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9년 2월 6일 (수) 21:25
Qazwdc (토론 | 기여)님의 2019년 2월 6일 (수) 21:25 판



  • 오랫동안 이 공고히 쌓아온 특권인 성억압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이들은 성별(sex)과 젠더(gender)를 구분함으로써 성의 주적 지위는 거스를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닌, 성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구성과 이데알로기 배치의 결과라고 보고 이에 대한 변혁을 주장한다.
  • 사회주의 페미니즘장제자본주의의 결합을 성억압의 원인으로 주목한다.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구조주의적 정체성 규정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꼽았다.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은 한 사람의 경험이 단일 원인에 의하지 않으며 젠더, 인종, 사회 관계 등 다양한 관계 아래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페미니즘이다.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자본주의가 여성억압을 가져왔다고 생각하는 페미니즘이다.
  • 에코 페미니즘은 인간이 자연을 착취하는 방식과 가부장제가 여성을 착취하는 방식이 동일하다고 보고 이 착취를 함께 타파하는 방법에 대해 말한다.

범위

페미니즘은 오로지 여성 인권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해를 종종 받는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진정으로 원하는 바─성평등─를 이룩하고 여성성남성성, 즉 '여성스럽'고 '남성스러'울 필요가 사라진다면 그것은 가부장제의 성편견에 짓눌려 있던 사회의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지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페미니즘 운동과 사상에는 여러 갈래가 있기에,[1] 페미니즘이 다루는 범위를 여성 인권 문제에 국한하여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역사적으로 페미니즘이 중상위층 백인 여성의 경험만 과도하게 강조해왔다는 비난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성 인권 문제에 대한 고민은 억압받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인식, 다양한 억압의 형태, 억압의 구조와 역사 등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페미니즘은 다양한 젠더 담론을 포괄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외치는 사상으로 확장되기도 하였다.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범위

역사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역사 문서를 살펴보세요.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에 여성학이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최초의 여성학 강의는 1977년 이화여자대학교여성학 강좌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이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에서도 처음이었다.[2] 한편 한국의 페미니즘은 2010년대까지 호주제 폐지와 같은, 주로 정책과 제도를 위한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주 1] 이후 메갈리아와 함께 연쇄적으로 탄생한 여러 페미니즘 담론과 운동은 대부분 복합적인 성격을 띄는데, 주로 래디컬 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섞인 형태이다. 다음을 참고할 것 한국의 페미니즘

비판

페미니즘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만 서술하길 바랍니다. 물론 각 스펙트럼 간의 상호 비판도 올려도 됩니다.

  • 카밀 파일라(Camille Paglia 1947-)는 1994년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여론 검열, 음반, 게임, 영화, 영상물 등에 대한 검열 정당화 및 목적 달성, 이견 분쇄를 위해 뇌물과 돈, 로비, 이권, 인사 개입, 압력, 성 로비 등의 각종 이권행사를 한다고 비판했다.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래디컬 페미니즘을 보고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PC(정치적 올바름)를 무시한다고 비판하고, 래디컬 페미니즘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이 결국 여성인권을 뒷전으로 미루게 만든다고 비판한다.

페미니즘/페미니스트에 대한 의문, 비난과 대답, 반박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문과 대답

여기는 태생적인 한계 등으로 인한 건설적인 비판이 아닌 몰이해로 생긴 무조건적인 비난이나 오해,일반화 등을 서술하는 하위 문서입니다.

여러분들의 기여가 필요합니다.

기타

  • 영어에서 페미니즘은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두 가지 형태로 쓰일 수 있으며 가산명사일 때의 복수형은 feminisms이다.[3] <나쁜 페미니스트>에 나온 것처럼, 페미니즘이 하나의 단일한 존재가 아니라 여러 모습으로 공존하며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이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적 권리를 정의하고 달성하기 위한 현실 변혁을 꾀하는 것 역시 페미니즘의 일부이다. 애당초 페미니즘이 여성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화를 주는 것이기에 당연하다.

같이 보기

링크

부연 설명

  1. 이는 리버럴 페미니즘의 특징이기도 하다.

출처

  • 권현정 외, 2003,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공감.
  • 김수영, 고려대학교 2011년 2학기 '성과 사회' 강의자료
  1. “Feminist movements and ideologies”. 《영문 위키백과》. 
  2. 새 여성학 강의 개정판, (사)한국여성연구소, 동녘 출판사, 18-19p
  3. “Wiktionary 'Feminism' 항목. "feminism (countable and uncountable, plural feminisms)"로 명시되어 있다.,”. 《Wik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