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위키:게임 프로젝트

최근 편집: 2024년 5월 14일 (화) 07:59
문문부계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5월 14일 (화) 07:59 판

페미위키 내에서 게임과 관련된 정보를 생성, 보충, 보강하기 위한 프로젝트입니다.

2018년 5월 25일, 운영자 중 한 명이페이스북에서 다른 여성들과 양예원 사건에 대해 논쟁을 벌이다가 친구 공개 설정으로 위 내용의 포스트를 올려 논란이 되었다. 다분히 여성혐오적인 내용이 있는 포스트였기에 이를 지적하는 댓글이 많이 달렸지만 이 운영자는 발언을 철회하지 않고 버티다가 논란이 커지자 결국 '나만 보기'로 설정을 바꾸었다. 이 운영자는 자신이 페미위키 운영자라는 사실을 밝히지 않았지만 과거 쓰던 계정에서 여러 증거들이 드러나 페미위키 운영자임이 발각되었으며 과거에도 다른 여성을 상대로 '흉자' 같은 여성혐오적 표현을 사용한 것도 밝혀졌다. 해당 운영자는 이후 페이스북을 비활성화 했다.이사실이 알려지자 페미위키 측에선 사실확인 후 청문회와 징계위원회가 열려 해당 운영자에 대해 6개월간 자격을 박탈했다.페미위키 전체의 문제라기보다 운영자개인의 일탈행위이긴 하나 여성혐오 없는 위키를표방하던 페미위키였던지라 운영자가 이런 여성혐오워딩을 사용한 사건은 페미위키 이미지에큰타격을 주었고, 페미위키의 근간이 되는 모토인 '여성혐오 없는 위키'에 정면으로 위반되는 행위를 저지른 운영자를 영구제명도 아닌 '기간제 자격박탈'이라는 솜방망이 처벌을 한 것 역시 운영자끼리 서로 봐주는 거냐며 비판을 받았다.

지금은 폐쇄된 구스위키, 바다위키, 오리위키, 키위위키 포함 제타위키, 리그베다위키, 누리위키는 편집하지 않았다.우연일지는 몰라도 이와 비슷한 포맷의 문서 구성을 하여 결국 한쪽의 주장을 강조하는 형식이 페미위키에 굉장히 흔하다. 다만 나무위키의 일부 문서들도 여기서는 자유롭지 못하다. 이런식으로 '상대방 주장에 대한 반론'이 아닌 '상대방에 대한 트집'으로 맞상대할 경우 애초에 무슨 주제로 토론을 시작했는지 알 수 없을 만큼 토론이 산으로 가기 일쑤다.이에 대한 예외가 단 하나 있는데, 외부 개입 판별 여부다. 심지어 이 거짓 증언은 발제자가 제대로 알아보지 않았다고 발제자를 비판하는 부분에서발생하였기 때문에 그 말 그대로 S에게치명타가 되어 돌아왔다.이런식의 자신에 대한 비판을 여성혐오로 물타기하는 행위는 한때 큰 논란을 일으킨 여성시대가 '여시혐오 = 여성혐오'라는프레임을 내민걸 시작으로 거기서 파생된 여초 사이트들에서 자주 보이는 현상이다. 참고자료한편, 이렇게 명확히 최소한의 사과라도 나왔어야 할 상황에서조차 S가 침묵한 것은, S가 '페미위키에 대한 비판'을 '여성혐오'로 여긴 것으로 보아, '자신 = 페미위키 = 페미니즘'이라는 생각에 자신이 잘못했다고 인정하면 페미위키와 페미니즘 자체가 잘못되었다고 인정하는 꼴이라고 생각했을 가능성도 있다. 실제로특정사상에 심취한 사람들 중 자기 자신의 잘못으로 인해 비판을 받는 걸 자신의 사상에 대한 비판으로 여기는 경우는 상당히 흔하다. 토론에 참여하였던 한 사용자는 페미위키에서 S의 사용자 토론 페이지까지 직접 찾아가 계속 이 문서에 개입하면 필히 영구 정지를 당할 거라고 경고하기까지 했으나 S는 입장을 바꾸지 않았다.물론 일베 내에 있는 성소수자 게시판은 예외, 애초부터 일베 회원들은 성소수자 게시판 자체는 일베와 독립된 별개로 본다. 보전깨라는 용어가 만들어진건 일베 성소수자 게시판이 아닌 짤방 게시판이다. 게다가 항목을 보면 알겠지만 보전깨라는 말을 밈으로 만든 게 일베인거지 저 말을 처음으로 내뱉은 건 남자가 아니라 여자다아카이브 문서를 보면 "XX만이 여성이다" 등의 인터섹스에 대한 몰이해와 편견도 목격되며, 한남=일본인, MTF=일본 순사, 흉자랑 FTM=친일파, 여성=한국인(...)이라는 터무니없는 비유도 있다. 그리고 그러한 미스젠더링, 차별의식, 편견으로 점철된 문제 많은 사고방식을 불특정 다수에게 공개함에 있어 매우 당당하다.위키백과의 제재 절차와 유사하다. 위 고나리질 사건의 S와는 무관하다. 이 글에는 이 여성들을 여자 일베 유저를 칭하는 '암베'라고 표현하였지만 실제 그들이 일베 유저라는 근거는 없으며, 청문회 기록을 봐도 알겠지만 이 전 운영자는 이들이 혐오 워딩을 사용했고 양예원을 비판했다는 이유로 일베 유저로 '생각했다'라고만 밝혔다.

  • 게임계 여성혐오
  • 페이머즈 - 전국디바협회
  • 어그로와 도발: WoW 에서 파생된 신조어로 인터넷 공간에서 무언가 또는 누군가를 욕하며 순식간에 그 공간의 사용자들의 이목을 잡아끄는 행태
  • 게임화는 서비스 이용률을 증가시키기 위해 게임 플레이 기법(보상, 경쟁, 성장, 피드백 등)을 추가하는 것을 뜻한다.
  • 리세마라는 주로 모바일 게임에서 원하는 캐릭터가 나올 때까지 새 계정을 만들거나 인스톨, 언인스톨을 반복하는 등 리셋하는 것을 일컫는, 일본에서 시작된 신조어다.

참여 방법

  • 함께 하실분은 아래 참가자에 사용자 이름을 써주세요.
  • 게임 프로젝트에 필요한 의견, 규칙, 제안, 공유 사항을 남겨주세요.

계획

  • 페미위키에 게임 관련 문서를 만든다.
  • 본인이 플레이 중인 게임 문서를 만든다.
  • 추억의 게임, 추천하고 싶은 게임, 했던 것 중 가장 재밌는/재미없는 게임 문서를 만든다
  • 게임과 페미니즘, 남성 위주의 게임 개발, 게임 산업과 시장에서 지워진 여성 등의 정보를 모은다.
  • 게임을 하면서 젠더감수성이 부족하다고 느꼈던 점을 해당 문서에 기록한다.
  • 게임계 여혐 문서에 박제할 것이 있으면 추가한다.
  • 게임 관련문서에 페미위키:게임 프로젝트 틀을 추가한다.

있으면 좋을 항목

작성이 필요한, 또는 이미 페미위키에 작성된 게임 관련 문서를 추가해 주세요. 다른 참여자의 도움이 필요한 문서 옆에는 (보완 필요) 등의 표시를 추가해 보완을 유도해주세요.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게임

분류

장르

플랫폼

게임 방송

방송 채널

녹화 및 방송 프로그램

게임 관련 사이트

게임 관련 회사

게임 엔진

게임 프로 리그

대회

프로게임단

빈 문단 이 문단은 비어 있습니다. 내용을 추가해 주세요.

게임 관련 인물

개발자

프로게이머

게임 스트리머

참가자

여기에 사용자 이름을 남기지 않으셔도 자유롭게 참여하시면 됩니다. 누가 프로젝트에 함께 하고 있는지 서로 알고, 사용자 간의 질문/토론/의견교환이 좀 더 수월하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쓰이는 분류들

이 글을 보려면 오른쪽 '펼치기' 버튼 클릭


페미위키 프로젝트
번역 프로젝트 · 게임 프로젝트 · 퀴어 프로젝트 · 여행 프로젝트 · 수학 프로젝트 · 영화 프로젝트 · 비건 프로젝트 · 여성인물 프로젝트 · 암호화폐 프로젝트 · 여성주의적 관점의 동화 재해석 · 코스메틱 · 블리자드 · 나카섹 문서화 · 경계성 인격장애
도움말 프로젝트 · 제도 정비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