젠더 비판적 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8년 1월 21일 (일) 03:22
낙엽 봇 (토론 | 기여)님의 2018년 1월 21일 (일) 03:22 판 (봇 이작동 수정)

GCF(지시에프, Gender-Critical Feminism)

이론과 사상

GCF는 다음과 같은 전제들을 사용한다.

  • 사람은 여성과 남성으로 구분할 수 있다.
  • 남성 중심의 사회문화는 여성들에게 부당한 여성상·여성성을 요구하고 있다.[주 1]
  • 그러한 여성상·여성성 중 일부[주 2]는 매우 부자연스럽고 모든 인류에게 없어야 하는 것이다.

위의 전제를 근거로 다시 아래와 같은 결론이나 주장을 도출하기도 한다.

  • 사회적으로 부여된 여성상·남성상을 세상에서 모두 없앨 수 있다면 성별의 구분은 오로지 생식을 비롯한 의료적인 것에만 요구되고 필요로 할 것이다. 그러므로 그런 세상을 위해서는 여성상과 남성상을 강화할 수 있는 방향의 성별 언급은 모두 최소화하여야 한다.[주 3]
  • 가부장제: 생물학적 성별에 맞춰 사회적 성별(젠더)을 바꾸세요![주 4]
    트랜스젠더 정체성 정치: 사회적 성별(젠더)에 맞춰 생물학적 성별을 바꾸세요!
    페미니즘: 당신이 어떤 모습을 지녔든 그 모습 그대로 괜찮아요!
    FTMMTF트랜스젠더는 자신의 성별성 정체성이 다르다는 인식에서 정체화를 시작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를 위한 성 정체성은 사회적으로 형성된 여성상·남성상을 근거로 스스로 형성한 것이므로 그것을 사회로부터 인정받는 일은 다시 사회의 여성상·남성상을 강화시킨다.[주 5][주 6]
  • 성매매는 사회의 여성혐오를 강화하는 행위이므로 사라져야 한다.

역사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한국의 GCF

한국에서는 이전의 메갈리아워마드, 페이스북·트위터 등의 SNS 상에서의 일부 래디컬 페미니스트들이 이러한 노선을 취하고 있다.[주 7]

비판

기타

  • GCF는 시스젠더헤테로와 같은 표현은 여성들을 사회적 권력을 지닌 것처럼 그릇되게 묘사하는 것이라 비판한다.
  • GCF는 성소수자 남성들의 여성혐오가 그들이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로 묻히고 있다고 보고 이를 강하게 비판하는데, 예를 들면 생리대를 '후장대'라 표현하거나 '뽈록이', '빈궁마마', '자궁확찢', '보추', '', '보갈(갈보)'와 같은 표현을 사용하는 것 등이 이에 해당한다.
  • GCF는 상호교차성 페미니즘 등에서 사회적 약자라는 이유로 성 소수자 등을 옹호하다 도리어 여성의 인권이 뒤로 밀려나는 것을 강하게 우려하고 비판한다.

같이 보기

부연 설명

  1. 다른 말로 하면 심리적·사회적인 젠더 구분을 성 고정관념에 근거한 허구라고 보는 것이다.
  2. 화장을 하는 것, 긴 머리나 치마와 같은 복장을 하는 것 등.
  3. 예를 들어 여성이 '여성적'인 일을 할 때 이를 '여성적'이라고 표현하는 것이 있다. 반면 여성이 '여성적'이지 않은 행동을 할 때 스스로 여성임을 강조하는 일은 권장된다. 그러면 반대로 남성이 '여성적'인 일을 하면서 스스로 남성임을 강조하는 경우도 긍정적으로 해석할 것만 같지만 GCF는 분리주의 페미니즘의 영향으로 남성이 뭘 한다고 막 그것을 격려하고 그러지는 않는다.
  4. 가부장제에서는 트랜스젠더를 인정한 적이 없다. 매우 제한적인 의미의 트랜스젠더(가부장이 성적으로 착취할 수 있는 '여성'으로 트랜지션을 마치고 가부장적 여성성을 완벽하게 수행할 때)만 여타 소수자에 비해 좀 더 받아들일 뿐, 인정하지는 않는다. 오히려 이를 정신질환으로 취급하는 점에 있어선 TERF와 비슷하다.
  5. 트랜스젠더와 젠더퀴어도 결국 여성과 남성의 사회적 구분에 의해 차별받고 있는데 차별의 근원인 여성혐오를 보지 못 하고 다른 원인을 찾은 것이라고 해석한다.
  6. GCF는 '짧은 머리를 한 여성', '치마를 입은 남성'과 같이 어떠한 모습이라도 성별을 언급하지 않고 본연의 모습대로 인정받을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말한다.
  7. 메갈리아 당시에는 이러한 영역에 대한 논의 자체가 거의 없었고, 이에 대한 주된 입장도 딱히 없었다.
  8. 이성애자 남성들의 게이비하표현인 '똥꼬충' 표현을 그대로 차용했다. 여성혐오의 대응으로 게이혐오를 하는 데서 순수 게이혐오와는 다른 점이 있지만, 순수 게이혐오 표현을 그대로 차용했다는 비난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