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성혐오적인 한국어 표현

최근 편집: 2020년 7월 24일 (금) 18:39

개요

유형

총칭명사의 성별 구분

남성형이 사용되는 총칭명사

여성을 지칭하는 어휘와 남성을 지칭하는 어휘가 분리되어 있는 경우에 총칭명사로 남성형만 사용되는 경우가 있다. 다음을 참고할 것 남성형이 사용되는 총칭명사

  • 자식·여식, 손자·손녀, 형제·자매, 소년·소녀 등.[1]
  • 한자 문화권에서도 아들 자(子)와 지아비 부(夫)와 같이 남성을 나타내는 한자가 총칭명사로 흔히 쓰인다. 자궁(子宮), 농부(農夫) 등의 단어에서 이를 알 수 있다.

남성은 기본값으로, 여성은 여성만을 지칭하는 명사로 표현하는 현상

남성을 무표적인 형태, 즉 기본값으로, 여성은 유표적인 형태, 즉 옵션값으로 표현하는 경우가 빈번하다. 의사-여의사, 학생-여학생, 경찰-여경, 군인-여군 등의 유표적인 형태로 여성의 직업이 표현되는 것이 그 예다.[2]

이 중 어떤 단어들은 실제 필요한 쓰임[주 1]으로 쓰이기도 한다. 그러나 상당수가 '여O'을 '여성 OO'으로 칭해도 되는 것들이다.

이러한 표현들은 특히나 포르노 제목, 성적 대상화, 전혀 성별이 필요 없는 경우의 성별 강조 등의 수단으로 쓰이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남성형이 쓰이지 않는 경우
기본형 여성형 남성형(쓰이지 않음)
그녀 그남
시종, 하인 계집종, 여종 남종
시종 시녀 시남
하인 하녀 하남
작가 규수 작가, 여류 작가 남류 작가
시인 여류 시인 남류 시인
기사 여류기사 남류기사
마인 마녀 마남
악인, 악마 악녀 악남
생도 여생도 남생도
신도 여신도 남신도
여왕 남왕
황제 여제 남제
. 여인, 여인네 남인, 남인네
대장부 여장부 남장부
주인 여주인 남주인
의사 여의사 남의사
공장 노동자 여공 남공
성인 성녀 성남
사장 여사장 남사장
의사 여의사 남의사
. 여사 남사
검사 여검사 남검사
. 디바 .
비구 비구니[주 2] .
병사 여병 남병
호걸 여걸, 여중호걸 남걸, 남중호걸
남성형의 활용 빈도가 현격하게 떨어지는 경우
기본형 여성형 남성형(자주 쓰이지 않음)
직원 여직원 남직원
배우 여배우 남배우
교수 여교수 남교수
교사 여교사 남교사
경찰 여경 남경
군인 여군 남군
여신[주 3] 남신
가수 여가수 남가수
승려 여승 남승
기자 여기자 남기자
대학생 여대생 남대생
중학생 여중생 남중생[주 4]
고등학생 여고생 남고생[주 5]
성별이 밝혀지지 않은 경우에도 여성으로 특정하는 경우
기본형/중립형 여성형 남성형
. 캣맘 캣대디
김기사 김여사 .
여성을 지칭할 때에만 성별을 특정하는 경우
기본/중립형 여성형 남성형(쓰이지 않음)
소년(少年) 소녀(少女) 소남

중성명사를 남성형으로 사용하는 경우

  • 장정(壯丁): '장할 장'과 '고무래 정'으로 이뤄진 한자어이지만 남성만을 뜻한다.
  • 청년(靑年): 주로 성년 남성을 뜻한다.
  • 젊은이: 주로 젊은 남성을 뜻한다.

여성을 특정하는 경우

특정 인물이 여성임을 불필요하게 강조하는 단어

짝대립어

남성형이 선행되는 짝대립어

  • 남녀, 남과 여
    • 남녀평등, 남녀공학, 남녀노소[6], 남녀차별
  • 부모, 학부모, 조부모
  • 신랑신부, 부부
    • 부창부수, 부부유별
  • 신사숙녀
  • 자녀, 아들딸, 형제자매, 남매, 손자손녀
  • 소년소녀
    • 소년소녀가장

부정적인 의미를 가지면서 여성형이 선행되는 짝대립어

전통적인 남존여비 사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7]

  • 계집사내, 년놈(연놈): '남녀'와 대조됨
  • 애미애비: '부모'와 대조됨


대상화

남성의 아내로 귀속시킴

  • 영부인(令夫人)과 부군(夫君)
    • 존경받는 사람의 배우자를 뜻하는 두 단어는 모두 지아비 부가 들어간 단어로, 남편 중심적으로 만들어진 단어들이다.
  • 사모[주 6]와 사부[주 7]
  • 미망인(未亡人): 남편과 사별한 여자. '아직 따라 죽지 못한 사람'이라는 뜻이다.

성기로 대상화하거나 성적대상화

사회적 여성상 강요

평가 대상으로 격하

여성상에 반대되는 모습 비하

가사노동을 여성에게 귀속

성녀 · 창녀 이분법

순결주의, 성녀 신화

  • 처녀림: 원시림
  • 처녀막: 질막.
  • 처녀비행: 첫 비행.
  • 처녀성: '처녀로서 지니고 있는 특성'이라는 뜻의 단어가 존재하는 것 자체가 여성혐오적이다.
  • 처녀수, 처녀물: 초생수(마그마에 들어 있다가 처음으로 지표 위로 솟아난 물).
  • 처녀작: 첫 작품, 데뷔작.
  • 처녀지
  • 처녀항해: 첫 항해.
  • 처녀 운항: 첫 운항.
  • 처녀 출항: 첫 출항.
  • 처녀 출판: 첫 출판.
  • 처녀생식: 단성 생식.
  • 처녀출전: 첫 출전.
  • 처녀등반: 첫 등반.
  • 처녀우승: 첫 우승.
  • 처녀공연: 첫 공연.
  • 처녀봉

창녀혐오

모성 이데올로기

불평등한 가족 호칭과 명칭

다음을 참고할 것 가족 호칭과 명칭

외모 코르셋을 조롱함

데이트 좌절을 혐오로 승화함

집단을 일반화

여성을 기득권으로부터 멀어지게 함

여성 대상 범죄를 희화화함

해당 논제의 부정적인 이미지를 강조함

해당 논제에서 여성의 주체성을 박탈함(객체화)

사회적 문제에서 여성에게 책임을 돌리기 용이하게 이름을 붙임

  • 저출산: 저출생으로 대체 가능함
  • 출산율(Total Fertility Rate): 종종 출생률(Birth Rate)의 의미로 쓰이며 혼란을 가중시키는데 사실 합계출산율을 뜻해야 하며, 합계출산율을 제대로 뜻한다 하더라도 여성혐오적인 표현임은 변함이 없다. 저출생을 유발하는 사회적 문제를 바라보기보다 여성에게 출산의 '의무'를 지우는 데에 주로 사용되기 때문이다.

여성의 몸에 대한 정보 터부시

비하어

언어는 권력관계를 내포하며, 혐오 표현 역시 사회적 약자를 향하는 표현이 상대적으로 많다. 백인을 비하하는 단어에 비해 흑인을 비하하는 단어의 갯수가 많고 사용 빈도도 높은 것과 마찬가지로, 남성에 비해 여성을 비하하는 단어가 많으며 사용 빈도 또한 압도적으로 높다.

날조와 편견을 이용한 일반화

미분류

현재 여성혐오적인 의미를 담고 있지는 않지만 어원이 여성혐오적인 표현

  • 터부(taboo)의 어원: 월경을 뜻하는 폴리네시아어 'tapua'
  • 히스테리(hysteria)의 어원: 자궁을 뜻하는 그리스어 'hystera'

단어 이외의 표현

  • 수다라는 단어를 여성에게만 사용하는 것.
  • 감정표출에 대해 남자는 '화를 낸다'고 하지만 여자는 '히스테리를 부린다'로, 남자의 감정표출은 외부의 원인 제공 행위에 대한 반응으로 묘사되는 반면 여자는 내부적 심리 불안이나 초조함, 긴장감과 같은 급격한 감정기복에서 이유를 찾는 것.[8]

출처

  1. 인용 오류: <ref> 태그가 잘못되었습니다; :0라는 이름을 가진 주석에 텍스트가 없습니다
  2. 조혜진 (2012). “스페인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양상 연구: 어휘를 중심으로”. 《이베로아메리카》 14 (1): 213–240. ISSN 1229-9111. 
  3. “아름답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 보이는 대상이나 음향, 목소리 따위가 균형과 조화를 이루어 눈과 귀에 즐거움과 만족을 줄 만하다. / 2. 하는 이나 마음씨 따위가 훌륭하고 갸륵한 데가 있다. 
  4. “예쁘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생긴 모양이 아름다워 눈으로 보기에 좋다. / 2. 행동이나 동작이 보기에 사랑스럽거나 귀엽다. 
  5. “잘생기다”. 《네이버 국어사전》. 2017년 11월 24일에 확인함. 1. 사람의 얼굴이나 풍채가 훤하여 훌륭하다. 2. 물건의 모양이 미끈하여 보기에 좋다. 
  6. 최혜영(1998). 국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표현 연구, 10쪽. "짝대립어에서도 Adam and Eve, boys and girls에서 보듯이 남성형이 선행하여 남성중심의 언어형태를 보여주고 있다. 우리말의 경우에도 '남녀공학, 남녀노소, 부창부수, 신랑신부'와 같이 남성형이 선행되는 언어형태를 보이고 있다."
  7. 최혜영(1998). 국어에 나타난 성차별적 표현 연구, 10쪽. "'계집사내, 연놈'등과 같은 여성형이 선행되는 언어형태들은 전통적인 남존여비 사상이 지배적이기 때문에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할 수 있다."
  8. 《새로 쓰는 여성 복지론-쟁점과 실천》. 양서원. 24쪽. 

부연 설명

  1. 남초 직군에서 여성을 칭하거나 여성정책 등을 논할 때 등
  2. 니(尼)는 '여승 니'이다.
  3. 외모를 추앙할 때에는 남신 역시 가끔씩 쓰이나 그 정도차가 크고, 외모를 추앙하기 위함이 아닌 단순 지칭일 때에 남신이라는 단어는 쓰이지 않음. 애초에 외모를 추앙할 때에 성별을 구분하는 것은 여성의 외모 기준과 남성의 외모 기준 다르다는 인식에서 온 것이다. 여성에게는 주로 물건이나 마음씨 등 비인간 대상에게 사용하는 '아름답다'[3]와 '예쁘다'[4]는 형용사를 사용하지만 남성에게는 주로 사람에게 사용하는 '잘생기다'는 형용사[5]를 사용한다. 또한 '예쁘다'와 '아름답다'의 경우 비인간 대상에게 사용하는 뜻과 여성의 얼굴과 행동, 몸짓에 사용하는 뜻이 같은데 '잘생기다'의 경우 사람에게 적용할 때와 물건에게 적용할 때의 뜻이 명확히 구분되어 있다.
  4. 남중생은 '남자중학교의 학생'이라는 의미로 주로 쓰임.
  5. 남고생은 '남자고등학교의 학생'이라는 의미로 주로 쓰임.
  6. 스승의 부인
  7. 스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