페미니즘

최근 편집: 2018년 9월 17일 (월) 15:39
토론중 문서 이름을 여성주의로 변경하자는 논의가 있습니다. 토론에 참여해주세요.

페미니즘(영어: feminism) 또는 반사회적 남성혐오(한문: 女性主義)는 성별에 대한 모든 차별을 철폐하려는 공통의 목표를 지닌 사상이나 이론 혹은 정치 운동이다. 페미니즘은 많은 갈래를 갖고 있으며 각 갈래는 핵심 이론인 여권 신장과 함께 각자의 관심 분야를 가진다.

페미니즘이란 말은 1800년대 무렵에 불어에서 처음 나타났으며 대한민국에 페미니즘이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중반 즈음이다. 몰이해적인 페미니즘은 또한 비판의 대상이 되는 경우가 많다.

페미니즘의 간략한 정의

페미니즘은 하나의 고정된 의미나 실체를 가진 것이기보다는 다양한 사상, 이론, 행동으로 구성된 묶음이다.[1][주 1] 하지만 대부분의 페미니즘 이론은 다음의 몇 가지 공통된 가정을 포함한다.

  1. 여성남성은 삶의 경험이 다르다. 그리고 페미니즘은 이러한 경험의 차이를 설명하고자 한다.
  2. 여성에 대한 차별과 억압은 여타 사회관계의 일부분이 아니라, 어느 정도 자율적·독자적으로 작동하는 사회의 구조이자 운영 방식이다.
  3. 여성억압은 사회관계나 구조가 조직되는 방식의 일부이기 때문에 이러한 관계나 구조의 기원과 발전을 설명해야 한다. 이러한 사회관계나 구조를 가부장제 또는 젠더 관계(gender relations)로 명명한다.

또한 이러한 공통된 가정에 더불어 페미니즘에 대한 다양한 정의를 살펴보는 것도 페미니즘의 의미를 이해하는데 도움이 될 수 있다.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정의 모음

어원

각각 한국어로 여성주의와 여성주의자로 번역되는 영어 단어 페미니즘(feminism)과 페미니스트(feminist)는 1800년대 프랑스정치 담론에서 쓰이던 'féminisme'에서 유래하며, 당시에는 여성 해방(women's emancipation)과 동의어로 쓰였고 1800년대 중반에는 "여성의 자질(qualities of females)"을 지칭할 때에만 쓰였다.[2] 불어 단어 féminisme의 더 자세한 첫 사용 시기에는 여러가지 설이 있어 확실한 것은 없으나, 적어도 1890년대에 페미니즘 또는 페미니스트라는 단어가 유럽 전역에서 널리 쓰이게 되었다는 사실은 1900년 이전에 벨기에, 프랑스, 스페인, 이탈리아, 독일, 그리스, 러시아의 출판물에서 해당 용어가 쓰인 기록들이 나타내어 주고 있다.[3]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어원

한편, 스스로 페미니스트(feministe)로 칭한 최초의 인물은 프랑스의 여성 참정권 운동가인 위베르틴 오클레르이다. 오클레르는 1882년 자신이 발행하던 정기 간행물 'La Citoyenne(여성 시민)'에서 스스로와 동료들을 페미니스트라 지칭하였다.[3]

한편 대한민국 사회에서 페미니즘은 여러 가지 용어로 번역, 사용돼 왔다.[4] 1970년대 중반 페미니즘의 도입기에는 여권론, 1980년대에는 여성해방론, 1990년대 종반을 넘어서면서는 여성주의 또는 페미니즘이라는 원문 그대로를 쓰는 것이 일반적이 되었다.[4] 그러나 어떤 용어로 사용되든 그 개념에는 기본적으로 모든 성차별과 억압에 반대하고 성평등을 지향한다는 정신이 관통하며 단지 각 용어가 사용되는 시대적 상황과 배경에 따라 페미니즘을 통해 드러내고자 하는 것 혹은 주안점이 달라지면서 용어가 달라졌을 뿐이다.[4]

갈래

다양한 갈래의 페미니즘은 "왜/어떻게 여성들이 억압받는가?"라는 질문에 각기 다른 대답을 모색하면서 발전해왔다.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갈래

  • 자유주의적 페미니즘은 여성에게 동등한 법적 권리(재산권, 투표권, 교육권)가 주어지지 않은 것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꼽았다.
  • 래디컬 페미니즘은 오랫동안 남성이 공고히 쌓아온 특권인 가부장제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지적한다. 이들은 성별(sex)과 젠더(gender)를 구분함으로써 여성의 종속적 지위는 거스를 수 없는 생물학적 운명이 아닌, 남성이 만들어내는 사회문화적 구성과 이데올로기 배치의 결과라고 보고 이에 대한 변혁을 주장한다.
  • 사회주의 페미니즘가부장제자본주의의 결합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주목한다.
  • 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은 구조주의적 정체성 규정을 여성억압의 원인으로 꼽았다.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은 한 사람의 경험이 단일 원인에 의하지 않으며 젠더, 인종, 사회 관계 등 다양한 관계 아래서 파악되어야 한다고 주장하는 페미니즘이다.
  • 마르크스주의 페미니즘은 자본주의가 여성억압을 가져왔다고 생각하는 페미니즘이다. 정작 이들은 여성해방론으로 불리길 원한다.
  • 에코 페미니즘은 인간이 자연을 착취하는 방식과 가부장제가 여성을 착취하는 방식이 동일하다고 보고 이 착취를 함께 타파하는 방법에 대해 말한다.

범위

페미니즘은 오로지 여성 인권만을 위한 것이라는 오해를 종종 받는다. 그러나 페미니즘이 진정으로 원하는 바─성평등─를 이룩하고 여성성남성성, 즉 '여성스럽'고 '남성스러'울 필요가 사라진다면 그것은 가부장제의 성편견에 짓눌려 있던 사회의 구성원 모두가 행복해지는 또 다른 방법이 될 것이다. 또한 페미니즘 운동과 사상에는 여러 갈래가 있기에,[5] 페미니즘이 다루는 범위를 여성 인권 문제에 국한하여 말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역사적으로 페미니즘이 중상위층 백인 여성의 경험만 과도하게 강조해왔다는 비난을 받았던 적이 있는 것은 사실이나, 여성 인권 문제에 대한 고민은 억압받는 다른 주체들에 대한 인식, 다양한 억압의 형태, 억압의 구조와 역사 등에 대한 고민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 이에 따라 일부 페미니즘은 다양한 젠더 담론을 포괄해 성소수자의 권리를 외치는 사상으로 확장되기도 하였다.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범위

역사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 역사 문서를 살펴보세요.

한국의 페미니즘

한국에 여성학이 도입된 것은 1970년대 중반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 최초의 여성학 강의는 1977년 이화여자대학교여성학 강좌라는 이름으로 개설되었다. 이는 한국은 물론 아시아에서도 처음이었다.[6] 한편 한국의 페미니즘은 2010년대까지 호주제 폐지와 같은, 주로 정책과 제도를 위한 페미니즘의 성격을 띄고 있었다.[주 2] 이후 메갈리아와 함께 연쇄적으로 탄생한 여러 페미니즘 담론과 운동은 대부분 복합적인 성격을 띄는데, 주로 래디컬 페미니즘포스트모던 페미니즘이 섞인 형태이다. 다음을 참고할 것 한국의 페미니즘

비판

페미니즘에 대한 건설적인 비판만 서술하길 바랍니다. 물론 각 스펙트럼 간의 상호 비판도 올려도 됩니다.

  • 카밀 파일라(Camille Paglia 1947-)는 1994년 페미니스트들이 자신들의 의견을 관철하기 위해 여론 검열, 음반, 게임, 영화, 영상물 등에 대한 검열 정당화 및 목적 달성, 이견 분쇄를 위해 뇌물과 돈, 로비, 이권, 인사 개입, 압력, 성 로비 등의 각종 이권행사를 한다고 비판했다.
  • 상호교차성 페미니즘래디컬 페미니즘을 보고 여성의 개인적 특성과 PC(정치적 올바름)를 무시한다고 비판하고, 래디컬 페미니즘상호교차성 페미니즘이 결국 여성인권을 뒷전으로 미루게 만든다고 비판한다.

페미니즘/페미니스트에 대한 의문, 비난과 대답, 반박

다음을 참고할 것 페미니즘/의문과 대답

여기는 태생적인 한계 등으로 인한 건설적인 비판이 아닌 몰이해로 생긴 무조건적인 비난이나 오해,일반화 등을 서술하는 하위 문서입니다.

여러분들의 기여가 필요합니다.

기타

  • 영어에서 페미니즘은 가산명사와 불가산명사 두 가지 형태로 쓰일 수 있으며 가산명사일 때의 복수형은 feminisms이다.[7] <나쁜 페미니스트>에 나온 것처럼, 페미니즘이 하나의 단일한 존재가 아니라 여러 모습으로 공존하며 존재할 수 있다는 점을 나타내기 위해 이 점을 강조하기도 한다.
  • 여성의 정치적, 경제적, 개인적, 사회적 권리를 정의하고 달성하기 위한 현실 변혁을 꾀하는 것 역시 페미니즘의 일부이다. 애당초 페미니즘이 여성인권을 향상시키기 위해 변화를 주는 것이기에 당연하다.

같이 보기

링크

부연 설명

  1. 때때로 페미니즘이란 말은 이 중 이론만을 의미하기도 한다.
  2. 이는 리버럴 페미니즘의 특징이기도 하다.

출처

  • 권현정 외, 2003, 페미니즘 역사의 재구성, 공감.
  • 김수영, 고려대학교 2011년 2학기 '성과 사회' 강의자료
  1. Jagger Alison, M. and Paula S. Rothenberg
  2. 스탠포드 철학백과, 페미니즘의 주제들, 샐리 해스랭어 외, 전기가오리 번역
  3. 3.0 3.1 Karen M. Offen (2000). 《European Feminisms, 1700-1950: A Political History》. Stanford University Press. ISBN 978-0-8047-3420-2. 
  4. 4.0 4.1 4.2 (사)한국여성연구소. 《개정판 새 여성학강의》. 동녘. 18쪽. ISBN 9788972974826. 
  5. “Feminist movements and ideologies”. 《영문 위키백과》. 
  6. 새 여성학 강의 개정판, (사)한국여성연구소, 동녘 출판사, 18-19p
  7. “Wiktionary 'Feminism' 항목. "feminism (countable and uncountable, plural feminisms)"로 명시되어 있다.,”. 《Wiktionary》.