내야구 갤러리 등),엠엘비파크 등 소위 여기에 언급된 이번남과 가까운 커뮤니티에선 페미가 갈라치기한다고 말하는 경우가 많고, 디시인사이드 이재명 갤러리, 홍준표 갤러리 등 일부에선 오히려 호평을 했다. 특히 이재명 갤러리 내부에선 이 표현에 환호[24]를 하는 경우도 꽤 많았다.

사용시 주의사항

  • "이번남들은 이렇게 생겼더라" 등 이번남의 외모를 이야기하는 경우도 있으나, 외모에 따른 혐오는 다른 사람들에게도 그대로 적용될 수 있고 또 외모는 직접 관련이 없기 때문에 이에 대한 기준을 따지는 것은 지양하자는 분위기가 생겼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자기관리가 안된다" 며 조금 체격이 있는 이번남들을 비판하는 분위기도 있다.
  • 또한 해당 용어가 정치적인 용어로 시작하였지만, 사실상 1번을 찍는 남자가 모두 일번남의 요건에 포함된 건 아니다.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이종격투기 유저들이나 미투 공작 발언을 한 김어준이 바로 그 예시, 또한 일번남의 요건을 갖춘다고 해도 항상 일번남이라고 할 수도 없다. 이쪽은 대표적인 케이스가 바로 안희정이다.
  • 반대로 뒤집으면 2번을 찍는다고 해도 요건이 갖춰지면 일번남으로 불릴 수 있다. 대체로 이런 케이스는 부동산 문제 등 경제적인 이유으로 지지하는 케이스.

부연 설명

  1. 행보,외모,가치관 등
  2. 20대남인지, 여대 후려치기로 이화여자대학교 남자인지 구분이 안됐던 단어와 차이
  3. 이에 대해 사람들은 "억지로 잘생긴 사람을 뽑고 뽑아서 2번남도 단순히 잘생겼다고 증명하고 싶어하니 웃기다" 라 반응하고 있다. 잘생긴거랑 상관 없다는 걸 전혀 이해하지를 못하고 있다.
  4. 위에서 언급한대로 해당 단어의 유래는 그것이 아니다. 다만,특징에서 보듯이 여성들에게 비호감적인 요소가 워낙 많은지라...

출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