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

최근 편집: 2020년 3월 12일 (목) 17:57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20년 3월 12일 (목) 17:57 판 (159796판를 분리하고 2016년 상황과 모집글 게시 후 단톡방 언급을 추가했습니다)
페미위키
영문자로 Femiwiki라고 적혀 있다. 배경은 연한 보라색이고 글자는 흰색이며 글은 femi와 wiki로 나뉘어 두 줄로 나뉘어 있다. 첫 번째 글자인 F는 다소 길어 두 줄을 모두 차지하고, 세로 획이 길어 밑으로 빠져 나와 있다. 글자들은 가로 획들이 직선이 아닌 곡선으로 되어 있으며 전체적으로는 물결처럼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올라가다가 내려가고, 다시 올라간다. 전체적으로 F의 세로 획은 깃대, 나머지 획들은 깃발처렁 보인다.
페미위키의 로고.
주소https://femiwiki.com/ Edit this on Wikidata
개설2016년 7월 25일
라이선스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저작자표시-동일조건변경허락 4.0 국제 Edit this on Wikidata
주제
  • 여성주의
  • 사상여성주의 Edit this on Wikidata
    문서 수19,194 Edit this on Wikidata

    페미위키(영어: Femiwiki)는 주류 위키들의 남성중심적, 여성혐오적인 정보에 반대하여 만들어진 여성 중심의 위키이다.

    사회적 약자혐오를 드러내는 내용을 적지 않고, 위키백과 등의 중립적 관점(NPOV)을 지양한다. 대신 여성, 성소수자, 장애인 등 여태 사회에서 소외되었던 약자들의 시각(FPOV)에서 정보를 기록하려 노력한다.

    또한 가독성 향상 등 이용자들의 편의를 위해 광고를 노출하지 않고 있다. 대신 서버 비용 충당을 위해 페미위키:굿즈 프로젝트를 진행한 바 있다.[1]

    현황 및 통계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위키에 대한 통계 모음

    재정

    비영리로 운영되며 재정 현황을 누구나 볼 수 있도록 투명하게 공개하고 있다는 점에서 Umanle S.R.L.이라고 하는, 파라과이 아순시온 소재의 정체 불명의 회사에서 운영되며 대한민국에서 광고를 달아 돈을 벌고 있는 나무위키와는 극명한 대조를 이루고 있다. 종래의 위키 사이트들과는 달리 펀딩 방식으로 운영된다.

    개설

    2016년 강남역 여성표적살인이 있은 직후 나무위키를 출처로 사용하는 온라인 논쟁이 범람하고 있어 여성주의 위키의 필요성이 대두되던 중인 7월 21일, 페이스북에 여성위키 제작 프로젝트라는 게시물이 올라오며 프로젝트 멤버 모집을 시작했다.[2] 이 글을 보며 단체 채팅창에 모인 33명이 만들어 낸 것이 페미위키이다.[3]

    연혁

    2016년

    • 7월 25일 미디어위키 기반의 위키를 임시로 개설하여 비공개로 운영하기 시작하였다.
    • 9월 19일 읽기 권한을 열며 1차 오픈을 하였다.
    • 11월 12일, 연대감을 높이고 페미위키를 널리 알리는 동시에 페미위키 운영을 위한 서버 확보 외 법률자문을 위한 후원을 목적으로 굿즈를 제작하고자 트위터를 통해 굿즈 아이템에 대한 설문조사와 동시에 의견을 모았으며[4] 11월 18일 텀블벅을 통해 펀딩을 시작하였다.[1] 11월 29일, 프로젝트를 146%로 마감하여 펀딩에 성공했다.

    2017년

    언론 및 저술

    언론보도

    팟캐스트

    저술

    • 양성평등에 반대한다 - "또한 정보의 집적에서는 사이트 '아름드리 위키', '페미위키', '바람계곡의 페미니즘' 등이 ... 활약하고 있다."

    이스터에그

    링크

    페미위키를 소개하고 있는 위키들

    목록

    출처

    1. 1.0 1.1 https://tumblbug.com/femiwiki
    2. “여성위키 제작 프로젝트”. 《페이스북》. 
    3. 페미위키 운영진 (2017년 7월 8일). “페미위키:페미위키 1년을 돌아보며”. 《페미위키》. 
    4. @Femiwikidotcome2016년 11월 12일 트윗.
    5. “Wikipedia:Articles for deletion/Femiwiki”. 《Wikipedia》. 2018년 10월 12일에 확인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