클라이밍/무브

최근 편집: 2023년 1월 13일 (금) 23:53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23년 1월 13일 (금) 23:53 판

플래깅

왼발을 딛고 엉덩이를 벽 쪽으로 당기며 오른발을 오른쪽으로 보내어 균형을 잡는 클라이밍 선수. 이때 오른발을 왼발이 디딘 홀드에 두었더라면 몸의 하중이 왼쪽으로 빠져서 균형을 잃고 추락할 수 있다. 이 자세는 아웃사이드 플래깅이다.

플래깅(flagging)클라이밍에서 균형을 잃지 않기 위해 적절하게 밸런스를 취하는 기술이다.[1] 이러한 기술들 전체를 플래깅이라고도 하고,[1] 밸런스를 취하기 위해 뻗은 다리를 플래깅이라고도 하고,[2] 특정한 자세만을 플래깅이라고도 한다.[3]

풋홀드를 디디지 않은 한쪽 발을 휘두르는 모습이 깃발을 흔드는 것 같다고 해서 이러한 이름이 붙었으며, 프랑스에서는 깃발이라는 뜻의 드라포(drapeau)로 불린다. 한국의 클라이머들은 균형을 잡기 위해 반대 방향에 하중을 가한다고 해서 카운터 밸런스(counter balance)라고도 부른다. 발을 버린다고도 한다.[3]

클라이밍의 기본 무브인 인사이드 스텝아웃사이드 스텝은 왼손을 뻗기 위해 왼발을 딛거나 오른손을 뻗기 위해 오른발을 딛는 것을 기본원리로 한다. 그런데 이렇게 할 수 없는 경우 플래깅으로 반대방향에 하중을 보내어, 뻗으려는 손 쪽의 발이 디딜 홀드가 없더라도 균형을 잡을 수 있게 한다.

플래깅은 적절한 홀드가 없는 경우에도 활용할 수 있지만 발 바꾸기 무브를 생략할 때에도 유용하다.

플래깅은 인사이드 플래깅과 아웃사이드 플래깅으로 나뉜다.

인사이드 플래깅

인사이드 플래깅은 체중이 실린 발의 안쪽으로 다른 발을 통과시켜 발바꾸기를 생략하거나[3] 홀드를 잡고 있는 손의 반대편 발로 하중을 지지할 때 다른 발을 뻗어 대각 밸런스를 맞추는 동작이다.[1]

인사이드 플래깅으로 균형을 유지하며 올라가는 클라이밍 선수.

아웃사이드 플래깅

아웃사이드 플래깅은 몸을 살짝 비틀어서 하중을 지지하는 발 쪽으로 다른 쪽 다리를 뻗어 카운터 밸런스를 유지하는 무브이다. 양손이 각각 반대편의 홀드를 잡고 있고 발 홀드가 왼쪽에 있다면 왼발로 홀드를 디뎌야 할 것 같지만, 경우에 따라 오른발로 홀드를 디디고 왼발을 오른쪽으로 뻗어 플래깅해야 할 때가 있다.

고난도의 아웃사이드 플래깅은 몸이 서 있지 않고 사선으로 휘기 때문에 코어힘과 팔힘, 그립력이 많이 필요하다. 5.10 그레이드부터는 자주 볼 수 있다. 초보자가 보기에 아주 멋진 스태틱 무브이다.

피겨 4

홀드를 잡은 한쪽 팔에 무릎을 걸쳐서 팔로 발 홀드를 대신하여 등반하는 동작이다. 잡는 홀드는 괜찮지만 홀드 사이가 멀어서 발 홀드가 좋지 않은 경우 사용한다. 팔에 하중이 가해지면서 손에 아래로 누르는 힘이 생기므로 잡는 힘이 더 강해진다.[1] 몸을 허리 높이까지 당길 수 있게 되고 무게중심이 위로 고정되므로 더 멀리 움직일 수 있다.

다만 한쪽 팔에 대부분의 하중을 가하기 때문에 홀드가 좋아야 하며, 몸이 꼬이게 되므로 이 동작 이후에 몸을 풀기 어렵다.

피겨포를 시도하는 영상.

출처

  1. 1.0 1.1 1.2 1.3 장갑수 (2019). 〈몸 쓰기〉. 《스포츠 클라이밍의 거의 모든 것》 1판. 열린세상. 
  2. 하가시 히데키. 《스포츠 클라이밍 실전 교과서》. 김인경 감수. 
  3. 3.0 3.1 3.2 ROCK & SNOW 편집부. 《클라이밍 교과서》. 김자하/이성재 감수. 노경아 옮김. 보누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