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7년 5월 11일 (목) 13:43
Whatis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5월 11일 (목) 13:43 판 (페미니즘의 포괄적 정의)

페미니즘 (feminism) 혹은 여성주의는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정치, 경제, 사회 문화적인 것을

포함하여 모든 형태의 차별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정치적 의제를 통칭한다.[1][2]

좁은 의미에서는 여성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권리를 정의하고 달성하기 위한 현실변혁을 위한 실천이며 운동이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과 남성의 동등한 권리평등을 주장 또는 지지한다.[3]

현대에는 다양한 젠더 담론을 포괄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외치는 사상으로 확장되기도 하였다. 이에 대해서는 페미니즘의 범위 문서를 참고하자.

정의

Jagger Alison, M. and Paula S. Rothenberg에 따르면, 페미니즘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나 실체를 가진 것이기보다는 다양한 사상, 이론, 행동으로 구성된 묶음이다. 페미니즘은 이 중 이론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페미니즘 이론은 다양하지만 몇 가지 공통된 가정을 포함한다.

  1. 남성과 여성은 삶의 경험이 다르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경험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2. 여성억압은 계급 등 여타 사회관계의 부분집합(subset)이 아니라 어느 정도 자율적·독자적으로 작동하는 고유한 사회문제의 배열(arrangement)이다.
  3. 여성억압은 사회관계나 구조가 조직되는 방식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나 구조의 기원과 발전을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관계나 구조를 젠더 관계(gender relations) 또는 가부장제로 명명한다.

좁은 의미의 페미니즘

각종 단어 사전, 위키백과, 스탠포드 철학 백과의 도입부 등의 정의는 여성의 권리를 중심으로하는 좁은 의미의 페미니즘으로 국한되는 경우가 많다.

다음사전[4]:

여성이 불평등하게 억압받고 있다고 생각하여 여성의 사회, 정치, 법률상의 지위와 역할의 신장을 주장하는 주의

영어 위키백과[5]

페미니즘은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적 권리를 정의, 확립, 달성한다는 목표를 공유하고 있는 일련의 정치/사상/사회 운동이다. 이 목표에는 교육과 고용에서 여성의 평등한 기회를 확립하는 것도 포함된다.

스탠포드 철학 백과[6]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종종 여러 의미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몇몇 저자들은 '페미니즘'을 특정 시기에 미국과 유럽에서 있었던 정치 운동으로 규정한다. 반면 다른 저자들은 여성에 대한 부당함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부당함의 구체적 목록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다. 비록 영어 단어 "feminism"은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여성 운동과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 사상 및 믿음을 페미니즘 정치 운동과 구분하여 보는 편이 유용하다. 여성의 종속 문제에 대항하는 정치적 움직임이 없었던 시기였다 하더라도 각 개인들은 여성 문제에 관심을 가지거나 이론화를 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넓은 의미의 페미니즘

한국여성단체연합 페미니즘을 다음과 같이 정의했다.[7]

계급, 인종, 종족, 능력, 성적 지향, 지리적 위치, 국적 혹은 다른 형태의 사회적 배제와 더불어,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차별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정치적 의제들

어원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어원 영어 단어 '페미니즘(feminism)'과 '페미니스트(feminist)'는 각각 우리말로 '여성주의'와 '여성주의자'로 번역한다. 이 단어는 1800년대 프랑스의 정치 담론에서 쓰이던 'féminisme'에서 유래하며, 당시 여성 해방(women's emancipation)과 동의어로 쓰였다.

프랑스어 사전과 초기 역사가들은 종종 유토피아 사회주의자찰스 퓨리에1837년에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적고 있다.[8] 하지만 페미니스트 역사가인 카렌 M. 오펜에 의하면 찰스 퓨리에가 해당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는 주장은 오류이며 1870년대 이전의 용례에 대해선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9] 스탠포드 철학 백과 또한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양성 평등성에 기반하여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주어야 한다'는 의미로 처음 쓰인 때는 파리에서 제1회 국제 여성 컨퍼런스(the First International Women's Conference)가 열린 1892년이라고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퓨리에 고안설과는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10]

확실한 것은 1890년대에는 페미니즘 또는 페미니스트라는 단어가 유럽 전역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1900년 이전에 벨기에,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그리스, 러시아의 출판물에서 해당 용어가 쓰인 기록들이 나타나고 있다.[9]

한편, 스스로 페미니스트(feministe)로 칭한 최초의 인물은 프랑스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Hubertine Auclert이다. 그녀는 1882년 자신이 발행하던 정기 간행물 'La Citoyenne(여성 시민)'에서 스스로와 동료들을 페미니스트라 지칭하였다.[9]

페미니즘의 범위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범위 페미니즘(여성주의)이 라틴어 femina(여성)에서 온 말이기 때문에 오로지 여성 인권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해를 종종 받는다. 하지만 이는 어원론적 오류이다. 페미니즘 운동과 사상에는 여러 갈래가 있기에[11] 페미니즘이 다루는 범위는 여성 인권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페미니즘이 중상위층 백인 여성의 경험만 과도하게 강조해왔다는 비난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성 인권 문제에 대한 고민은 억압받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인식, 다양한 억압의 형태, 억압의 구조와 역사 등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역사 [12][13]

페미니즘의 기원: 프랑스 혁명기의 여성들

중세 신분사회에서 근대사회로의 전환은 근대적 평등사상과 함께 계몽주의를 퍼트렸다. 모든 인간은 평등하다는 천부인권계몽주의의 기조에도 불구하고, 평등의 대상은 남성에 한정되어 있었다. 이에 여성들은 남성과의 동등한 권리를 주장하며 천부인권 선언문을 다시 작성했다.

여성의 이익을 옹호하는 관념들과 행동들이 1789년 프랑스 혁명 이전에도 있었지만, 여성해방을 옹호하는 사상이자 그것을 실현하고자 하는 운동으로서 페미니즘은 프랑스 혁명 과정에서 등장했다. 여성의 역사는 프랑스 혁명을 기점으로 일대 전환기를 맞았다. 프랑스 혁명기에는 새로운 정치 기구 내에서 여성이 어떤 지위를 가져야 하는가라는 새로운 문제가 제기되었다. 하지만 결국 여성들은 정치 밖으로 쫓겨나고 시민사회에서 종속적 지위로 전락했다.

베르사유 행진

근대 초기 유럽에서는 여성들이 봉기에 가담하는 일은 일반적이었다. 파리 민중들이 일으킨 수차례의 봉기에서도 여성들은 맨 앞에 나섰다. 1789년 봉기, 1793년 5월 봉기, 1795년 봉기에서도 파리 여성들은 앞장서서 선동자 역할을 했다. 1789년 프랑스 혁명에서 계몽주의의 영향 아래 ‘인간의 권리’가 천명된다. 그러나 인권은 공적 영역에 참여할 권리가 있는 ‘능동적’ 시민과 능동적 시민에 의해 대표되며 그들이 제정한 법률에 복종해야 하는 ‘수동적’ 시민으로 분할되었다. 여성은 수동적 시민으로 규정되었다.

1789년 이후 프랑스 전역에서 생겨난 클럽은 대부분 여성을 배제했다. 하지만 여성들은 다양한 방식으로 클럽활동을 함으로써 정치에 참여하고자 했다. 일부 여성들은 독자적으로 여성 정치클럽을 결성했다. 이들은 정기적인 모임을 열어 법안이나 신문기사를 놓고 토론하고, 지역 차원의 문제와 전국 차원의 정치 쟁점까지 논쟁했으며 자선사업에 참여했다. 파리의 두드러진 여성 클럽으로 '진리의 벗 애국자선협회'와 '혁명적 공화주의 여성시민클럽'이 있었다. 여성들은 조직의 해산 명령에도 전혀 개의치 않고 정치 활동을 계속하고 반정부 시위와 봉기에도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대부분의 프랑스 여성들은 유인물이나 공식 연설문을 통해 공식적으로 의견을 개진했다. 당시 프랑스 여성들의 팜플렛과 청원서들은 언제나 개혁에 대한 열망과 여성의 권리에 대한 요구와 제안들이 언명되어 있어 당시 여성들의 노력을 보여준다. 일부 여성들은 혁명을 위해 국민방위군에 들어가 투쟁할 권리를 요구했고 실제로 100명 가량의 여성들이 개별적으로 국민방위군에 입대했다. 지배계층의 여성들은 살롱에서 남성와 함께 정치를 논하며 정치 활동의 장으로 활용했다.

프랑스 여성들은 ‘자유로운 국민’의 한 사람으로서 일반 이익을 위해 활동하고, 그럼으로써 국민 모두의 자유를 위한 싸움에 동참하는 여성이 되려 했다. 하지만 프랑스사회의 이상적인 여성상은 ‘공화국의 어머니’로, 여성의 임무는 아이들에게 자유와 평등에 대한 사랑을 심어 줌으로써 아이들을 훌륭한 공화국 시민으로 키우는 것이었다. 남성 혁명가들은 여성이 공적 영역에 참여함으로써 그들에게 운명지어진 가내 의무들, 아내와 어머니로서의 의무로부터 멀어질 것을 우려했다. 1793년 자코뱅은 여성클럽들을 폐쇄하고 여성들의 정치활동 일체를 금지했다. 1804년 나폴레옹 민법은 남편의 보호를 대가로 남편에 대한 아내의 복종을 의무화해 가족 내 가부장적 권력을 재확립했다.

프랑스 혁명을 주도하는 정파인 자코뱅의 정치이념은 직접민주주의혁명권을 강조하는 루소사회계약론이었다. 여성에 대한 루소의 입장은 철저한 反페미니즘이었기 때문에 자코뱅의 입장도 기본적으로 反페미니즘이었다. 최초의 페미니스트들은 자코뱅에게 반대하는 정치이념과 연대했다. 지롱드적인 입장은 테루아뉴 드 메리쿠르(프랑스), 메리 울스톤크라프트(영국)가 있었다. 지롱드적인 입장이면서 입헌군주제를 주장한 올랭프 드 구즈(프랑스)도 있었다.

당시 여성의 위치는 기민이라고는 하지만 정치적 권리를 갖지 못한 애매한 위치였다. 여성의 시민성이라는 쟁점을 둘러싼 논쟁이 벌어졌다.

콩도르세의 ⌈여성의 시민권을 위한 청원⌋(1790)

⌈여성의 시민권을 위한 청원⌋(1790)을 쓴 콩도르세(Marquis de Condorcet)는 주로 여성의 법적 지위에 관한 문제에 관심을 가졌다. 여성도 남성처럼 이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가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인간의 권리에 기초한 새로운 사회 질서를 확립한 사람들마저 일말의 양심의 가책도 느끼지 않은 채 여성들의 요구를 묵살해 왔다고 문제를 제기했다. 하지만 남녀간의 불평등 문제를 일반적인 불평등의 특수한 사례로 취급해서 권리의 평등이라는 보편적인 문제가 해결되면 저절로 해결될 것으로 보았다.

구즈의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1791)

올랭프 드 구즈는 여성의 정치적 역할에 관심을 가졌다. ⌈인간과 시민의 권리선언⌋(1791)에서 남성에게 부여된 모든 권리와 자유를 여성에게도 적용 할 것을 요구했다. 더 나아가 남성뿐 아니라 여성도 포함하는 시민성에 대한 새로운 관념을 제출하고 시민성의 성별화된 성격을 규정했다.

울스톤크라프트의 ⌈여성권 옹호⌋(1792)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기원이라고 여겨지는 사상가로, 『여성권리옹호』(A Vindication of the Rights of the Woman, 1792)의 작가인 메리 울스턴크래프트가 있다. 여성의 동등한 정치적 권리와 법적 지위, 그리고 경제적 기회를 주장한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20세기 초·중반까지 지속된 여성참정권 운동의 기폭제가 된다. 이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여성과 남성이 동등한 정치적·경제적·법적 권리를 갖는다는 평등을 중요하게 제기했다.

⌈여성권 옹호⌋(1792)를 쓴 영국의 메리 울스톤크라프트는 주로 여성의 사회적 존재 양식에 관해 관심을 가졌다. 정치투쟁과는 일정한 거리를 두면서 더 근본적이고 체계적인 방법으로 주로 문화적인 차원에서 여성 억압 문제를 제기했다. 여성을 보호하고 여성의 행복을 보장한다는 명분으로 여성을 권리로부터 배제하는 것은 프랑스 혁명가들이 자신들이 공격했던 이전의 전제자들의 모델을 따르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여성도 남성처럼 이성을 소유하고 있으므로 자연권으로부터 여성을 배제하는 것은 불공정하다고 항의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 운동의 여성이론

유토피아 사회주의 운동에서 여성이론이 활발히 등장했다. 유토피아 사회주의 문서 참조.

1세대 페미니즘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급진적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이론을 2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르며 이전 시기의 자유주의 페미니즘을 1세대 페미니즘이라고 부른 데서 비롯되었다.1세대 페미니즘은 자유주의 페미니즘과 상당 부분 겹치는 점이 많으며, 책에 따라 1세대 페미니즘/2세대 페미니즘이 아닌 자유주의 페미니즘/급진 페미니즘의 구분을 사용하는 경우도 많다. 사회주의자들은 1세대 페미니즘이라는 용어가 유토피아 사회주의의 페미니즘 담론을 배제시킨다고 비판하기도 한다.

투표권의 요구는 여성 시민권에 대한 의회주의적 해법이었다. 1세대 페미니즘의 투표권 요구는 자유주의에 사상적 기반을 두었지만 투표권 운동은 사회주의 운동과 결합했다. 사회주의 운동 내부에서 여성해방에 대한 관심이 구체화된 것은 독일 사민당의 베벨이 출판한 ⌈여성과 사회주의⌋를 통해서였으며, 푸리에의 영향도 있었다. 이념을 막론하고 투표권으로 단일화된 1세대 페미니즘의 목표는 운동의 동력이었다. 운동의 성과로 1차 세계전쟁 이후 대부분의 나라에서 투표권을 도입하게 된다.

하지만 투표권만을 단일한 목표로 삼고 여성의 참정권을 주장해 온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은 1920년 참정권을 획득하게 되자 김이 빠진 듯이 페미니즘 운동을 한 숨 놓게 된다. 1920년부터 1960년까지는 별다른 페미니즘 운동이 없던 페미니즘의 암흑기였다.9 한편 자유주의 페미니즘은 1세대 페미니즘 이후에도 계속 영향력을 가진다.

19세기 이후 계급모순과 사유재산, 생산수단 문제라는 마르크스주의의 이념을 받아들이면서 동시에 이로 인해 여성 억압이 나타났다고 보는 마르스크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사회주의 페미니즘과는 달리,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여성 억압과 차별의 궁극적 원인을 계급 모순으로 본다.


존 스튜어트 밀, 「여성의 종속」 (1861)

자유주의 페미니즘의 사상적 토대를 제공했다. 밀에 따르면 여성의 ‘개인적 권리’에 대한 제한이 없어진다면, 여성의 시민적 생활이 가능해질 것이다. 여성에게 가해지는 제한 중 대표적인 것이 의회 내에서 여성의 배제이다. 하지만 밀의 ‘개인적 권리’ 개념은 여성의 독자적 권리라기보다는 남성의 권리를 여성에게 확대하려는 것이었다.

미국

1866년 수정헌법 14조는 해방된 남성 흑인노예의 투표권은 인정했지만 백인과 흑인을 불문하고 여성의 투표권은 부인했다. 여성들의 분노했고 엘리자베스 캐디 스탠튼(Elizabeth Cady Stanton)과 수전 앤서니(Susan Anthony)는 수정헌법 14조를 여성에 대한 배신으로 간주했다. 같이 투쟁하던 남성 흑인노예들이 여성참정권 배제에도 불구하고 1866년 수정헌법에 만족하는 것에 실망해 여성권을 위한 투쟁에서 모든 동맹세력을 분리할 것을 선언했다. 여성들은 노예제 폐지운동에서 탈퇴하여 독자적인 여성조직을 형성했다.

프랑스

오클레르는 남성의 병역의 의무와 비교되는 여성의 모성의 의무에 근거하여 여성투표권을 옹호했다. 여성권 청원을 하원에 제출했다. 투표를 거부당했을 때 납세 거부를 실천해야 한다고 보았다.

2세대 페미니즘

그 이후 성/성별 체계를 여성 억압의 근본 원인으로 사유하는 급진적 페미니즘이 등장한다. 이들은 제도상 결함이 여성에게 가장 큰 억압이 된다는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들과는 달리, 사회로 인해 내면화된 성별 규범이 여성을 억압하는 근본원인이자 가장 뿌리깊은 문제라고 지적한다.

급진적 페미니즘은 이후에 생물학주의와 문화주의로 나뉘어진다. 생물학주의 레디컬 페미니즘은 임신/출산 등 여성의 생물학적 특징이 여성 억압을 만들어냈다는 주장으로, 생물학적 차이가 극복될 수 있을 때 완전한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이에 비해 문화주의 레디컬 페미니즘은 생물적 특징보다는 사회가 만들어낸 성규범과 가부장제가 여성 억압을 만들어내었고, 교육과 사회 인식 개선 등을 통해 평등을 이룩할 수 있다고 주장한다. 문화주의 페미니즘은 가부장제라는 단어를 대중에 알리는 데 크게 기여하였다.

70년대 중반 들어 2세대 페미니즘의 급진주의 경향의 퇴조하고 레즈비언 페미니즘 및 문화주의 페미니즘이 성행했다. 일부 여성들은 전미여성 기구(NOW: National Organization for Women)로 대표되는 자유주의 페미니즘으로 이동했다. 페미니즘 내 급진주의의 퇴조로 인한 공백은 사회주의 페미니즘이 부활하는 계기로 작용했다.

사회주의 페미니즘

80년대의 사회주의 페미니즘은 여성의 성적 자기결정권 옹호, 여성에게 성적 위험 및 경제적 의존을 낳는 사회경제적 조건 변경시킬 필요성 제기 등의 이론을 폈다.

사회주의 페미니즘 문서 참조.

3세대 페미니즘

1960년대 이후 정신분석학, 해체주의, 탈구조주의, 탈식민주의 이론이 제공하는 통찰을 페미니즘의 목적에 맞게 비판적으로 전유하기 시작 하면서 평등보다는 차이를 말하는 페미니즘의 흐름이 생겨난다.

이는 흑인 페미니즘 등 포스트 모던 페미니즘으로 이어진다. 엘리자베스 그로츠(Elizabeth Grosz)는 보브와르, 베티 프리단, 밀레트, 파이어스톤 등과 같은 이른바 평등주의적 페미니스트들이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생물학적 본성이 아니라 문화적 구성의 결과이며, 그렇기 때문에 변화될 수 있다는 견해를 전파시켰다고 본다. 그로츠는 이들이 만일 남성과 여성이 다시 사회화될 수 있다면 평등하게 될 수 있다고 주장함으로써 몇 가지 실수를 저질렀다고 보는데, 평등주의 페미니스트들은 ‘남성의 업적과 가치기준들’을 여성이 열망해야하는 규범으로 삼았으며, 여성들의 특별한 욕구나 이해관계―여성의 몸과 성욕―을 무시했다는 것이다. 이와 달리 차이의 페미니스트들(포스트모던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의 육체들, 생식의 리듬들, 성적기관들을 찬양한다. 그들은 여성들은 남성들과 똑같아지는 권리를 원하는 것이 아니라 여성들은 남성들처럼 자유로워지는 권리를 원한다고 말한다. 또한 포스트모더니즘이 지금까지 받아들여져 왔던 학문적 중립성과 합리성에 대해 비판해온 것처럼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근대성에 내재해 있는 성별화된 문화적 지적 가정들을 지적함과 동시에 페미니즘 자체의 보편화하는 근본주의적 입장들에 대해 도전한다.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비판

1994년 카밀 파일라(Camille Paglia 1947-)는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여론 검열, 음반, 게임, 영화, 영상물 등에 대한 검열 정당화 및 목적 달성, 이견 분쇄를 위해 뇌물과 돈, 로비, 이권, 인사 개입, 압력, 성 로비 등의 각종 이권행사를 한다고 비판했다.

그리고, 여성우월주의의 변질 문제 때문에, 비판을 받고 있다고는 하나 대게 이를 여성우월주의라고 주장하는 사람들 치고 페미니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고 발화를 하는 사람은 찾아보기 매우 어렵다.(대부분이 인터넷에서 떠도는 허위 날조된 정보를 사실로 믿고있다. 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주 1]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의 페미니즘은 2010년대 까지 주로 정책과 제도에 치중한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이후 탄생한 메갈리아와 여러 운동은 대부분 여러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는데, 주로 급진적 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섞인 형태이다.

페미니즘의 갈래

다양한 갈래의 페미니즘은 "왜/어떻게 여성들이 억압받는가?"라는 질문에 각기 다른 대답을 모색하면서 발전해왔다.

예를 들어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는 여성에게 동등한 법적 권리(재산권, 투표권, 교육권)가 주어진다면 양성이 평등해질 수 있다고 믿었으며,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는 오랫동안 남성이 공고히 쌓아온 특권인 가부장제를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레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억압의 원인이 성(sex)/젠더(gender) 체계에 있다고 사유한다. 이들은 태어나는 몸(생물학적 성)과 만들어진 몸(사회적 성)을 구분함으로써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거스를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닌, 남성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구성과 이데올로기 배치의 결과라고 보고 변화를 주장한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주목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도 있다.

다음은 가나다순으로 정리한 페미니즘의 갈래들이다.

페미니스트

페미니즘적 사이트

페미니즘적 작품

성평등이라면서 왜 이퀄리즘이라고 안 쓰고 페미니즘(여성주의)라고 쓰나요?

동성애 차별 금지 운동, 흑인 인권 운동 등도 사실상 평등을 지향하는데 이퀄리즘 같은 말은 쓰지 않는다. 왜냐하면 동성애자, 흑인 등 '비교적 더 차별받고 있는' 집단의 인권 향상을 위한 운동이기 때문이다.

페미니즘도 이와 똑같이 작동한다. 여성 인권은 구조적으로, 경향성의 규모로 더 아래에 있었고 현재에도 그렇기 때문에 남성과 완전하게 동등하게 여겨질 때까지 기울어진 균형을 바로잡으려는 것이다.

같이 보기

참고문헌

  • 권현정 외, 2003,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공감.
  • 김수영, 고려대학교 2011년 2학기 '성과 사회' 강의자료

참조

  1. http://women21.or.kr/statement/3222
  2. https://www.merriam-webster.com/dictionary/feminism
  3. Beasley, Chris (1999). 《What is Feminism?》. New York: Sage. 3–11쪽. ISBN 9780761963356. 
  4. “페미니즘”. 《다음 사전》. 
  5. “Feminism”. 《영어 위키백과》. 
  6. “Topics in Femin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7. http://women21.or.kr/statement/3222
  8. Goldstein, Leslie F. (1982). “Early Feminist Themes in French Utopian Socialism: The St.-Simonians and Fourier”.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43 (1): 91–108. doi:10.2307/2709162. JSTOR 2709162. 
  9. 9.0 9.1 9.2 Karen M. Offen (2000).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420-2. 
  10. “Topics in Feminism”. 《스탠포드 철학 사전》. 
  11. “Feminist movements and ideologies”. 《영문 위키백과》. 
  12. (사)한국여성연구소.새 여성학 강의(개정판).동녘
  13. 캐럴 페이트만, 메어리 린든 쉐인리.페미니즘 정치 사상사
  1. 여성우월주의 사례로써 여성전용주차장,제천여성도서관을 예시로 드나 전자는 범죄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안전 장치외에, 백화점을 비롯 쇼핑몰의 경우 효과적인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분일 뿐이다. 후자의 경우 애시당초 도서관 부지 매입자금을 지원한 독지가 여성이 여성에게만 개방을 해달라는 요청을 하여 후원을 하였으므로 페미니즘적인 여성우월주의현상이라고 볼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