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멘헤라/BPD 프로젝트

최근 편집: 2022년 11월 9일 (수) 20:14

페미위키멘헤라/BPD 관련된 정보를 생성, 보충, 보강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프로젝트 목적과 계획을 제작 및 보충해나가는 단계입니다.

  • 함께 하실 분은 아래 참가자에 본인의 이름을 써주세요.
  • 이 프로젝트에 도움이 될 의견,규칙, 제안,공유 사항을 남겨주세요

목적

프로젝트멘헤라경계선 인격장애(이하 BPD,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경계선 인격장애 당사자들과 그들의 주변인들이 경계선 인격장애에 대한 페미니즘적, 신경다양성적 관점에서의 정보에 쉽게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표로 삼는다.

일반적으로 최근 한국 사회에서 '멘헤라'는 특정한 성격을 가진 미소녀의 표상으로 뭉뚱그려진 채 이해되는 경향이 있으며, 멘헤라가 재현하는 여성들이 BPD라는 인격장애를 가지고 있다는 것은 잘 알려져 있지 않다. 한편, 온라인 공간에서 쉽게 접할 수 있는 BPD에 대한 언어들은 혐오로 심각하게 점철되어 있다. 인터넷 검색창에 '경계선 인격장애'를 검색해 보면 '지뢰녀' 등의 키워드나 '경계선 인격장애 여자친구가 바람피운 썰', '경계선 인격장애 여자친구와 결국 헤어진 썰' 등등을 비롯한 정신장애혐오적일 뿐 아니라 여성혐오적인 검색결과가 차지하는 비율이 지배적이다. 실제 BPD환자들의 성비는 여성과 남성이 반반 정도임에도 불구하고, 남성이나 비여성의 BPD에 대해서는 거의 이야기되지 않고 있으며 이로 인해 주로 BPD 여성들만이 BPD의 낙인에 따르는 부정적인 시각을 감당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은 정신장애혐오와 여성혐오 간의 긴밀한 결탁을 보여주는 것으로도 해석할 수 있다.

위와 같은 혐오적인 정보와 지식에 저항하고, 그러한 언어에 대항할 수 있을 대안적인 정보와 지식들을 만들어내고 아카이빙함으로써 BPD 환자들과 그들의 주변인들에게 실질적, 실용적 도움이 되도록 하는 것이 멘헤라/BPD 프로젝트의 궁극적 목표다. BPD 환자들은 멘헤라/BPD 프로젝트를 통해 등록된 문서들을 열람함으로써 혐오나 자기비하, 혹은 병리화가 아닌 다른 방식의 언어들로 자기 자신을 설명하고 또 이해할 수 있다. 그리하여 BPD 환자들은 신경다양성의 관점으로 세계를 해석할 언어를 획득할 뿐만 아니라, 바로 그 신경다양성으로부터 야기된 혼란스럽고 격변하는 세계와 주변인들에 대한 불안한 이해를 보다 안정화하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BPD 환자의 주변인 역시 대안적 정보와 지식을 통해 BPD 환자의 신경다양성을 무조건적 치료의 대상이 아니라 환자가 세상을 이해하는 방식이자 환자의 일부임을 받아들이는 데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일반적인 관점으로는 이해하기 힘든 BPD 환자들의 극단적이거나 충동적인 행동에 적절하게 대처할 매뉴얼을 멘헤라/BPD 프로젝트의 문서들로부터 구할 수 있다.

신경다양성의 관점, 여기서는 멘헤라/BPD의 관점으로 세상을 이해하는 일은 바로 그러한 관점으로 만들어지고 또 널리 해석되는 문화 컨텐츠의 도움을 받아 이루어질 수도 있다. 멘헤라/BPD신경다양성이 존중받을 만한 것이자 세계를 풍부하게 인식하고 아름답게 해석하는 데 도움을 준다는 생각이 공유되는 하위문화적 맥락이 이미 존재한다. 그리고 이러한 문화 내에서 가장 인기 있는 표상 중 하나가 '멘헤라 소녀'들이다. 이것이 바로 본 프로젝트의 이름이 'BPD 프로젝트'나 '경계선 인격장애 프로젝트'가 아닌 '멘헤라/BPD 프로젝트'인 이유이기도 하다.

정신불건강(ill-health)에 대한 사람들의 해석, 감정, 경험을 주조하는 이 기호학적이고 물질적인 실천들은 임상적 담론만큼이나 강력한 힘을 발휘하며 유카리 세코와 키쿠치 미나코가 앞서 시도한 바대로 '아래로부터의 병리화'를 실현해낼 수 있을 것이다.[1]

계획

  • 페미위키에 멘헤라/BPD 관련 문서를 만든다.
  • 멘헤라/BPD에 대해 알고 있는 정보(목차 중 '만들어 나가고 싶은 내용' 참조)를 문서에 기록한다.
  • BPD 당사자 혹은 주변인으로서 겪은 경험, BPD에 관해 말하고 싶은 점들을 반영해 문서를 편집한다.
  • BPD에 대한 여성혐오/정신장애혐오적 담론 기록 및 비판
  • BPD 상담 및 치료 기관 정보 아카이빙
  • BPD 당사자 커뮤니티 정보 아카이빙
  • BPD와 밀접한 관련을 가지는 다른 장애, 의학 용어 등의 문서를 만들고 내용을 보완한다.

누워있기협동조합사이버테라포밍의 일환으로 기획, 페미위키와 협업해 진행하는 워크샵 1기에서도 이 멘헤라/BPD 프로젝트 페이지를 지도삼아 잡학 정보들을 채워넣을 예정이다.

유의할 점: 사이버테라포밍 워크샵 1기 에디터들이 멘헤라/BPD 프로젝트에 참여하지만 이 두 기획은 동일하지 않다. 누구나 멘헤라/BPD 프로젝트를 편집할 수 있고, 멘헤라/BPD 프로젝트는 사이버테라포밍 워크샵과 별개로 계속 업데이트된다.

사이버테라포밍 워크샵 1기의 멘헤라/BPD 프로젝트 진행 일정을 보려면 펼치기를 눌러주세요
사이버테라포밍 워크샵 1기 진행 일정:
  • 2022년 10월 10일~11월 5일: 참여자 모집
    • 수요반 (비대면): 저녁 7시~8시 30분 (1.5시간)
    • 토요반 (대면): 오후 3시~5시 (2시간)
  • 2022년 11월 3일(수), 11월 5일(토): 1주차 워크샵 시작
    • 페미위키 사용법 익히기, 위키 쓰기 연습 등 본격적인 문서 편집에 앞선 준비운동
  • 2022년 11월 2주~11월 30일(수): 워크샵 진행
    • 에디터들이 각자 기여하고 싶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 잡학 정보들, 자신의 경험 등을 조립해 프로젝트 문서에 채워 넣으며 사이버지구(cyberterra)를 가꾼다.


참가자

만들어 나가고 싶은 내용

BPD 관련 용어

정신분석 및 의학 용어

멘헤라와의 차이

하위문화 용어

  • 야미카와
  • 유메카와

BPD에 대한 혐오표현

  • 지뢰녀(연애할 때 피해야 하는 종류의 사람)

BPD 관련 문화컨텐츠

만화/애니

드라마

  • 크레이지 엑스 걸프렌드 (2015~2019)
    • 미국의 뮤지컬 드라마. 주인공 레베카 번치가 시즌 3 에피소드 'Josh is Irrelevant'에서 BPD 진단을 받는다. 해당 에피소드에서 레베카는 자신이 BPD 진단 체크리스트의 9가지 항목 전부에 해당된다는 사실을 깨닫는다. (9가지 중 5개 이상 해당될 경우 BPD로 진단하는 듯하다. 체크리스트에 오른 증상은 다음이 있다: 1. 유기불안 2. 불안정한 대인관계 3. 불명확하거나 불안정한 자아 이미지 4. 충동적이고 자기 파괴적인 행동 5. 자해 6. 극단적인 기분 변화 7. 만성적인 공허감 8. 폭발적인 분노 9. 의심증 혹은 비현실적인 감각(이인증적 증세)[3]

영화

  • 아비정전
    • 자신을 정신과 의사라고 밝힌 Psy Im이라는 닉네임의 블로거가 아비정전을 BPD의 시각에서 해석한 긴 포스팅 '[정신과에서보는] 아비정전 - 경계선 인격장애로의해석 / 아비의 삶'을 남긴 적이 있다.
    • 위 게시글에 따르면 아비(장국영)가 BPD 캐릭터로 해석될 여지가 있다고 한다. "자기 존재감이 명확하지 않아 불안정하고, 사랑에 빠지고 쉽게 이별을 하고, 자기파괴적인 행동을 하기도 한다"[4]는 것이 아비의 주된 특성이다.
  • 베티블루 37.2 (1986)
  • 얼굴 없는 미녀 (2004)
  • 처음 만나는 자유 (1999)
  • 디 아워스 (2002)
  • 에이미 (2015)

음악

  • 김사월 '사바스' (2019.09.20)
    • "그대 나와 함께 병들어줘", "무너져내릴 것들이 우리를 감싸줄거야"와 같이 병을 일탈적이고 예외적인 것으로 해석하지 않고, 사랑하는 사람과 함께할 수 있는 조건이자 사랑의 공간을 만들어내는 조건으로 바라보는 관점이 BPD적으로 해석될 만하다.
  • 미노이 '너답기기안(너의 답장을 기다리다가 기분이 안 좋아졌어)' (2019. 07.31)
    • 기다림과 그로 인해 야기되는 불안함에 취약하고, 그로 인해 극도의 고통을 느끼는 BPD의 심정을 체험할 수 있는 곡이다. 답장을 기다려야 하는 사소한 불편함이 기분이 안 좋은 상태로 이어질 뿐만 아니라 "너를 좋아하지만 좋아하지 않는 척을 할 거야"와 같은 파워게임에의 다짐으로 이어지는 극단적인 변화 역시 BPD의 사고방식을 떠오르게 한다.
  • 선미 'Borderline'(2021.08.06)
  • 오지은 '華(화)' (2008.12.09)
  • 자우림 'Stay with me' (2021.11.26)
  • 에이미 와인하우스 'Back to Black' (2009.12.24)
  • 에이미 와인하우스 'I Heard Love Is Blind' (2003.10.20)
  • 블랙핑 'Lovesick Girls' (2022.09.20)
  • 플로렌 앤 더 머신 'Kiss with a fist' (2009.7.3)
  • 한정인(Feat.천미지) 'Borderline' (2022.07.21)
  • 캐스커 '나쁘게'(2012.10.25)

웹소설

문학

  • 우리들의 행복한 시간 (공지영, 2005) - 문유정

BPD를 앓고 있는/앓았던 유명인

BPD의 이해하기 힘든 행동들

  • 사람을 쉽게 버린다. 자기가 버린 거면서 '도망간다'고 표현하기도 한다.
    • 예시 : 연인에게 수시로 이별을 통보한다. (관계가 아주 화목할 때에도 마찬가지다.) 직장이나 학교를 갑자기 그만두기도 한다.
    • 해설 : 이런 행동에 대한 여러 가지 설명이 있다.
      • 첫째, 보상시스템의 오작동(혹은 비작동). 극단적으로 이상화된 상대로부터 불가능한 정도로 극단적인 보상을 기대하고, 그것이 실제로 불가능했을 때 심각하게 좌절하고 고통받는다. 그 고통을 견딜 수 없기 때문에 관계에서 도피해야 한다. 결국은 견딜 수 있는 것 이상의 고통을 피해 도망가는 것이다.
      • 둘째, 자기혐오. BPD는 자기 내면의 민감하고 강렬한 감정적 상황에 대해 혐오와 수치심을 느낀다. 그리고 사랑하는 상대의 존재 자체가 컨트롤 불가능한 그 감정적 상황의 존재를 환기시키기 때문에 괴로워한다. 때로는 이러한 고통으로 인해, 자신에게 관심을 주지 않을 것 같은 독단적인 나르시시스트에게 강렬하게 끌린다. 나르시시스트들은 BPD 스스로가 혐오하는 그들 내부의 수치스러운 면면들을 들여다보지 않을 거라는 생각 때문이다.
      • 셋째, 유기불안. 자기혐오와도 이어진다. BPD는 극복하지 못한 자기혐오나, 과거에 경험한 버려짐의 트라우마로 인해 극심한 유기불안에 시달린다. 사랑이나 친밀성은 버려질 가능성을 의미한다. 버려질 가능성에 대해서 생각하지 않기 위해 사랑을 포기해야 할 때도 있다.
      • 기타 : 어떤 방식의 설명을 경유하든 간에, BPD에게 사람을 버리는(사람으로부터 도망가는) 행위는 내면의 가장 깊은 상처를 단숨에 날려버릴 수 있는 매우 효율적인 수단이다. 많은 BPD 환자가 이해할 수 없는 육체적, 정신적 충격을 경험한 기억을 가지고 있다. 이들은 아주 어려서부터 그러한 충격 상황으로부터 도망칠 방법을 모색하는 습관을 형성해 온 경우가 많다. 그래서 (보상시스템의 오작동 등을 이유로) 고통이 감각되거나 하는 식으로 위험상황이 감지되면, 상황을 파악할 여유도 없이 도망을 치게 되는 것이다.
  • ‘보상’이 미뤄지는 것을 견디지 못한다.
    • 예시 : 답장을 기다려야 하거나 만남이 지연되는 일 등에 취약하다. 또, 보상이 기대 이하로 주어질 경우에도 극도로 절망하고 파괴적인 충동을 만족시킴으로써 부족한 보상을 보충하려 한다.
    • 해설 : 성격장애의 배후에는 인체의 ‘보상시스템’이 놓여 있다. 뇌 속에서 작동하는 이 시스템은 말하자면 인체의 생존을 위한 장치다. 이 시스템은 행복호르몬인 엔도르핀과 도파민에 의해 작동된다. 이 시스템의 정상작동을 통해 사람은 생존에 적합한 행동을 수행하게 된다. 예컨대, 사람이 섹스나 음식물 형태로 보상을 받으면 뇌 속에서 엔도르핀과 도파민이 분비되어 신경계가 행복감을 느끼는 것이다. 섹스가 강한 행복감을 주지 않는다면 껴안고 뒹구는 수고를 그리 자주 않을 것이고, 허기를 채우고도 만족감이 수반되지 않는다면 배고플 때 먹는 일을 쉽게 잊을 터이다. 보상시스템으로 말미암아 사람들은 밥을 먹고 친밀한 관계를 맺으려 한다. 그러나 경계성 성격장애 환자들에게는 보상시스템과 처벌시스템이 정상적으로 작동하지 않는다. 일반인에 비해 훨씬 과도하게 나타난다. 음식을 먹어 생긴 만족감을 구토를 통해 없던 일로 만드는가 하면(거식증), 섹스 쾌락을 느낀 뒤에는 의도적으로 외로움을 타는 방법으로 속죄한다. 이들은 보상이 즉시 충족되지 않으면 금세 좌절하고 공격적으로 반응한다. 이들은 자연스러운 뇌의 작동으로 행복감에 도달하는 데 어려움을 겪는다. "이들에게 최고의 행복감에 도달하는 가장 강력한 방법은, 뇌의 자연스러운 작동을 통한 엔도르핀 분비가 아니라, 마약을 혈관에 직접 주입하는 것이다".[6]
  • 비자살적 자해를 한다.
  • 자살을 시도한다.
  • 보냈던 메시지를 상대방이 읽기 전에 삭제한다.
    로나라는 메신저 사용자가 메시지 여러 개를 보냈다가 삭제한 화면.
    로나라는 메신저 사용자가 메시지 여러 개를 보냈다가 삭제한 화면. 출처 : 공포의 멘헤라 얀데레 레즈 만화, 원작자 生肉@創作百合

BPD의 주변인들이 경험하는 고통들

  • BPD 환자 본인이 경험하는 심리적 고통이 너무나 극심하기 때문에 대개 자신의 감정적 동요를 지켜보고 돌봐주는 사람에 대해 위안이나 감사, 돌봄을 제공할 여유가 없다. 심지어는 자신이 돌봄받고 있다는 사실조차 인지하지 못하기도 한다. BPD의 주변인들은 돌봄을 무한제공하면서도 BPD로부터 감정적 지지를 받지 못해 엄청나게 억울해지거나 외로워지는 상황에 처하게 된다. 돌봄의 더치페이라는 개념이 도입되어야 할 필요성이 일각에서 제기되기도 했지만, 앞서 언급한 여러 가지 상황적 불균형으로 인해 실현되기가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 BPD의 감정기복을 따라가기가 힘들다.
  • BPD의 반복되는 자해행동과 자살시도로 인해 그를 잃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에 시달린다.
  • BPD의 공격적 행동이나 발언을 견디기가 힘들다.

BPD의 극단적 행동에 대처하는 방법

  • BPD가 자해하고 싶다고 말하거나 실제로 자해를 하려고 할 때
  • BPD가 이미 자해를 한 것을 발견했을 때
    • BPD를 너무 비난하거나 나무라지 않는다. BPD는 거절 또는 비판의 징후에 매우 민감하고[7], 죄책감에 취약하다. 따라서 자해 행동에 지나친 비난과 책망이 뒤따를 경우 그것이 오히려 BPD에게 더 큰 자아상의 혼란과 자해 행동을 유발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자해 행동은 BPD라는 병증의 증상일 뿐, BPD 환자의 잘못이라고 할 수 없다.
    • BPD의 자해 행동이 아무리 반복된 것이거나 자살 시늉에 불과한 것이라고 해도 무시해서는 안 된다. 무시와 같은 방식의 정서적 대응은 적절한 대처나 돌봄이 되기 어렵다.
  • 이인수정신건강학과 정신분석클리닉에서 게재한 '경계선인격장애 가족지침'이라는 게시글은 BPD의 주변인들이 BPD의 극단적인 행동을 비롯한 여러 가지 증상과 태도들에 어떻게 대응해야 할지를 자세히 제시하고 있다. 이 글은 'John G.Gunderson, M.D and Cynthia Berkowitz, M.D'에 의해 쓰인 'Multiple family group program at McLean Hospital'을 이인수 정신분석클리닉 임상심리실에서 우리말로 옮긴 것이다.

BPD 치료법

국내 출간된 BPD 관련 서적

  • 자해를 하는 마음 (임민경, 아몬드 출판사, 2022.)
  • 가까운 사람이 경계성 성격 장애일 때 : 다정하고 단호하게 나를 지키고 그를 돕는 법 (우도 라우흐플라이슈 지음, 장혜경 옮김, 심심 출판사, 2021.)
  • 키라의 경계성 인격장애 다이어리 (키라 밴 갤더 지음, 서민아 옮김, 필로소픽 출판사, 2021.)
  • 정신병의 나라에서 왔습니다 (리단 지음, 하주원 감수, 반비 출판사, 2021.)
  • 인격장애와 성도착에서의 공격성 (오토.F.컨버그, 이재훈,박동원 옮김, 한국심리치료연구소, 2008)
    • 오토.F.컨버그는 관련된 논문도 엄청 많이 쓰는 연구자라고 하니 연구논문 쪽도 관심이 있는 사람들은 이 사람에 대한 정보를 더 찾아보는 것을 추천한다.
    • "공격성이 변화될 수 있다면? 그것이 인격의 힘이 되고, 성적인 능력이 되고, 사랑이 된다면, 거기에 희망이 있지 않을까?" 이런 질문을 던지는 책이라고 한다.
  • 경계선 인성장애의 정신분석 심리치료 (오토.F.컨버그 외 3인 지음, 윤순임 옮김, 학지사, 2016.)
    • 508쪽의 무척 두꺼운 책이지만 (2022년 10월 5일 기준) 가격은 22,000원으로 최근 책값을 돌이켜 봤을 때 분량에 비해 무척 혜자인 편이다.
  • 나는 경계성 성격장애입니다 (민지 지음, 임현성 그림, 뜰book 출판사, 2020.)
  • 경계선 성격장애 : 나는 누구인가 (조성호, 학지사 출판사, 2016.)
  • 모든 상황에서 적용 가능한 경계선 성격장애를 위한 좋은 정신과적 관리 임상가이드 (정자현 외 2인, 이창훈,이정우 옮김, 하나의학사, 2020.)
    • 임상가들을 위한 전문 서적이지만 변증법적 행동치료나 전이초점치료 등 BPD 환자들도 알아두면 좋을 다양한 치료법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책이다. 무엇보다 모든 상황에서 적용 가능하다는 제목이 이 책이 BPD와 관련된 많은 경우의 수를 고려하고 있음을 잘 드러내 준다.
  • 잡았다, 네가 술래야 : 경계성 성격장애로부터 내 삶 지키기 (폴.T.메이슨,랜디 크리거 지음, 김명권,정유리 옮김, 모멘토 출판사, 2007.)
  • 스타는 미쳤다 (보르빈 반델로 지음, 엄양선 옮김, 지안 출판사, 2009.)
  • 나만 바라봐 (오카다 다카시 지음, 김해용 옮김, 동양북스 출판사, 2018.)
  • 삼키기 연습 (박지니, 글항아리, 2021.)
  • 트라우마 - 가정폭력에서 정치적 테러까지 (주디스 루이스 허먼, 최현정 옮김, 열린책들, 2012.)

국내 미번역된 해외의 BPD 관련 서적

  • The Borderline Personality Disorder Survival Guide: Everything You Need to Know about Living with BPD (한글 : BPD 생존 가이드 : 당신이 알아야 할 'BPD와 함께 살기'에 대한 모든 것)(Alexander.L.Chapman 외 3인, New Harbinger Pubns Inc, 2007.)

멘헤라/BPD에 대한 해외 자료 번역본

멘헤라/BPD에 대한 미번역 해외 자료

  • 연구자 Yukari Seko와 Minako Kikuchi가 'Mentally Ill and Cute as Hell: Beautification of Female Madness(한글: 정신적으로 아프고 끔찍할 정도로 귀여운 : 여성 광기의 미화)'라는 프로젝트를 진행 중이다.
    • 해당 프로젝트의 내용은 ResearchGate에서 조회할 수 있으며, 2017년 3월 23일부터 (2022년 10월 기준) 2022년 5월 25일까지 계속 새로운 연구가 업데이트되었다.
    • 현재 해당 프로젝트에 업로드되어 있는 글들은 총 7편이다. (이하 업로드 날짜 이른 순)
      • [프로젝트 목표] 프로젝트 목표(원제:project goal, 2017.03.23)
      • [프로젝트 레퍼런스] 그림 같은 상처: Flickr의 자해 사진의 멀티모달 분석(원제:Picturesque Wounds: A Multimodal Analysis of Self-Injury Photographs on Flickr, 2017.03.23) (ResearchGate에서 다운로드 가능)
      • [프로젝트 레퍼런스] 자해, 시각화 및 리블로그: 텀블러에서 자해 내러티브 리메이크(원제:The self—harmed, visualized, and reblogged: Remaking of self-injury narratives on Tumblr, 2017.03.23) (ResearchGate에서 다운로드 가능)
      • [연구 아이템] 일본 만화에서의 자해: 컨텐츠 분석 (원제:Self-Injury in Japanese Manga: A Content Analysis, 2019.12.20) (ResearchGate에서 다운로드 가능)
      • [팟캐스트] 일본 만화에서의 자해―유카리 박사와 함께(원제:Self-Injury in Japanese Manga, with Dr. Yukari Seko, 2021.10.19) (Audacy에서 청취 가능)
      • [팟캐스트] 자해 심리학을 위한 국제 자해 연구 학회(ISSS)의 니콜라스 웨스터스 박사 인터뷰: 자해 및 정신 건강 탐색 (원제:Interviewed by Dr. Nicholas Westers of the Inter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Self-Injury (ISSS) for The Psychology of Self-Injury: Exploring Self-Harm & Mental Health, 2019.12.20) (Audacy에서 청취 가능)
      • [연구 아이템] 정신적으로 아프고 끔찍하게 귀여운 : 멘헤라 소녀들과 일본 대중문화에서의 자해 묘사 (Mentally Ill and Cute as Hell: Menhera Girls and Portrayals of Self-Injury in Japanese Popular Culture, 2022.05.11) (ResearchGate에서 다운로드 가능)
      • [연구 아이템] 사설 : 자살과 자해에서 미디어의 역할: 자살과 자해에서 미디어의 역할 연구 주제에 대한 학제간 관점(원제 : Editorial: The Role of Media in Suicide and Self-Harm: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Editorial on the Research Topic The Role of Media in Suicide and Self-Harm: Cross-Disciplinary Perspectives, 2022.05.25) (ResearchGate에서 다운로드 가능)

작성 중인 내용(보완 필요)

아직 만들어지지 않은 문서

기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