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편집: 2022년 12월 13일 (화) 13:40
LarodiBot (토론 | 기여)님의 2022년 12월 13일 (화) 13:40 판 (문자열 찾아 바꾸기 - "\[\[분류:(.*)\]\]" 문자열을 "{{분류|$1}}" 문자열로)

(기역시옷)은 한글 낱자의 을 겹쳐 놓은 것이다. 첫소리로는 쓰이지 않고 끝소리로만 쓰인다.

‘삯’처럼 혼자 발음할 때에는 ㄱ 소리만 나지만 이 뒤에 올 때에는 소리가 나는 어근의 받침으로 쓰인다.

  • 삯이 → [삭씨]
  • 삯을 → [삭쓸]

초성체로서의 ㄳ

감사합니다, 감사의 의미를 가진 초성체다. 많이 사용 되고 있는 초성체 중 하나다. 하지만 진짜 친한 친구가 아니고서는 진짜 감사를 해야할 때 달랑 'ㄳ'이렇게 보내는 무례한 짓은 하지 않도록 하자

예문:
A: 야 조별과제 내가 다했다.
B: ㄳ A: 야이 씨x