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혐오적인 한국어 표현

최근 편집: 2017년 12월 1일 (금) 12:06
Larodi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2월 1일 (금) 12:06 판

목록

성녀 · 창녀 이분법

여성 특정, 불필요하게 여성임을 강조

이 중 어떤 단어들은 실제 필요한 쓰임(남초 직군에서 여성을 칭하며 여성정책 등을 논할 때)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상당수가 '여군'을 '여성 군인'으로 칭해도 되는 문제이며, 특히나 포르노 제목, 성적 대상화, 전혀 성별이 필요 없는 경우의 성별 강조 등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불필요하게 여성임을 강조(특정인물)

객체화, 성기환원주의

평가 객체로 격하, 남성의 입맛에 맞게 후려치기, 비현실적 여성상 강요하기

데이트 좌절을 혐오로 승화, 굴절 분노

객체화물화를 포함한 일반화

순결주의 숭배, 성녀 신화, 창녀혐오, 성적 대상화

여성을 기득권으로부터 멀어지게 하기

여성 대상 범죄 희화화, 포르노화

날조와 몰아가기를 포함한 일반화

부정적인 이미지 강조

해당 논제에서 여성의 주체성 박탈(객체화)

사회적 문제에서 여성에게 책임을 돌리기 용이하게 이름을 붙임

  • 저출산: 저출생으로 대체 가능함
  • 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종종 출생률(Birth Rate)의 의미로 쓰이며 혼란을 가중시키는데 사실 합계출산율을 뜻해야 하며, 합계출산율을 제대로 뜻한다 하더라도 여성혐오적인 표현임은 변함이 없다. 저출생을 유발하는 사회적 문제를 바라보기보다 여성에게 출산의 '의무'를 지우는 데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여성의 몸에 대한 정보 터부시

미분류

  1. “아름답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 보이는 대상이나 음향, 목소리 따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 / 2. 하는 이나 마음씨 따위가 훌륭하고 갸륵한 데가 있다. 
  2. “예쁘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다. / 2. 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 
  3. “잘생기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사람의 얼굴이나 풍채가 훤하여 훌륭하다. 2. 물건의 모양이 미끈하여 보기에 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