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에노 치즈코

최근 편집: 2017년 1월 16일 (월) 06:49
Viral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월 16일 (월) 06:49 판

(이 문서는 일본 위키백과上野千鶴子 문서를 번역한 내용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번역 중 이 글은 번역 중입니다. 번역을 도와주세요.
번역 관련 메모
  • 번역이 진행되는 동안에는 일한 대조를 위해 원문을 남겨놓고 번역문을 각 단락 아래에 추가하는 방식으로 작업
  • 제목은 원문 뒤에 괄호치고 번역문을 병기
  • 번역이 끝나면 병기된 원문을 삭제

--사용자:Viral 2016년 9월 5일 (월) 00:50 (KST)

  • 원문 중 완료된 문단은 태그로 숨겨놓습니다.

--Viral (토론) 2017년 1월 11일 (수) 02:36 (KST)

우에노 치즈코 (上野千鶴子, 독음:うえの ちづこ, 1948년(쇼와 23년) 7월 12일 - )는 일본의 페미니스트, 사회학자. 전공은 가족사회학, 젠더론, 여성학이다. 도쿄대학교 명예교수, 리츠메이칸대학 대학원 첨단종합학술연구과 특별초빙교수이다[1]. 박사(문학) (도쿄대학교)[2].

NPO법인 위멘즈 액션 네트워크 (WAN) 이사장[3], 일본사회학회이사, 전 관동사회학회회장 (2005년~2006년), 일본학술회의 회원, 슈레 대학 어드바이저, <헤이트 스피치와 레이시즘을 뛰어넘는 국제 네트워크> 공동대표를 임하고 있다.

일본 위안부 문제의 해결을 지향하는 모임에 소속되어 있다.

경력

토야마현 나카니이카와군 카미이치마치 출신이다. 아버지는 내과의였다. [4]

구조주의 문화인류학과 사회과학의 경계를 다룬 이론사회학에 대한 연구자가 되어, 이 시기의 1970년대 논문은 <구조주의의 모험>에 정리되어 있다. 1980년에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을 알게되고, 이를 소개하며 연구했다. 저서로는 <가부장제와 자본제도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지평>(1990년)이 있다. 이후 그녀 자신도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스트가 된다.

또한, 사상 수입이 아닌 일본의 여성 문제 역사의 정비에도 힘써[5] 1970년대에 일어난 우먼리브운동의 재평가도 일어났다[6].

<섹시 걸의 대연구>(1982년)는 표지 커버에 추천문을 보낸 쿠리모토 신이치야마구치 마사오, 츠루미 슌스케 등에게 평가되어, 문화인류학기호론・표상문화론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현대 소비사회를 논하는 페미니스트로서 알려지게 되었다. 특히 1987년에서 1988년에 걸쳐 여론을 흔든 아그네스 논쟁에 아그네스 장 측을 옹호하는 측에 참가했다.[7]

1990년대 이후도 가족건축개호복지문제와 문학심리학사회심리학 등 학문 영역을 논하고 있다. 근대가족론으로서 <근대가족의 성립과 종말>(1994년)등이 있고, 그것을 발전시켜 근대국가론을 다룬 <내셔널리즘과 젠더>(1998년)와 간호 문제에 파생된 저서도 있다.

박사과정 퇴학 후에 마케팅 계의 씽크탱크로 일했던 적도 있어, 소비사회론의 저작도 많다.[8]

문학론으로는, 오구라 치카코, 토미오카 타에코와의 정담 <남류문학론>(1992년), <우에노 치즈코가 문학을 사회학하기>(2000년) 등이 있다. 현대 하이쿠 작가였던 시기도 있어, <황금경(엘 도라도) 우에노 치즈코 모음집>(1990년)이 있다.

그 외, 성애(섹슈얼리티)론, 시민운동론, 학교론 등 다양한 분야에서의 저작도 다수 있다. 또한 논문집 <일본의 페미니즘>과 <이와나미 여성학사전>, <이와나미 강좌 현대 사회학>, <사회학 문학 사전>등의 공동 편집자도 임하고 있다.

2013년에 <케어의 사회학... 당사자주의 복지사회에>로 도쿄대학교로부터 박사(문학)를 취득했다[2].

학력

직력

재외연구

수상경력

논쟁과 비판

우에노는 각종 분야에서 발언하여 많은 논쟁에 관여되었으며, 그 언동은 간혹 비판이나 지지를 받아왔다[9].

우에노가 관여한 대표적인 논쟁은 [아그네스논쟁]이며, 일단 아그네스 비판파로 기울어져 가던 흐름이 우에노가 토론(의론)에 참여한 결과, 한번에 흐름을 역전시킬 정도였다고 알려져있다.[10] 당초 [어른의 공간에 어린이를 들이지마]라는 [하야시(하야시 마리코) 나카노(나카노 츠바사)] 대 아그네스 챈 논쟁은, 우에노에 의해 <일하는 어머니의 문제>로 변화하여, 다양한 분야의 논객이 참전하는 일대논쟁이 되었다. [11]

페미니즘 내부의 논쟁에서는, 이를테면 에코로지컬 페미니즘을 주창한 아오키 야요히에 대해, 남성우위의 문화 이데올로기에 지나지 않는다며 거센 논전을 꾀하였다. 이를테면 에코페미논쟁에서, 우에노측의 주장은 <여자는 세계를 구할수 있을까>(1985)등에 정리되어 있다.

2013년 10월에 야마나시현 야마나시시가, 우에노에게 재택의료와 같은 테마로 강연을 의뢰하여, 해당시는 공식사이트에서 참가자를 모집하였으나, 시민들이 "과거에 문제 발언을 다수 행한 우에노를 부르는 것은 이상하다"는 등의 클레임이 들어온 것을 이유로 해당시의 모치즈키 키요타카 시장이 강연중지를 결정하여 우에노에게 통지하였다. [12][13] 이에 대하여 우에노는 자신의 블로그에서 "(협박을 받은 것은 아닌데도) 시는 편리한 자주규제를 행하고 있다"와 같은 반론을 실어, 해당시의 대응을 비판하였다. 이후 시민들로부터 이번엔 (강연)개최를 요구하는 항의를 받게되어 잘못을 인정하고 방침을 철회하여 강연회 개최를 결정하였으며, 2014년 3월 18일에 열린 강연의 서두에서 모치즈키 시장이 [우에노 선생님께 무례를 범하였다]고 사죄하였다[14].

이외 비판의 주된 내용은 사이토 미나코 <문단아이돌론>(2002)에 정리되어있다.

발언 등

헤노코 용인을 강간으로 형용

  • 2013년 12월 26일에 우에노 치즈코 자신의 트위터상에서, 내각총리대신인 아베 신조에 대하여 "[헤노코] 승인에 나카이마 히로카즈 지사[주 1]. 오키나와의 마음을 돈으로 파는건가? 아니, 강간한뒤 돈다발을 던지고 사라지는 남자와 같은 아베 정권의 "각별한 고배[주 2]"라고 발언하였다[15].

그 외

  • 전 교토대학전공투(전학 학생 공동 투쟁 회의) 활동가이다[16].
  • 보지,라고 외쳐도 누구도 아무런 반응을 하지 않게 될 때까지, 나는 보지라는 말을 계속 하게 될 것이다. 라고 말했다[17].
  • 2012년 12월에는 아사히신문 be의 "고민의 도가니"에서 남자중학생으로부터 자신의 남성으로서 성처리에 대하여 어떻게 해야 좋을까요?라는 상담에서 [숙녀(30~50대 여성을 의미)에게 "하게해줘"라고 부탁하면 된다]고 답변하였다[18].
  • 2014년 6월 28일, 국제기독교대학 본관에서 "도쿄◇반차별 패널전 <헤이트스피치 -싸우는 시민들->이라는 이벤트를 개최하였다[19].

저서

한국어 발매된 저서

국내에서 발매된 순서로 나열. 제목-공동 저자-번역-출판사-발매일-ISBN 순.

  • <90년대의 아담과 이브>(절판), 동풍, 1991-09-01, ISBN : 9788973280551
  • <스커트밑의 극장>(절판), 논장, 1991-11-01, ISBN : 5000085976
  • <가부장제와 자본주의>, 녹두, 1994-10-01, ISBN : 9788973280551
  • <내셔널리즘과 젠더>(구판 절판), 이선이 옮김, 박종철출판사, 1999-12-15, ISBN : 9788985022248
  • <여자놀이>, 보고사, 2000-04-28, ISBN : 9788984330344
  • <경계에서 말한다> 조한혜정 공동, 김찬호, 사사키 노리코 옮김, 생각의나무, 2004-07-22, ISBN : 9788984983502
  • <인간을 넘어서>, 나카무라 유지로 공동, 정화경 옮김, 당대, 2004-08-06, ISBN : 9788981631154
  • <화려한 싱글, 돌아온 싱글, 언젠간 싱글>, 나일등 옮김, 이완정 감수, 이덴슬리벨, 2008-08-17, ISBN : 9788991310155
  • <결혼제국>, 노부타 사요코 공동, 정선철 옮김, 이매진, 2008-11-24, ISBN : 9788990816733
    • (개정판) <싱글, 행복하면 그만이다>, 나일등 옮김, 이완정 감수, 이덴슬리벨, 2011-10-04, ISBN : 9788991310353
  • <근대가족의 성립과 종언>, 이미지문화연구소 옮김, 당대, 2009-03-30, ISBN : 9788981631468
  • <여성혐오를 혐오한다>, 나일등 옮김, 은행나무, 2012-05-02, ISBN : 9788956606217
  • <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이선이 옮김, 현실문화, 2014-07-21, ISBN : 9788956606217
  • <독신의 오후>, 오경순 옮김, 현실문화, 2014-06-10, ISBN : 9788965640905
  • <아들이 부모를 간병한다는 것>, 히라야마 료 공동, 류순미, 송경원 옮김, 어른의시간, 2015-02-05, ISBN : 9791195445301
  • <여자들의 사상>, 조승미, 최은영 옮김, 현실문화, 2015-08-01, ISBN : 9788965641711
  • <누구나 혼자인 시대의 죽음>, 송경원 옮김, 어른의시간, 2016-11-15, ISBN : 9791187438021
  • <느낌을 팝니다>, 나일등 옮김, 마음산책, 2016-11-25, ISBN : 9788960902844
  • <비혼입니다만, 그게 어쨌다구요?!>, 미나시타 키류 공동, 조승미 옮김, 동녘, 2017-01-16, ISBN : 9788972978596

단독 저서

  • 『うわの空 ― ドイツその日暮らし』(朝日新聞社、1992年)のち文庫 
  • 『近代家族の成立と終焉』(岩波書店、1994年)
  • 『発情装置 ― エロスのシナリオ』(筑摩書房、1998年)
  • 『ナショナリズムとジェンダー』(青土社、1998年) 新版、岩波現代文庫、2012年
  • 『ラディカルに語れば… ― 上野千鶴子対談集』(平凡社、2001年)
  • 『上野千鶴子が文学を社会学する』(朝日新聞社、2000年)のち文庫 
  • 『家族を容れるハコ 家族を超えるハコ』(平凡社、2002年)
  • 『差異の政治学』(岩波書店、2002年)
  • Nationalism and Gender (Melbourne: Trans Pacific Press, 2004)
  • 『サヨナラ、学校化社会』(太郎次郎社、2002年/ちくま文庫、2008年)
  • 『国境お構いなし』(朝日新聞社、2003年/文庫、2007年)
  • 『老いる準備 ― 介護することされること』(学陽書房 2005年/朝日文庫、2008年)
  • 『生き延びるための思想 ― ジェンダー平等の罠』(岩波書店 2006年)
  • 『おひとりさまの老後』(法研、2007年)
  • 『男おひとりさま道』(法研、2009年)
  • The Modern Family in Japan (Melbourne: Trans Pacific Press, 2009) 
  • 『ひとりの午後に』(日本放送出版協会、2010年)
  • 『女ぎらい』(紀伊国屋書店、2010年)
  • 『<おんな>の思想 私たちは、あなたを忘れない』(集英社インタ-ナショナル、2013年)--->
  • <섹시걸의 대연구 - 여성을 읽는 방식, 읽혀지는 방식, 읽히게하는 방식>(1982년, 이와나미현대문고 2009년)
  • <자본제와 가사노동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의 문제구제(構制)>(카이메이사, 1985년)
  • <구조주의의 모험>(케이소서방, 1985년)
  • <여자는 세계를 구할수 있을까>(케이소서방, 1986년)
  • <여자라는 쾌락>(케이소서방, 1986년)
  • <마자콘(=마마보이)소년의 미로-여자와 남자의 미래> (카와이 북클렛 1986년)
  • <"나"찾기 게임-욕망사민사회론>(치쿠마서방,1987년)후에 문고
  • <여자놀이>(가쿠요서방,1988년) - (한국어) <여자놀이>
  • <접근조우 - 우에노치즈코대담집>(케이소서방, 1988년)
  • <스커트 밑의 극장 - 사람은 왜 팬티에 집착하는가>(카와데서방신사 1989년)후에 문고 - (한국어)<스커트밑의 극장>
  • <미드나이트콜>(아사히신문사, 1990년)후에 문고
  • <가부장제와 자본제-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 지평> (와카나미서점, 1990년/와카나미현대문고, 2009년)
  • <성애론 - 대화편>(카와데서방신사,1991년) 후에 문고
  • <세종의 발상 - >(리브로포트, 1991년)
  • <うわの空[주 3] - 독일 하루살이>(아사히신문사, 1992년) 후에 문고
  • <근대가족의 성립과 종언>(이와나미서점, 1994년) - (한국어)<근대가족의 성립과 종언>
  • <발정장치 - 에로스의 시나리오>(치쿠마서방, 1998년)
  • <내셔널리즘과 젠더>(세이도사, 1998년) - (한국어)<내셔널리즘과 젠더>
    • 신판 : 이와나미현대문고, 2012년 - (한국어)<위안부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학>
  • <급진적으로 말하면… - 우에노 치즈코 대담집>(헤이본사, 2001년)
  • <우에노 치즈코가 문학을 사회학한다>(아사히신문사, 2000년) 후에 문고
  • <가족을 넣는 상자 가족을 뛰어넘는 상자>(헤이본사, 2002년)
  • <차이의 정치학>(이와나미서점, 2002년)
  • Nationalism and Gender (Melbourne: Trans Pacific Press, 2004)
  • <잘가, 학교화사회>(타로지로사, 2002년/치쿠마문고, 2008년)
  • <국경 상관없이>(아사히신문사, 2003년/문고, 2007년)
  • <늙어갈 준비 - 간호 하는 것 받는 것>(가쿠요서방, 2005년/아사히문고, 2008년)
  • <살아나가기 위한 이상 - 젠더평등의 덫>(이와나미서점, 2006년)
  • <혼자인 분의 노후>(호우켄, 2007년)
  • <남자 혼자의 길>(호우켄, 2009년)- (한국어)<독신의 오후>
  • The Modern Family in Japan (Melbourne: Trans Pacific Press, 2009년) 
  • <혼자인 오후에>(일본방송출판협회, 2010년) - (한국어)<느낌을 팝니다>
  • <여성혐오>(키노쿠니야서점, 2010년) - (한국어)<여성혐오를 혐오한다>
  • <"여자"의 사상 우리는 당신을 잊지 않는다>(집영사 인터내셔널, 2013년) - (한국어)<여자들의 사상>

共著 공동 저서

改題『戦争文学を読む』(朝日文庫、2008年)
  • (小倉千加子)『ザ・フェミニズム』(筑摩書房、2002年/ちくま文庫、2005年)
  • 辛淑玉)『ジェンダー・フリーは止まらない!――フェミ・バッシングを超えて』(松香堂書店、2002年)
  • 中西正司)『当事者主権』(岩波新書、2003年)
  • 行岡良治)『論争・アンペイドワークをめぐって』(太田出版、2003年)
  • 鶴見俊輔小熊英二)『戦争が遺したもの――鶴見俊輔に戦後世代が聞く』(新曜社、2004年)
  • 信田さよ子)『結婚帝国女の岐れ道』(講談社、2004年)
  • 趙韓惠浄)『ことばは届くか――韓日フェミニスト往復書簡』(岩波書店、2004年)
  • 三浦展)『消費社会から格差社会へ――中流団塊と下流ジュニアの未来』(河出書房新社、2007年)
  • 辻井喬)『ポスト消費社会のゆくえ』(文春新書、2008年)
  • 辻元清美)『世代間連帯』(岩波新書、2009年)
  • 古市憲寿)『上野先生、勝手に死なれちゃ困ります 僕らの介護不安に答えてください』(光文社新書、2011年)
  • 坂東眞理子)『女は後半からがおもしろい』(潮出版社、2011年)
  • 나카무라 유지로 <인간을 넘어서>(카와데서방신사, 1994년) - (한국어)<인간을 넘어서>

編著 편집 저서

  • <주부논쟁을 읽다――전기록(1・2)>(케이소서방, 1982년)
  • <색과 욕> (소학관, 1996년)
  • <캠퍼스성착별사전――스톱 더 아카하라>(산세이도, 1997년)
  • <구축주의란 무엇인가>(케이소서방, 2001년)
  • <탈아이덴티티>(케이소서방, 2005년)
  • <"여연(女縁)"을 살았던 여자들> (이와나미 서점[이와나미현대문고], 2008년)

공동 편집 저작

번역서

출연

TV

  • NHK시민대학 <문화인류학의 시각(3) 우주 모델로서의 신체> (NHK교육, 1985년 7월 19일)
  • NHK스페셜 <1990년의 아담과 이브> (NHK총합, 1990년 7월 18일 - 1990년 7월 20일)
  • 복지네트워크 <함께 살자 이 사람과 복지를 이야기한다 사회를 바꾸는 당사자들 사회학자 우에노 치즈코씨> (NHK교육, 2004년 12월 21일)[20]
  • 시점・논점 <혼자인 분의 노후> (NHK교육, 2007년 9월 17일)[21]
  • 폭소문제[주 4]의 일본의 교양 <여자와 남자 "양보없는 싸움"> (NHK총합, 2011년 6월 9일)[22]

라디오

  • NHK고교강좌 <논리> (NHK 라디오 제2방송, 1995년 1월 4일, 1995년 1월 7일, 1996년 12월 25일, 1996년 12월 28일)[23]


함께 보기

바깥 고리

  1. 헤노코는 오키나와에 있는 지역이다. 나카이마 히로카즈는 당시 오키나와현의 지사(도지사 같은 직책)로 미군 기지 이전을 위한 헤노코 연안부 매립에 찬성한 것. 기사 참조 : 김민화 기자 (2014년 1월 11일). “오키나와 지사 선택에 주민은 '분노', 미국은 '환영'. 《오마이뉴스》. 
  2. 格別のご高配(배려의 높임말)
  3. 중의적인 의미. 말 그대로 '하늘'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지만, '건성', '마음이 들뜸'이라는 뜻도 가지고 있다.
  4. 일본의 2인조 개그맨 콤비
  5. Researchmap(리서치맵)은 연구자의 프로필(경력・논문 리스트 등)의 관리를 지원하는 인터넷 상의 서비스인 동시에, 연구자의 정보를 집적하는 데이터베이스[24].
  6. 일본의 웹사이트. 과학기술총합링크센터.

참고 문헌

  • 센다 유키 편서<우에노 치즈코에게 도전>, 케이소서방, 2011년. ISBN 4326653582

참조

  1. 리츠메이칸대학대학원 첨단종합학술연구과 특별초빙교수에 우에노 치즈코씨가 취임
  2. 2.0 2.1 http://www.l.u-tokyo.ac.jp/postgraduate/database/2013.html
  3. 이사장 취임 인사와 WAN 우에노 치즈코 web 연구실 오픈 공지
  4. 사망 우에노 요시오씨 (우에노 치즈코・도쿄대학대학원 교수의 부) <교토신문> 2001년 6월 17일
  5. 주부논쟁을 읽다―전기록(1・2)』(1982)의 편집 등
  6. <미츠와 치즈코의 콘톤톤카라리>(1987년) 등. 이노우에, 우에노, 에하라 편 <일본의 페미니즘(1) 리브와 페미니즘> 이와나미 서점, 1994년 에 우에노에 의한 권두총괄논문 <일본의 리브 - 그 사상과 배경>등도 참고.
  7. 아그네스 논쟁에 대해서는 <"아그네스 논쟁"을 읽다>, JICC출판국, 1988년 / 小浜逸郎의 저서 <남자가 정리하는 아그네스 논쟁>, 1989년 / 加藤秀一・坂本佳鶴恵・瀬地山角 편저 <페미니즘 컬렉션 1>, 케이소소보(경초서방), 1993년 등에 경위가 자세히 서술되어 있다.
  8. <"나" 찾기 게임 - 욕망시민사회론>(1987년) <세존의 발상 - 마켓으로의 소구>(1991년) 등
  9. 우에노는 논쟁에 강하다는 평가가 있어, 예를 들어 사이토 미나코 <문단 아이돌론> (이와나미 서점, 2002년, pp.142-143)에서는 "그녀는 논쟁만큼은 엄청나게 강했다. 거꾸로 말하자면 안티 페미니스트 중에서 그녀에게 이길 수 있을만한 논객은 없었다.", "우에노 치즈코의 강함은 역시 논리(수정필요)의 부분입니다." 등의 설명이 있다. 또 하루카 요코 <도쿄대에서 우에노 치즈코에게 싸움을 배우다>(치쿠마서방) 는 이러한 "논객" 우에노의 이미지를 보여주고 있다
  10. <"아그네스논쟁"을 읽다>, JICC출판국, 1988년 등
  11. 그 결과, 페미니즘의 감각에서 그다지 멀지 않았다고 하는 하야시 마리고, 나카노 츠바사 둘은 안티 페미니즘의 대표자로 보여지게 되었으나, 이러한 우에노의 주장을 페미니스트로 유명한 오구라 치카코가 <논리 바꿔치기>라고 지적할 정도로 강인한 것이었다. 오구라 치카코 <하야시마리코론 장거리 러너의 영광과 고독>, 월간 Asahi, 1991년 3월호 등을 참조.
  12. 과거의 발언이유... 우에노 치즈코 강연, 중지 야마나시시 산케이신문 2014년 3월 14일
  13. 우에노 치즈코씨 강연, 과거발언이유로 중지 야마나시시 아사히신문 2014년 3월 15일
  14. (일본어)“우에노 치즈코씨:강연회를 개최 야마나시 시장이 서두 사죄”. 《마이니치신문》. 2014년 3월 18일. 2014년 4월 15일에 확인함. 
  15. 2013년 12월 26일 1:08 PM 우에노 치즈코 @ueno_wan의 트윗
  16. 오구마 헤이지 <1968 상>, 신요사, 2009년, 81쪽.
  17. <여자놀음>(문양서방)
  18. 남자중학생은 <숙녀에게 하게해줘, 라고 부탁하면 된다> 우에노 치즈코씨가 아사히에서 기겁 <인생상담> JCAST뉴스 2012-12-8
  19. Women's Action Network 2014년 6월 20일 도쿄◇반차별 패널전 <헤이트스피치 -싸우는 시민들->
  20. (일본어)복지네트워크 방송기록(링크 끊김, 2013년 11월 확인)
  21. (일본어)NHK해설위원실 블로그(링크 끊김, 2013년 11월 확인)
  22. (일본어)폭소문제의 일본의 교양 과거방송기록 FILE147 <여자와 남자 "양보없는 싸움">(링크 끊김, 2013년 11월 확인)
  23. 1995년 1월 4일히구치 이치요, 1995년 1월 7일히라츠카 라이테우, 1996년 12월 25일은 젠더, 1996년 12월 28일섹슈얼리티를 해설.
  24. 위키백과 (일본어)"Reserchmap"

인용 오류: <references> 안에 있는 <ref> 태그에서 "주" 그룹 특성이 충돌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