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7년 10월 23일 (월) 11:43
낙엽1124 (토론 | 기여)님의 2017년 10월 23일 (월) 11:43 판 (정의가 개요 문단과 바로 다음 문단에 연달아 나와서 개요에서는 줄였습니다,출처가 잘못되어 고쳤습니다,메리엄웹스터사전에2번뜻이 안나와서 추가했습니다,문단명에"페미니즘의"를추가했)

페미니즘(feminism) 또는 여성주의(한문: 女性主義)는 이론 혹은 정치 운동의 하나이다.

페미니즘의 정의

페미니즘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나 실체를 가진 것이기보다는 다양한 사상, 이론, 행동으로 구성된 묶음이다.[1] 페미니즘은 이 중 이론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페미니즘 이론은 다양하지만 몇 가지 공통된 가정을 포함한다.

  1. 여성과 남성은 삶의 경험이 다르다고 가정하며, 이러한 경험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2. 여성 억압은 계급 등 여타 사회관계의 부분집합(subset)이 아니라 어느 정도 자율적·독자적으로 작동하는 고유한 사회문제의 배열(arrangement)이다.
  3. 여성억압은 사회관계나 구조가 조직되는 방식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나 구조의 기원과 발전을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관계나 구조를 젠더 관계(gender relations) 또는 가부장제로 명명한다.

이러한 공통된 가정에 더불어 페미니즘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면 의미를 조금 더 구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다.

  • 한국여성단체연합에서는 페미니즘이란 "계급, 인종, 종족, 능력, 성적 지향, 지리적 위치, 국적 혹은 다른 형태의 사회적 배제와 더불어, 생물학적 성과 사회문화적 성별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형태의 차별을 없애기 위한 다양한 이론과 정치적 의제들"이라고 정의한다.[2]
  • 벨 훅스는 저서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에서 페미니즘을 "성차별주의 및 성차별적 착취와 억압을 종식시키기 위한 운동"으로 정의한다.[3]
  • 메리엄-웹스터 사전에 의하면 페미니즘은 "모든 성의 정치적, 경제적, 사회적인 평등 이론" 및 "여성 인권과 이익을 위해 짜여진 움직임"이다.[4]
  • 스탠포드 철학 백과는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다양한 용도로 사용되며 종종 여러 의미 사이에서 논쟁이 일어나기도 한다. 예를 들어 몇몇 저자들은 '페미니즘'을 특정 시기에 미국과 유럽에서 있었던 정치 운동으로 규정한다. 반면 다른 저자들은 여성에 대한 부당함이 존재한다는 믿음을 뜻하는 용어로 사용한다. 다만 이 경우에도 부당함의 구체적 목록에 대해서는 의견 차이가 있다. 비록 영어 단어 feminism은 19세기 후반부터 현재까지 이어지고 있는 여성 운동과 관련이 있기는 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페미니즘 사상 및 믿음을 페미니즘 정치 운동과 구분하여 보는 편이 유용하다. 여성의 종속 문제에 대항하는 정치적 움직임이 없었던 시기였다 하더라도 각 개인들은 여성 문제에 관심을 가지거나 이론화를 했을 수 있기 때문이다"라고 적고 있다.[5]

페미니즘의 어원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페미니즘의 어원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영어 단어 '페미니즘(feminism)'과 '페미니스트(feminist)'는 각각 한국어로 '여성주의'와 '여성주의자'로 번역한다. 이 단어는 1800년대 프랑스의 정치 담론에서 쓰이던 'féminisme'에서 유래하며, 당시 여성 해방(women's emancipation)과 동의어로 쓰였다. 1800년대 중반에 '페미니즘'이라는 용어는 "여성의 자질 qualities of females"을 지칭할 때에만 쓰였다[6].

프랑스어 사전과 초기 역사가들은 종종 유토피아 사회주의자찰스 퓨리에1837년에 이 단어를 처음 사용한 것으로 적고 있다.[7] 하지만 페미니스트 역사가인 카렌 M. 오펜에 의하면 찰스 퓨리에가 해당 단어를 처음 사용했다는 주장은 오류이며 1870년대 이전의 용례에 대해선 아직 정확히 알려진 바가 없다.[8] 스탠포드 철학 백과 또한 페미니즘이라는 단어가 '양성 평등성에 기반하여 여성에게도 남성과 동등한 권리를 주어야 한다'는 의미로 처음 쓰인 때는 파리에서 제1회 국제 여성 컨퍼런스(the First International Women's Conference)가 열린 1892년이라고 서술하고 있다는 점에서 퓨리에 고안설과는 다른 설명을 하고 있다.[9] 스탠포드 철학 백과의 페미니즘의 주제들 항목에서는 1892년 파리에서 개최된 <제1차 국제여성회의>에서 'féministe'라는 프랑스어의 용법을 따라 성 평등 이념에 기초하여 여성에게 동등한 권리가 주어져야 한다는 신념과 그 신념에 대한 지지를 나타내는 영어 어휘로 '페미니즘'을 사용하자는 제안이 정식으로 등장하였다고 한다.[6]

확실한 것은 1890년대에는 페미니즘 또는 페미니스트라는 단어가 유럽 전역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는 사실이다. 1900년 이전에 벨기에,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그리스, 러시아의 출판물에서 해당 용어가 쓰인 기록들이 나타나고 있다.[8]

한편, 스스로 페미니스트(feministe)로 칭한 최초의 인물은 프랑스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Hubertine Auclert이다. 그녀는 1882년 자신이 발행하던 정기 간행물 'La Citoyenne(여성 시민)'에서 스스로와 동료들을 페미니스트라 지칭하였다.[8]

페미니즘의 범위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페미니즘의 범위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페미니즘(여성주의)은 오로지 여성 인권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해를 종종 받는다. 하지만 페미니즘 운동과 사상에는 여러 갈래가 있기에[10] 페미니즘이 다루는 범위는 여성 인권 문제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역사적으로 페미니즘이 중상위층 백인 여성의 경험만 과도하게 강조해왔다는 비난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성 인권 문제에 대한 고민은 억압받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인식, 다양한 억압의 형태, 억압의 구조와 역사 등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페미니즘은 다양한 젠더 담론을 포괄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외치는 사상으로 확장되기도 하였다.

페미니즘의 목표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적 권리를 정의하고 달성하기 위한 현실 변혁을 꾀하는 것 역시 페미니즘의 일부이다.

페미니스트들은 여성남성의 동등한 권리평등을 주장 또는 지지한다.[11]

페미니즘 운동에 대한 비판

페미니즘은 많은 비판을 받고 있지만 이 중에는 건설적인 비판과 비건설적인 비판이 섞이어 있다.

예를 들어 많은 사람들이 페미니즘에 대한 정확한 이해를 하지 않은 채로 페미니즘은 여성우월주의라는 식의 발화를 하는데, 이 같은 일반의 페미니즘에 대한 안 좋은 인식은 대부분이 인터넷에서 떠도는 허위 날조된 정보를 사실로 믿는 탓이 많으며 한국어권 인터넷에서는 2010년대젠더 이퀄리즘 날조 사건이 대표적인 예시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러한 주장들에서는 페미니즘이 사회에 미친 안 좋은 영향의 예시로 여성전용주차장, 제천여성도서관을 드는 경우가 있으나 전자는 범죄 피해를 최소화 하기 위한 안전 장치외에, 백화점을 비롯 쇼핑몰의 경우 효과적인 고객 서비스 제공을 위한 부분일 뿐이며 후자의 경우 애시당초 도서관 부지 매입자금을 지원한 독지가 여성이 여성에게만 개방을 해달라는 요청을 하여 후원을 설립되었으므로 페미니즘적인 여성우월주의 현상이라고 볼 수 없다.

한편 카밀 파일라(Camille Paglia 1947-)는 1994년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여론 검열, 음반, 게임, 영화, 영상물 등에 대한 검열 정당화 및 목적 달성, 이견 분쇄를 위해 뇌물과 돈, 로비, 이권, 인사 개입, 압력, 성 로비 등의 각종 이권행사를 한다고 비판했다.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에 여성학이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최초의 여성학 강의는 1977년 이화여자대학교에 '여성학 강좌'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이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에서도 처음이었다.[12]

한국의 페미니즘은 2010년대까지 주로 정책과 제도에 치중한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 이후 탄생한 메갈리아와 여러 운동은 대부분 여러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는데, 주로 급진적 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섞인 형태이다.

페미니즘의 갈래

본문을 가져온 내용 이 내용은 페미니즘의 갈래 문서의 본문을 가져와 보여주고 있습니다. 더 자세한 내용은 해당 문서에서 확인해 주십시오.

다양한 갈래의 페미니즘은 "왜/어떻게 여성들이 억압받는가?"라는 질문에 각기 다른 대답을 모색하면서 발전해왔다.

예를 들어 자유주의 페미니스트는 여성에게 동등한 법적 권리(재산권, 투표권, 교육권)가 주어진다면 양성이 평등해질 수 있다고 믿었으며, 급진주의 페미니스트는 오랫동안 남성이 공고히 쌓아온 특권인 가부장제를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레디컬 페미니스트들은 여성억압의 원인이 성(sex)/젠더(gender) 체계에 있다고 사유한다. 이들은 태어나는 몸(생물학적 성)과 만들어진 몸(사회적 성)을 구분함으로써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거스를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닌, 남성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구성과 이데올로기 배치의 결과라고 보고 변화를 주장한다.

가부장제와 자본주의의 결합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주목한 사회주의 페미니스트도 있다.

성평등이라면서 왜 이퀄리즘이라고 안 쓰고 페미니즘(여성주의)이라고 쓰나요?

흑인 인권 운동과 같은 여타 인권운동에서는 '인종 평등 운동', 'Ethnic Equalism'과 같은 표현을 사용하지 않는다. 왜냐하면 이러한 인권 운동은 '비교적 더 차별받고 있는' 집단의 인권 향상을 위한 운동이기 때문이다.

페미니즘이 '여성주의'라고 불리는 것, '젠더 이퀄리즘'으로 명명되지 않아야 하는 것도 마찬가지이다. 뿌리깊은 가부장제 속에서 여성의 인권은 구조적으로, '권력자'인 남성의 인권에 비해 한참 낮다. 페미니즘은 궁극적인 목표인 성평등을 위해 여성과 같은 성적(Gender) 약자의 인권을 향상시켜야한다는 운동 즉 여성의 인권이 남성의 인권과 완전하게 동등해질 때까지 기울어진 균형을 바로잡으려는 운동으로, '젠더 이퀄리즘'과 같은 말은 이러한 페미니즘의 본질을 흐리는 용어이다.

기타

  • <나쁜 페미니스트>에 나온 것처럼, 영어에서 페미니즘은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두 가지 형태로 쓰일 수 있으며 가산명사일 때의 복수형은 feminisms이다.[13]

같이 보기

부연 설명


출처

  • 권현정 외, 2003,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공감.
  • 김수영, 고려대학교 2011년 2학기 '성과 사회' 강의자료
  1. Jagger Alison, M. and Paula S. Rothenberg
  2.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의 ‘페미니즘’, '페미니스트‘ 정의 관련 한국여성단체연합 의견서”. 《여성단체연합》. 
  3. 벨 훅스, 페미니즘: 주변에서 중심으로
  4. “feminism”. 《메리엄-웹스터 사전》. 
  5. “Topics in Feminism”. 《Stanford Encyclopedia of Philosophy》. 
  6. 6.0 6.1 스탠포드 철학백과, 페미니즘의 주제들, 샐리 해스랭어 외, 전기가오리 번역
  7. Goldstein, Leslie F. (1982). “Early Feminist Themes in French Utopian Socialism: The St.-Simonians and Fourier”. 《Journal of the History of Ideas》 43 (1): 91–108. doi:10.2307/2709162. JSTOR 2709162. 
  8. 8.0 8.1 8.2 Karen M. Offen (2000).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420-2. 
  9. “Topics in Feminism”. 《스탠포드 철학 사전》. 
  10. “Feminist movements and ideologies”. 《영문 위키백과》. 
  11. Beasley, Chris (1999). 《What is Feminism?》. New York: Sage. 3–11쪽. ISBN 9780761963356. 
  12. 새 여성학 강의 개정판, (사)한국여성연구소, 동녘 출판사, 18-19p
  13. “Wiktionary 'Feminism' 항목. "feminism (countable and uncountable, plural feminisms)"로 명시되어 있다.,”. 《Wiktion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